[시론]1930년대 전반기 시론 - 박용철, 김기림, 정지용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시론]1930년대 전반기 시론 - 박용철, 김기림, 정지용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1930년대 전반기 시론의 전개와 형성
2.1. 박용철
2.1.1. 초기시론
2.1.1.1. 존재로서의 시와 천재적 개인
2.1.1.2. 음악적 형식
2.1.2. 후기시론
2.1.2.1. 시적 변용에 대해서
2.2. 김기림
2.2.1. 시의 모더니티
2.2.2. 시작상의 주지적 태도와 모더니티
2.2.3. 1930년대 후반기 대표적 시론
2.3. 정지용
2.3.1. 시의 옹호
2.3.2. <서늘오움>과 시의 위의
2.3.3. 시와 언어

3. 결론

본문내용

는 발표 직후부터 프로시가 직면한 당면 과제인 계급적 목표 달성과 대중성 획득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성취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으면서 이후 프로시의 가장 영향력 있는 양식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된다.
임화가 일련의 단편서사시를 발표하기 시작하자 가장 먼저 그 의의에 주목하고 누구보다도 열렬히 환영의 뜻을 표하고 나선 것은 김기진이었다. 김기진은 임화의 시「우리 옵바와 화로」를 두고「단편 서사시의 길로」(『조선문예』1929.5)에서 “근래에 드문 가작”이라고 고평한 바 있다. 김기진에 의하면 이 시는 의미가 불투명한 부분, 무의미하게 수사가 중첩된 부분 등 비판을 받아야 할 점들이 없는 것은 아니나 골격이 되는 사건이 현실적, 실재적이고 오빠를 붙드는 누이동생의 감정이 공상적, 과장적이 아니며 현실, 분위기, 감정파악이 객관적이고 구체적으로 되어 있어 하나의 통일된 정서를 전파하는 동시에 감격으로 가득 찬 하나의 소설적 사건을 전개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김병택, 앞의 책, p.237.
그래서 기존의 시적 진실성을 획득하지 못하고 대중과는 멀어진 시와는 다른 프로시 양식의 가능성을 이 시에서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시에 이야기 내지 사건 및 직접적 등장인물을 도입함으로써 현실을 구체적이고 객관적 묘사하고 그 속에서 전형적인 상황을 그려낼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 것과 시에서 보이는 과도한 감성의 노출은 외견상 시적 화자의 주관적 성격으로부터 초래된 것이지만 그것이 독자에게 주는 정서적 효과를 감안한다면 결과적으로 객관적 현실의 인식이 가능하게 만들고 있다는 점에서 리얼리즘시의 양식적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김은진 김용직,『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 시학사, 1991, p.227.
임화의 단편서사시는 당대적 사건의 사실적 수용과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낙관적 전망을 훌륭하게 시적으로 형상화했다는 점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하지만 소시민성과 함께 짙은 감상성을 노정하고 있으며 시어가 채 정제되지 않았다는 점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러한 이유로 임화의 단편서사시를 프로시의 바람직한 모델로 받아들여도 되는가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논의된다.
김기진과 박팔영은 단편서사시 양식에 대해 옹호하는 방향으로 나아갔고 권환을 비롯한 카프 소장파들은 비판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그런데 단편서사시 양식을 창출한 임화 자신이 일련의 자기 부정을 하고 나섰기 때문에 단편서사시 양식 채택론자들에게는 치명적일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1930년을 지나면서부터 단편서사시 양식 채택론은 더 이상 거론되지 않았다. 국제어문학회 편, 앞의 책, pp.138-149.
5. 결론
지금까지 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이론을 프로문학론의 형성, 프로문학론의 전개, 1920년대 프로문학에 해당하는 주요 작가들의 시론을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가급적 유의하려고 했던 것은 프롤레타리아 문학운동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 글이 아니라 프롤레타리아 시론을 목적으로 한 글이라는 점이다. 이때 김기진과 박영희 등의 비평 활동을 서술한 것은 이들의 비평 활동이 한국 프로문학론을 형성시키는 데에 결정적인 배경의 역할을 했을 뿐만 아니라 카프가 조직된 이후에도 이들의 비평 논리가 직접적,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다만, 1920년대 프로시론에 해당되는 다양한 작가들의 시론을 다루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 참고문헌
김정훈,「단편서사시의 개념, 대상, 범주 고찰」(『국제어문』16집), 국제대학 출판부, 1995.
______,「단편서사시 양식의 연원 고찰 시고」(『국제어문』17집), 국제대학 출판부, 1996.
______,「임화 시 연구」,한양대 박사학위논문, 1996.
국제어문학회 편, 『한국근대문학의 형성과 발전』, 보고사, 2004.
김기진,「금일의 문학, 명일의 문학」(『개벽』33호 1924, 2).
______,「나와 카프시대」 (『서울신문』, 1955, 10, 5).
______,「너희의 양심에 고발한다」 (『개벽』, 1924, 8).
______,「동아일보」, 1920.4.2.
______,「麻毛씨와의 어느날」 (『문학사상』, 1972, 12).
______,「조선일보」, 1929.1.1~2.2.
______,「지배계급교화, 피지배계급 교화」 (『개벽』, 1924, 1).
______,「카프 문학과 회월의 인간」(『김팔봉문학전집Ⅱ』), 문학과 지성사, 1988.
______,「프로시가의 대중화」, (『문예공론』2호 1929. 6).
______,「프로시가의 대중」
김병택,『한국현대시인론』, 국학자료원, 1995.
김영민,『한국문학비평논쟁사』(한길사, 1992), p. 46.
김윤식,『한국근대문예비평사연구』, 한얼문고, 1973.
김은진 김용직,『한국현대시사의 쟁점』, 시와 시학사, 1991.
박영희,「고민문학의 필연성」(『개벽』 제61호, 1925, 7).
______,「문학상 공리적 가치 여하 부분」(『사상운동』1호, 1925년 1, 2, 합본호).
______,「사상문예에 대한 편상」(『개벽』제55호, 1925, 1).
______,「신경향파 문학과 그 문단적 지위」(『개벽』제64호, 1925년 12).
______,「신흥예술의 이론적 근거를 논하여 염상섭군의 무지를 박함」(『조선일보』, 1926, 2).
______,「준비시대에 있는 바사로프의 부정적 정신」 (『개벽』, 1925, 12).
______,「창작비평과 평자」(『개벽』제55호, 1925, 1).
______, “고민문학의 필연성”, 『개벽』61호(1925. 7).
鶯峯山人, 「조선프로예술운동 小史」, 『예술운동』창간호, 1945, 12.
역사문제연구소 문학사연구모임, 『카프문학운동연구』, 역사비평사, 1989.
임규찬 한기형, 『카프비평자료총서Ⅱ』, 태학사, 1990.
______,『카프비평자료총서Ⅲ』, 태학사, 1999.
이선영 김병민 김재용,『현대문학비평자료집(이북편)7』, 태학사, 1994.
임화,「畏友宋影兄께」『신동아』 6권 5호.
정재흠,「회월 박영희 문학 연구:프로 文學을 中心으로」, 성균관대대학원, 2003.
『한국시문학』, 창조문학사, 1987.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0.04.17
  • 저작시기2006.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6241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 편집
  • 내용
  • 가격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