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생물 산업의 미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식품 유전자 변형
1) 식품 품질 향상
2) 식용 동물
1-1 수의학
1-2 동물 성장과 식품 생산
3) 식품 가공의 진전
4) 생물공학 식품의 안전성
1-1 식품 속 유전자의 원천은 어떠한가?
1-2 FDA는 안전성을 어떻게 확인하는가?
1-3 왜 모든 유전공학 식품에 대해 시장판매 전 검사를 요구하지 않는가?
1-4 표지 유전자(marker genes)는 안전한가?
1-5 생물공학 식품에 라벨 표시를 해야 하는가?
5) 결론

♣ 유산균 식품
1) 유산균산업
1-1 유산균 산업의 개요
1-2 유산균 산업의 시장동향
1-3 유산균 생산업체
1-4 유산균 함유 기능성식품
1-5 건보식품·껌·김치에 응용

♣ 김치
1. 김치산업의 현주소

2. 김치 왜 중요한가

본문내용

성장률이 낮은 편이다. 국내에서 정장제로 널리 알려진 제품으로는 일동제약의 비오비타, 한미약품의 메디락베베, 한독약품의 미야리산 등이 있다. 한미약품의 메디락 제품은 해외에서 브랜드를 라이선스한 제품이고 한독약품의 미야리산은 청계약품으로부터 인수한 제품이다. 현재 건강보조식품에서 사용되는 유산균의 약 80%는 쎌바이오텍에서 제조하며 정장제 관련 매출은 10% 이내로 적다.
쎌바이오텍은 현재 유산균 완제품으로 `에버락에스' `비피도락' `락크린골드' `베비락' 등의 제품을, 비피도는 분말형 비피더스 유산균 제품인 `지근억 비피더스'와 `지근억 비피더스 베이비' `엑티본' 등의 건강보조식품들을 출시하고 있다.
유산균 전문 업체 외에도 풀무원테크는 천연생약 소재를 주원료로 해 자체 개발한 유산균 제재인 락토펩-Y를 첨가한 제품 `생위보감'을 출시하고 서울기능식품은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억제하는 `세이프락'을 출시했다.
또 대웅제약의 `아기락' 삼아약품의 `노미베비락' 옵티마케어의 `옵티마바이오인키드' 비타민하우스의 `락토플러스' `키드플러스'와 대상의 `케어락'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최근에는 더멋진바이오가 캐피어를 이용한 제품 `더멋진 캐피어'를 출시해 유산균 제품의 다양화 가능성을 보였다. 캐피어 관련 제품은 국내에서는 더멋진바이오가 처음으로 출시하고 해외에는 일본의 나가가키사, 미국의 라이프워이사 등에서 상품화해 판매되고 미국과 일본에는 음료 등 가공식품에 이용돼 인기리에 판매되고 있다. 이들 건강보조식품 외에도 최근 몇 년간 불고 있는 기능성식품의 붐에 따라 유산균이 함유된 일반 기능성식품의 인기도 선풍적이다.
-선두 역할은 한국야쿠르트의 `윌'
한국야쿠르트의 `윌' 출시로 형성된 위 건강 발효유 시장은 작년에도 윌이 하루 평균 60만개 수준, 남양유업의 위력과 매일유업의 구트가 5만∼6만여 개 정도 판매되고 있는 등 발효유 시장 전체를 견인하는 추세를 지속하고 있다.
발효유에 사용되는 유산균 외에도 해태유업의 `누누' 건국유업의 `클' 크라운제과의 `헬코자일리톨껌' 소슬샘의 `프리미엄소슬생식' 등 관련 제품과 `베지퀸'에서 출시한 유산균 김치 등 일반 식품에도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 김치
1. 김치산업의 현주소
김치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발효식품이다. 쌀 위주의 식생활에서 된장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부식으로 자리매김해왔다. 맛과 기술에서 있어서도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김치 종주국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최근 식생활의 변화로 인한 국내 소비의 감소와 수입물량의 급증으로 김치종주국의 위상이 흔들리고 있다.
최근의 통계를 보면 김치의 연간 소비량은 154만 톤으로 해마다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다. 아파트라는 주거환경 탓에 김장김치를 저장할 방법이 적은데다가 여성의 사회활동 참여 확대로 일손이 많이 가는 김장을 꺼리게 된 것이 김치소비의 감소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해매다 초겨울이면 집집마다 김장 담그기가 중요한 집안 행사였지만 점차 그런 모습을 찾아보기가 힘들어지고 있다.
또한 패스트푸드 등 서구식 입맛에 길들여진 어린이들에게 맵고 짠 김치가 거부감을 불러일으키는 것도 김치 소비 감소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처럼 연간 김치 소비량은 감소 추세에 있지만 산업차원에서의 김치시장은 낙관적이다. 가정에서 직접 제조해 소비하던 김치가 이제는 김치공장에서 제조한 것으로 급속히 대치되고 있기 때문이다. 김치의 연간 총수요량에서 공장김치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94년 12%에 불과했으나 98년 30%로 크게 늘어났으며 2004년 현재는 40%에 육박하고 있다. 공장김치를 생산해내는 업체 수만 해도 600여개가 넘는다.
그러나 두산 ‘종가집김치’가 공장김치 시장의 67%를 차지할 정도로 독주하고 있을 뿐 대부분 다른 업체들은 영세성을 면치 못하고 있을 정도로 산업초기 상황에 놓여있다.
국내 김치시장은 가정에서 직접 담궈먹던 김장김치 시대에서 공장에서 제조한 김치를 사먹는 상품김치 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현상이로고 볼 수 있다.
한편 수출입현황에서는 최근 중국산 김치의 수입물량 급증으로 김치종주국의 위상에 흠집이 나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한 해 동안 김치의 수출은 3만4천 여 톤인데 반해 수입은 두 배인 6만8천 여 톤으로 물량 면에서는 이미 수입국으로 전락했다.
2. 김치 왜 중요한가
매일 먹는 밥상에 약방에 감초처럼 올려지는 김치. 그런데 우리는 그 김치가 왜 그리 중요한지를 모르고 그저 습관적으로 먹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각종 연구결과 김치가 우리 몸에 얼마나 좋은지가 과학적으로 속속 입증되면서 김치의 중요성이 새삼 부각되고 있는 것은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김치만 있으면 밥 한 그릇 뚝딱’이라는 어른들의 말이 빈말이 아니라는 것이 증명되고 있는 것이다.
김치는 만들 때 들어가는 재료만 보더라도 건강식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우선 김치는 각종 채소류들이 골고루 혼합되어 있는 혼합 채소식품이다. 게다가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유산균(젖산균) 또한 풍부해진다.
김치의 주요 재료인 배추와 마늘, 고추 등은 항암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이미 밝혀진 식품들인데다가 발효과정을 거쳐 더욱 항암 효과가 증가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김치는 이제 반찬 없을 때 밥을 먹기 위한 기초식품이 아니라 전형적인 기능성 식품으로 각광받고 있는 것이다. 특히 김치에 함유된 특수 성분 중 몇 가지는 뛰어난 기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마늘이나 파의 다이아릴설파이드, 알리신 등은 항암 성분으로 알려져 있고 고추의 캡사이신, 카로틴 등은 항산화성분으로 항암 작용을 갖는다고 한다.
또 배추의 시토스테롤은 혈액 중의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작용을 하고 생강의 진저롤, 진저린 등은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됐다.
유산균은 항균성 항돌연변이성 항암성 면역기능항진 등의 효과를 보이며 요즘 최고의 인기를 얻고 있는 식이섬유질이 김치에 풍부하다는 것 또한 김치의 가치를 높여준다.
한때 젓갈류 첨가 시 발효과정에 니트로사민이 생성되어 발암을 촉진한다는 보고가 있었으나 계속적인 연구 결과 김치는 발암을 촉진하기 보다는 오히려 발암을 억제하는 효과가 탁월함이 밝혀졌다.
  • 가격2,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6.12.16
  • 저작시기2005.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30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