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 교육 과정의 변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화학 교육 과정의 변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교육과정이란

□ 교육과정의 변천 및 배경
교수요목기
제1차 교육 과정기
제2차 교육 과정기
제3차 교육 과정기
제4차 교육 과정기
제5차 교육 과정기
제6차 교육 과정기
제7차 교육 과정기

□ 3~7차 화학교육과정의 비교 및 분석
3. 4차 화학교육과정의 비교
4·5차 화학교육과정의 비교
5·6차 화학교육과정의 비교
6·7차 화학교육과정의 비교

본문내용

으로 학습시킬 뿐만 아니라 문학을 통한 과학 교육이나 미술과 연계한 과학 교육, 신문 활용을 통한 과학 교육 등 과학과 타 교과와의 통합을 통한 전 연관적인 통합적 접근을 경험하게 하므로 학습자의 전인적인 삶의 능력을 함양하려고 진보적이고 개방적인 과학 교육을 시도하고 있다.
제 7차 교육 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선택 교육 과정의 운영이다. 선택의 주체는 각 교육청과 학교, 그리고 학생으로 되어 있으며 여건에 따라 신축적으로 운영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그렇지만 선택 교육 과정은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처음 시도되고 있는 만큼 선택의 주체로부터 대학 입시에 어떻게 반영하게 되는지, 교원 수급 문제 등의 많은 과제를 내포하고 있다. 제 7차 교육 과정의 과학의 영역에서 신설된 과목이 생활과 과학 이다. 이 과목은 생활 속에서 과학의 원리를 발견하고 또한 과학적 원리를 실생활에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표를 두고 있다. 그러므로 학생들은 실생활과 관련된 과학적인 자료들을 조사하고, 수집하여 분석하도록 한다. 이를 토대로 생활 속에서 마주치는 여러 가지 문제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태도를 길러 주도록 한다. 생활과 과학 에서 화학과 관련된 단원은 쾌적한 생활의 깨끗한 공기와 맑은 물, 편리한 생활의 신소재에 관한 것이다. 쾌적한 생활은 제 6차 교육 과정의 화학Ⅰ 주변의 화합물 단원의 일부이며, 편리한 생활은 공통과학의 현대과학과 기술 단원의 일부이다. 과목의 성격이 지식을 위한 것이 아니라 실생활과 밀접한 것을 탐구하고 생각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교사는 지역 특성이나 여건에 맞추어 적절한 학습 지도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③ 화학Ⅰ에 대하여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이 과목은 인문계 고등학교의 문과 학생들을 위해 편성 운영된 과목이었다. 그러나 제 7차 교육 과정은 문과나 이과의 구별이 없어지게 되므로 대학에서 이공계를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이 주로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이 과목은 지식 영역을 크게 줄이고 있다. 6차 교육 과정의 물질 세계의 규칙성 단원이 삭제되고 주변의 화합물 단원을 주변의 물질 및 화학과 인간으로 분할하고 있다. 내용 요소에 있어서는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 다만 화학과 인간 단원에 화학이 해결해야할 과제가 소단원으로 추가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물의 특성이나 수용액에서의 반응, 물과 우리 생활 등의 소단원에서는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의 전해질과 이온, 산과 염기 단원과 연계시키도록 교육 과정을 운영하고 금속의 반응성과 성질, 탄소화합물 단원 등은 주변에서 사용되는 금속과 탄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수준에서 그 내용이 다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④ 화학Ⅱ에 대하여
제 6차 교육 과정에서 이 과목은 대학에서 이공계를 전공할 이과 학생들이 배우는 과목이었다. 선택 과정으로 운영하게 될 제 7차 교육 과정에서는 대학 입시의 반영 요소에 따라 화학Ⅱ를 선택할 학생들의 비율이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제 7차 교육 과정의 화학Ⅱ 지식 영역은 제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그 내용 요소가 축소되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6차 교육 과정에 비해 축소된 내용은 미미하다. 물질의 상태와 용액 단원은 6차 교육 과정의 단원과 동일하며, 물질의 구조 단원은 6차 교육 과정의 원자 구조와 주기율 단원과 화학결합 단원이 합쳐진 상태이다. 또한 화학 반응 단원도 6차 교육 과정과 동일하게 편제되고 있다. 다만 제 6차 교육 과정의 물질의 과학 단원이 삭제되고, 원자 구조와 주기율 단원의 알칼리족 원소, 할로겐족 원소, 전이원소 소단원은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삭제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제 7차 교육 과정에서 화학Ⅱ를 선택하는 학생들은 대학에서 이과대, 공과대, 농과대, 약학대, 의학계열 등을 전공할 것이며 일견 화학에 흥미가 있거나 재능이 있다고 판단한 학생들이 선택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국민 공통 기본 교육 과정에서의 화학 관련 내용이나 화학Ⅰ의 지식 영역보다는 심화된 지식내용과 대학의 일반화학이 연계될 수 있는 내용들을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도록 고안해야 할 것으로 본다.
1. 인문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1979, 문교부.
2. 유치원·국민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정에 관한 종합세미나 보고서, 1981, 한국교육개발원.
3. 고등학교 교육과정, 1984, 문교부.
4. 교육과정 개정안(총론)의 연구·개발 답신보고서, 1981, 한국교육개발원.
5. 기초과학 진흥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1979, 한국교육개발원.
6.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운영 실태조사연구, 1980, 한국교육개발원.
7.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해설, 1988, 문교부.
8. 고등학교 교육과정 개선 기초 연구, 1990, 문교부.
9. 제5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교과서의 비교연구, 1990, 이화여자대학교(최정희).
10. 고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해설, 1988, 문교부.
11. 제6차 교육과정의 고교 화학 교과서 내용분석과 제7차 교육과정 교과 내용에 관한 연구, 2000, 연세대학교(전효성).
12.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화학 I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내용 및 탐구 활동을 중심으로, 1999, 충남대학교(서옥현).
13.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화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2002, 연세대학교(정상찬).
14.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화학 교육 과정의 연계성 연구, 2002, 연세대학교(장인영).
15.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분석-화학영역을 중심으로, 2005, 건국대학교(이건범).
16.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 고등학교 화학교육 과정의 운계성 연구, 2005, 성균관대학교(박선하)
17. 새로운 교육과정에 의한 고등학교 과학Ⅱ(하) 및 화학교과서의 비교 분석 연구, 1991, 충남대학교(한상순).
18.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비교 분석 연구 : 중학교 1학년 과학 교과서 중 화학영역의 내용 및 편성을 중심으로, 2002, 순천대학교(백학순).
19. 화학교육 www.chemed4u.net
  • 가격3,000
  • 페이지수31페이지
  • 등록일2007.02.1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45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