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의 재문화화와 용산미군기지 시민생태공원화 운동사례 및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 론

2. 공간의 재문화화, 공간의 정의(正義), 생태문화

3. 공간의 부정의와 생태문화공간화 : 용산미군기지의 시민생태공원화 운동
1) 군사공간으로서 용산기지의 성격
2) 공간 부정의(spatial injustice)의 기원
3) 공간 부정의의 양상
(1) 공여지란 공간의 부정의
(2) 기지부지사용의 공간 부정의
(3) 기지주변에 대한 공간 부정의
(4) 주변 토지이용에 대한 공간 부정의
(5) 생태환경에 대한 공간 부정의
(6) 식민화와 소외를 강제하는 공간 부정의
(7) 이전과 활용을 둘러싼 공간의 부정의
4) 용산기지의 정의로운 공간활용 : 생태문화공간화 전략
(1) 원칙
(2) 생태문화공간으로서 재현의 조건
(3) 문화(변혁)적 전략과 과제

4.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두 시민켐페인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다섯째, 이같은 시민운동이 성공을 거두려면 기지부지가 국가와 자본에 의해 장악되는 개발지로 전락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시민운동을 통해 처음부터 강구해가야 한다. 즉, 생태문화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해 필요한 토지소유관계, 조성방식, 관리방식 등을 규정하는 '용산생태문화공원 조성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여섯째, 생태문화성은 기존의 개발개념 및 방식으로는 쉽사리 구현될 수 없는 것이며, 그런 점에서 이는 시민들의 창조적 운동을 통해 도출되고 구체화되어야 할 새로운 가치이다. 이 가치가 땅의 소유관계, 조성방식, 관리체계 등에 녹아들기 위해서는 용산생태문화공원을 담아내는 제도적 틀 자체가 달라야 한다. 그 틀을 우리는 '용산공원을 위한 시민 트러스트(civic trust)'라 본다. 시민트러스트는 시민들의 자발적인 성금, 기부, 기증, 헌납, 봉사 등으로 조성된 시민신탁(적립자산)이면서, 동시에 이를 재원으로 하여 시민들이 생태문화공원을 직접 조성하고 관리하는 (공익 신탁법인격의) 운동체(運動體)를 지칭한다
) 이와 관련하여 참조가 될 수 있는 선진국의 제도는 영국의 '내셔널 트러스트(national trust)'이다. 1894년에 시작된 영국의 내셔널 트러스트는 시민들의 성금과 기부 등을 받아 보존가치가 있는 자연 및 문화유산을 확보하고 이를 시민주도적으로 영구히 보존하는 운동이다.
.
4. 맺음말
이 글은 우리의 도시공간이 가지고 있는 공공성의 부재를 공간정의론적 관점에서 평가하면서, 이를 극복하는 실천수단으로 '생태문화운동'을 용산미군기지를 사례로 하여 제안하였다. 공간정의론적 관점에서 현금의 우리 도시를 들여다 보는 것은 여러모로 의미있는 분석적 시도라 할 수 있는 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의의는 공간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 그 불평등을 낳는 권력성을 주목할 수 있게 해주는 점이다. 공간을 통해 불평등을 강제하는 권력성은 역사적, 경제적, 정치적, 군사적, 계급적인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매개되어 작동한다. 그러니까 도시공간의 파편화, 식민화, 소외화 등의 문제는 바로 이러한 권력적 요인들이 유발하는 분열적이고 불평등적인 메카니즘에 의해 규정되어 출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그래서 도시공간의 공공성 회복은 이러한 불평등 메카니즘를 근본적으로 초극할 수 있는 실천적 전략을 통해 강구되어야 하는 데, 이글은 바로 생태문화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생태성은 당대의 편익을 우선하는 개발주의의 극복, 역사적으로 상실한 주체성의 회복, 도시적 삶의 탈소외화를 이끌어내는 초절적 가치로 설정된다. 하지만 생태성의 구현은 일상 삶 자체를 변화하는 조건, 즉 문화적 개혁과 실천이 뒤따르지 않으면 안된다. 이를테면 도시의 빈 공간을 당장 개발하는 대신 개방녹지공간으로 보전하려면 녹지의 생태적 중요성을 일상의 계산 구조 속에서 실제 수용해낼 수 있는 의식이나 생활방식의 변화, 즉 생태화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생태는 이런 점에서 대안적 문화창출이라 할 수 있다. 요약한다면, 도시공공성의 회복이 기울어진 공간정의의 추를 바로 잡는 것이라면, 이 때 생태문화성은 정의의 추를 설정하는 보편적인 잣대가 된다는 것이다. 용산기지의 생태문화공간화는 이런 개념을 실제 적용한 사례이다.
참고문헌
서울특별시, 1991, '용산 군이적지 활용방안과 기본계획'.
쉴즈, 조명래, 2000, '르페브르: 일상생활의 철학자', <<공간과 사회>>, 제 14 호.
조경진, 1995, '미완의 용산가족공원', 나라정책연구회편, <<옷을 갈아입는 아파트>>, 서울: 열린세상.
용산구청, 1995, '용산구기본계획'.
이정전, '공리주의와 롤즈의 정의론에 입각한 환경정의', 환경정의포럼 주관 <<정의의 눈으로 환경을 본다>> 심포지움 발표논문(1999.11.25).
조명래, 1997, '근대성·도시·도시성', <<한국사회학>>, 제 31 집.
조명래, 2000a, '용산기지의 이전과 그 활용 방안', 문화개혁시민연대편, <<용산미군기지를 시민생태공원으로>> 자료집.
조명래, 2000b, '용산기지의 시민생태공원화 운동', <<민족예술>>, 6월호.
조명래, 2000c, '한미행정협정의 환경조항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녹색교육>>, 여름호.
조명래, 2000d, '20세기 근대화 속의 서울지방자치', <<향토 서울>> (서울시사편찬위원회편), 60호.
최병두, 1999, '맑스주의적 환경정의론', 환경정의포럼 주관 <<정의의 눈으로 환경을 본다>> 심포지움 발표논문(1999.11.25).
주한미군범죄 근절을 위한 운동본부, 1996, <<한미행정협정 너, 오늘 임자 만났다>>.
한국도시연구소편, 1996, <<인간주의 도시론>>, 서울: 한국도시연구소.
한면희, 1999a, '환경정의와 시대적 요청', 환경정의포럼 창립기념토론회 발표논문 (1999.7.15).
한면희, 1999b, '환경정의의 이론과 실제', <<환경과 생명>>, 가을호.
한면희, 1999c, '생태정의를 위한 새로운 모색', 환경정의포럼 주관 <<정의의 눈으로 환경을 본다>> 심포지움 발표논문(1999.11.25).
함인선, 1989, '용산공원화와 신도시건설의 반민중성', <<사회와 사상>>, 7월호.
홍성태, 2000, '군사공간의 생태적 재생', <<공간과 사회>>, 제 14호.
Cho, M.R., 2000, 'Yong-san military base in Seoul: demilitarization of Space for Cultural Ecology', paper presented at People's 2000 Forum, Seoul, Korea, Oct. 18-20 2000.
Shields, R., 1998, Lefvre, Love and Struggle, London: Routledge.
Shields, R., 2000, 'Military landscape and cultural ecology', paper presented at People's 2000 Forum, Seoul, Korea, Oct. 18-20 2000.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3.1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