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더니즘에 대항하는 포스트모더니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모더니즘에 대항하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포스트모더니즘을 맞이하면서
1. 모더니즘이 있기까지
2. 모더니즘의 모순

Ⅲ. 포스트모더니즘과 마주서서
1.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2. 포스트모더니즘- 모더니즘에 反하다
3. 포스트모더니즘 - 대중을 느끼다

Ⅳ. 포스트모더니즘, 그 속으로
1. 아방가르드 - 모더니즘에 실망한 사람들
2. 다다이즘 - 역설의 예술
3. 초현실주의
4. 추상표현주의
5. 팝아트- 일상 속으로 파고든 예술
6. ‘록’- 부르주아에 반항하다

Ⅴ. 나오면서

# 참고문헌

본문내용

, 거리의 문화가 되었고, 중산층 젊은이들조차 그것을 닮아갔다. 나아가 그들은 의도적으로 부르주아의, 기성세대의 가치를 거부하고 이 저항의 문화를 받아들였다. 마침내 그들은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부르주아의 성 도덕, 그리고 그것이 수반하는 남성 중심의 포르노로 대표되는 여성의 상품화라는 양면성에 대해 비판했으며, 이는 곧 18세기 말 이래 서구 사회의 가치체계를 장악해온 부르주아 성문화와 가족 이데올로기에 대한 반발이 폭발한 것을 의미한다. 서이자, 「록 음악의 저항문화 :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와 문화가치에 대한 도전」, 『역사와 문화』3호, 푸른역사, 2001, pp. 130~132.
1970년대, 록의 뒤를 이어 펑크록이 등장한다. 그들은 소외된 자들의 분노를 대변하면서 록의 저항정신을 계승하였다. 그들은 거리문화를 발전시켰고, 거리의 10대들, 소수 인종과 게이와 같은 자들을 대변하였다.
그들의 장발, 피어싱 등은 이런 저항정신이 복장에서 나타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이렇듯 록음악은 부르주아에 반하는 성격을 지녔다. 이것은 놀라운 것이었다. 정해진 악보에 따라 기계같이 연주하는 것만이 제대로 된 음악이라는 생각을 지닌 부르주아에 대한 반발이기도 했다. 그것은 음악의 형식화에 반발했다. 정해진 음표대로 노래하는 것을 거부했다. 그들은 괴성을 질러대기도 했다.
Ⅳ. 나오면서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입장은 긍정적인 견해와 부정적인 견해의 두 가지로 크게 요약될 수 있다. 그 하나는 포스트모더니즘을 상품화와 저속한 대중문화로 특징지어지는 후기자본주의 사회의 문화적 논리, 또는 다국적 자본주의시대에 제국주의적 선진자본주의 국가들이 새로운 시장 개척을 위하여 만들어낸 지배 이데올로기의 한 형태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 관점에서 보면,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특수하고 부분적인 문제를 교묘하게 호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는 현 체제를 더욱 공고히 하여주는 역기능을 담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그것은 어떻게 해서든지 타파하지 않으면 안 되는 대상이라고 결론 짓는다. 다른 입장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그동안 모더니즘이 높이 쌓아올린 성곽이나 미로에서 벗어나는 일종의 돌파구나 탈출구에 해당한다. 인종이나 성별 또는 종족적인 차별화를 극복할 수 있는 획기적인 전략으로 간주하기도 한다.
이러한 입장에서 알 수 있듯이,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논쟁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그것 중에서 주목할 만한 것은 68혁명을 실패한 혁명으로 보느냐 아니면 성공한 것으로 보느냐이다. 그것이 실패했다고 한다면 그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을 후기근대로 보는 것이다. 근대는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지금도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부르주아의 시대이기 때문이다. 68혁명이 성공했다고 한다면 이것은 문화적으로는 성공했다. 이것은 문화혁명으로서는 성공적인 것이었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낳았기 때문이다. 그것은 근대로부터 벗어나는 것, 즉 탈근대적인 것이다.
하지만 필자는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고 싶다. 그것은 모더니즘에 대해 비판만 가했지, 그것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는 않았다. 포스트모더니즘, 그것은 대안을 제시할 수는 없는가? 아니다.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언제나 지배문화에 대항하는 저항문화, 反문화가 발생한다. 그리고 이어 대안이 제시된다. 또 그것이 그 실책을 드러내거나 혹은 그것에 안주하여 변질하게 되면 또 다른 反문화가 등장한다. 이것은 무엇을 말하는가? 포스트모더니즘, 그것은 대안을 제시하여야 만 한다고 문제제기를 한 대서, 즉 그것을 깨닫게 해줌으로서 의미가 있는 것이다. 새로운, 현재의 모더니즘 탄생을 예고하는 것이다.
# 참고문헌
김영한ㆍ임지현 편, 『서양의 지적운동』, 지식산업사, 1994
존스토리, 『문화연구와 문화이론』, 현실문화연구, 1994
마크 애론슨 지음, 장석봉 옮김, 『도발(Art attack)』, 도서출판 이후, 2002
진휘연 지음,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2
니코스 스탠고스 편, 성완경ㆍ김안례 역, 『현대미술의 개념』, 문예출판사, 1994
에드워드 루시스미스 지음, 김금미 옮김, 『20세기 시각 예술』, 예경, 2002
M. 칼리니스쿠 저, 이영욱 외 3인 역, 『모더니티의 다섯 얼굴』,시각과 언어, 1993
서이자, 「포스트모던 음악의 등장과 민중문화 전통의 재건」『미국사연구』제 16집 논문
서이자, 「록 음악의 저항문화 : 부르주아 성 이데올로기와 문화가치에 대한 도전」, 『역사와 문화』3호 논문

키워드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3.03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4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