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건국과 발전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 3

Ⅱ. 본 론 ……………………………………………………… 5
1. 百濟의 建國 ……………………………………………… 5
1) 百濟의 成立 ……………………………………………… 5
(1) 百濟建國說話 …………………………………………5
(2) 河南慰禮城으로의 遷都와 夫餘氏王室의 成立 …… 6
2) 百濟의 成長 …………………………………………… 8
2. 百濟의 發展 …………………………………………… 11
1) 漢城時代 ……………………………………………… 11
(1) 왕권의 확립 …………………………………………… 12
(2) 왕권의 동요와 上佐平 설치 ………………………… 14
(3) 蓋鹵王의 왕권강화 …………………………………… 19
2) 熊津時代 ……………………………………………… 20
(1) 한성몰락과 文周王 즉위 ………………………… 20
(2) 웅진천도 …………………………………………… 21
(3) 東城王代의 전제왕권 강화 ……………………… 23
(4) 武寧王의 왕권신장 ………………………………… 25
3) 沙沘時代 ……………………………………………… 27
(1) 成王의 중흥정책 …………………………………… 27
(2) 武王과 義慈王의 개혁정치 ……………………… 30

Ⅲ. 결 론 ……………………………………………………… 33

본문내용

백제는 의자왕 20년(660)에 멸망하고 만다. 노중국, 「백제사의 재인식」, 『한국고대사론』, 한길사, 1988, 68쪽.
백제의 멸망이후, 곧 각처에서 부흥운동이 전개되었다. 周留城을 근거지로 福信과 道琛의 부흥군과 任存城을 근거지로 한 黑齒常之의 부흥군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오래지 않아 나당연합군에 의해 평정되고 있다. 귀족 및 유력자들은 이후, 신라의 지배체제내에 편제되거나 일본으로 탈출하여 일본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하였다. 노중국, 「백제 지배세력의 변천」, 『한국사연구입문』제2판, 지식산업사, 1993, 87쪽.
Ⅲ. 결 론
제1장에서 우리는 백제 건국의 주체는 부여족계통의 유이민이며 『三國史記』에서 보이듯 초기에는 溫祚집단과 沸流집단이 지역 연맹체를 형성하여 왕위계승에 있어서도 서로 경쟁적인 관계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肖古王대에 부여씨인 온조집단이 왕위계승권을 장악하게 되면서 부여씨 왕실이 확립되었다. 또한 초고왕은 하북에서 하남 위례성으로의 천도를 단행하였다. 古爾王은 온조계의 방계로 왕위에 올라 左將의 설치와 5부제, 그리고 6佐平제와 16관등제의 원시적 형태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제도의 정비는 통치력이 강화되었음을 의미한다.
제2장에서는 우선 한성시대를 살펴보면, 고이왕대의 성장에 기반을 둔 近肖古王이 온조계의 방계를 왕위계승상에서 완전히 소외시키고 직계의 왕위계승권을 확립하였으며 眞氏를 왕비족으로 발탁하여 자신의 세력기반으로 삼았다. 또한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을 전사시키고 동진과 왜와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였다. 近肖古王이후 왕권의 동요현상이 나타나 진사와 같은 변칙전이 즉위도 보인다. 支王은 이러한 혼란을 수습하고 解氏를 왕비족으로 발탁하여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삼고 있다. 이는 진씨에서 해씨로의 왕비족교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이들의 독주를 견제할 목적으로 上佐平制를 실시하여 왕권강화에 노력하였다. 그러나 이후 久爾辛王과 比流王대에 대귀족 통제력이 약화됨으로써 木滿致의 전횡과 같은 모습도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蓋鹵王은 이러한 때에 왕위에 올라 왕족으로 된 친위세력을 형성하고 대외적으로 전방위적인 외교교섭을 시도하였으며 대토목공사를 실시하여 실추된 왕권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개로왕이 고구려와의 전쟁으로 한성함락과 함께 전사하자, 그의 동생 文周가 왕위에 오르고 있다. 웅진으로의 천도는 고구려의 남침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것이었다. 한성시대의 지배세력은 크게 둘로 나누어 볼 수 있겠다. 하나는 웅진초기, 東城王에 의한 新進勢力의 등용이 있기 전까지로 한성에서 남하한 유력세력 -진씨, 해씨- 이며 다른 하나는 동성왕이후는 금강유역에 기반을 둔 신진세력이다. 동성왕은 전제왕권의 확립을 위해 신진세력을 등용하고 신라의 왕녀와 결혼하는 등 왕권강화에 주력하였으나 과도한 신진세력의 등용으로 加의 반란에서 보여지듯이 이들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였다. 武寧王은 다시금 구세력을 등용하여 加의 亂을 평정하는 등 신진세력의 성장을 견제하려 노력하고 신구세력들의 조화에 노력하였다. 그리고 대외관계에 있어서도 가야로 진출하여 섬진강유역일대를 지휘하에 두게 된다.
이러한 武寧王은 전제왕권확립에의 노력의 결과, 聖王은 사비로 천도를 단행하여 중흥을 꾀하였다. 이를 통해 비대해진 웅진시대의 귀족을 견제하고 22부제와 方- 郡-城체제와 수도 5부제의 정비를 통해 왕권의 전제화의 확립을 보았다. 무리한 원정으로 인한 성왕의 관산성 패전 이후, 다시금 왕권은 약화되나, 武王과 義慈王은 개혁정치를 통해 국가안정과 왕권강화에 주력하였다. 무왕은 익산천도 轉輪聖王으로의 자처, 그리고 의자왕은 즉위초의 정변이 그러한 모습일 것이다. 그러나 내부적으로 귀족세력이 분열되고 있었고 신라와의 전쟁으로 인한 국력의 소모는 무왕과 의자왕의 개혁정치를 실패하도록 하는 요인이었다. 이어 백제는 의자왕 20년에 나당연합군에 의해 멸망하게 된다.
왕권과 지배유력세력간의 역관계와 그 가운데 정비되는 여러 관제를 통하여 특히 여기서는 백제의 건국과 지배세력의 변천에 주목하여 서술하였다. 百濟初 기사에 관해서는 사료의 부족과 『三國史記』초기기록의 신빙성 여부의 문제 때문에 여러 다양한 견해가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때문에 본고에서도 대략적인 개요만을 살폈을 뿐이다. 그리고 近肖古王이래의 정치사에 대해서는 앞서 밝혔듯이 지배세력의 변천에 유의하여 지배세력의 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적도록 노력하였다.
백제의 왕권은 근초고왕이래로 유력귀족의 지지를 받거나 왕실 스스로 토착세력을 성장시켜 자신의 지지기반으로 삼으면서 성장해 왔다. 그러나 이것이 오히려 백제왕권이 지닌 한계성으로 지적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즉, 역대 백제왕은 여러 귀족세력의 균형과 조화라고 하는 과제속에서 정권을 유지해 오지 안되는 상황으로 전개되었던 것이다.
Ⅳ. 참고문헌
이기백, 『韓國史講座』古代編, 1976.
노중국, 『百濟政治史硏究』, 일조각, 1988.
신형식, 『百濟史』,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2.
이기백, 「百濟王位繼承考」, 『한국사논문선집』Ⅱ, 1976.
천관우, 「百濟의 國家形成」下, 『韓國學報』3, 1976.
이종욱, 「百濟의 佐平」, 『진단학보』45, 1978.
이종욱, 「百濟의 國家形成」, 『大邱史學』11, 1976.
김철준, 「百濟建國考」, 『韓國古代史硏究』, 서울대 출판부, 1990.
국사편찬위원회, 「三國의 政治와 社會」, 『한국사』6, 1995.
이기백, 「熊津時代 百濟의 貴族勢力」, 『百濟硏究』9, 1978.
이도학, 「漢城後期의 百濟王權과 支配體制의 整備」, 『百濟論叢』2, 百濟文化開 發硏究員, 1990.
양기석, 「三國時代의 인질의 성격에 대하여」, 『사학지』10, 1982.
양기석, 「백제 支王대의 정치적 변혁」, 『호서사학』10, 1982.
이재운, 「백제 지배세력의 변천」, 『전주대학교 논문집』15, 1986.
홍윤식, 「익산미륵사창건배경을 통해 본 백제문화의 성격」, 『마한백제문화』6, 1983.
노중국, 「백제지배세력의 변천」, 『한국사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93.
노중국, 「백제사의 재인식」, 『한국고대사론』, 한길사, 1988.
  • 가격3,000
  • 페이지수33페이지
  • 등록일2006.11.19
  • 저작시기2002.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730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