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반부패 정책의 특징과 성과평가 및 개선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부패개념의 확장
2. 우리의 부패수준과 국민의 인지도
3. 공무원 부패통제의 논리

Ⅱ. 반부패 정책 성과평가의 현황: 부패지수 작성과 의미
1. 반부패 정책의 특징과 성과의 평가
2. 부패지수 측정 현황
3. 반부패 정책평가 관련 노력의 평가

Ⅲ. 접근과 방법의 문제
1. 반부패 정책 평가체계의 문제
2. 방법의 문제
1) 부패 주관적 인지 조사의 한계
2) 지표의 타당성
3) 통계적 가공 - 가중치
4) NGO 부패지수 조사
3. 기타

Ⅳ. 과 제
1. 반부패 정책평가 방향 - 평가에 고려할 요소
2. 반부패 정책평가 대안
1) 반부패 정책 책임 기관과 평가 업무의 분담
2) 실적평가의 추가와 전문 평가단의 구성
3) 평가지표의 정확성 개선
4) 투명성 평가의 추가
5) 개별 정책성과에 대한 평가의 노력

V. 결 론

본문내용

위험을 크게 압도하는 상황이라고 판단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 극복을 위한 향후 과제, 대안으로 반부패 정책 법적 책임기관의 필요와 NGO 협력적 평가, 평가단 방식의 실적평가, 평가지표의 정확·타당성 개선, 투명성지수의 추가 등을 제시하였다. 본격적 성과 평가는 반부패 정책 전담부서를 필요로 하고, 정책성과 평가는 그 기본 목적을 반부패 전략이나 내용의 수정뿐만 아니라 평가지표 구성을 통한 정책적 노력의 방향 제시, 그리고 그것을 위한 경쟁 유도, 동기부여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실적평가는 대상 기관의 개혁, 혁신적 아이디어 실험, 교육 등 다양한 노력을 객관적 자료로 평가, 수렴할 수 있고, 그들의 노력을 집중할 방향을 알려주며, 반부패 혁신적 노력을 확산, 비교, 경쟁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그것을 평가체계 개선의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한국 정부의 평가 노력은 현재 가장 앞서고 적극적인 것이나 아직은 평가지표 개발 등 실험적 단계에 있다. 이 연구의 기여는 정부의 이러한 반부패 정책 성과 평가 노력에 대한 비판적 검토로 몇 가지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있다. 반부패 성과 평가 요구나 관심이 계속 높아지고 있다는 점에서 평가 관련 노력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앞으로 더욱 중요하고, 또 필요한 시점이다.
참고문헌
강신욱 (2000).「부패지수 어떻게 만드는가 - 부패지수의 방법론 비교와 평가」. 연구보고서 2000-1. 반부패행정시스템연구소.
국무조정실 (2000).「깨끗하고 투명한 정부구현을 위한 공공분야 행정제도 개선 대책」. 내부자료.
김거성 (1999). NGO 반부패 활동의 성과와 발전방향. 한국행정학회,「새 천년의 비전: 투명하고 부패 없는 사회건설」(특별세미나 발표논문집), pp.157-170.
김병섭·백승빈 (1999). 김대중 정부의 반부패 노력: 성과와 반성. 「새 천년의 비전: 투명하고 부패 없는 사회건설」(한국행정학회 1999년도 특별세미나 발표논문집). pp.1-18.
김찬곤 (2000). 투명행정의 사례, 서울시의 "민원처리온라인 공개시스템." 한국행정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행정개혁 2년: 성과와 반성」, pp.233-245.
김 택 (2001). 「국민의 정부 반부패 정책 - 평가와 개선방안」. 반부패행정시스템연구소 SIT Issue Paper 2000-4.
박중훈 (2000). 청렴지수 조사모델 및 방법. 반부패행정시스템연구소,「최근 반부패 국제 동향과 실증적 접근」(Seminar paper 2000-2), pp.87-121.
박중훈 (1999).「부패지수 측정모형 개발」. 한국행정연구원.
최병대 (2000a).「시정 청렴성 측정을 위한 모형개발(II)」. 시정연 2000-R-15. 서울시정개발연구원.
최병대 (2000b). 청렴도 측정을 위한 모형. 반부패행정시스템연구소,「최근 반부패 국제 동향과 실증적 접근」(Seminar paper 2000-2), pp.123-148.
최병대·이종원 (1999).「청렴성 측정을 위한 모형개발에 관한 연구(I) - 5대 민생취약분야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갤럽 (1999).「1999년 서울시 5대 민생취약분야 반부패지수(청렴성) 조사결과 보고서」.
한국행정학회 (1999). 「새 천년의 비전: 투명하고 부패 없는 사회건설」. 특별세미나 발표 논문집.
Elliott, K.A. (1997). Corruption as an international policy problem: Overview and recommendations. In K.A. Elliott (Ed.). Corruption and the global economy. (pp.175-233). Washington, DC: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conomics.
Lambsdorff, J.G. (1999). The Transparency International Corruption Perception Index
1999 - Framework document. Transparency International.
Mauro, P. (1995). Corruption and growth.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0(3), 681-712.
Park, J. (2000). Measuring corporate corruption in Korea. SIT Working Paper No.1.
Pierros, P., & Hudson, C. (1998). The hard graft of tackling corruption in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 Progress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he OECD Convention. Journal of World Trade, 32(2), 79-102.
Rose-Ackerman, S. (1997). The role of the World Bank in controlling corruption. Law & Policy in International Business, 29(1), 93-114.
Wamey, J.M. (1999, June). Can corruption be measured? - Bank offers diagnostic tools to measure and combat corruption in member countries. Bank's World, 3(6), 1-3.
Working Group. (1998). Report of the Working Group on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Washington, D.C.: International Monetary Fund.
Zedalis, R.J. (1997). Internationalizing prohibitions on foreign corrupt practices: The OAS convention and the OECD revised recommendation. Journal of world Trade, 31(6), 45-61.
  • 가격3,2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1.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887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