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직과 관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관직과 관계

1)관직의 구조
(1)관직의 설치와 구분
(2)재추직과 참상직·참외직
(3)서리직과 권무직
(4)실직과 산직

2)국초의 관계와 문산계
(1)국초의 관계
(2)문산계

3)무산계와 향직
(1)무산계
(2)향직

본문내용

것 같다.
구체적인 사례들을 검토하여 볼 때, 고려에서 무산계를 받은 사람은 향리와 탐라의 왕족여진의 추장노령의 병사工匠樂人들로 나타나고 있다. 이런점에서 볼 때 무산계는 특정인들에게 주어진 영예적 칭호였다고 생각된다. 또 이들에게는 경제적은 혜택까지 뒤따랐는데 武散階田이라 하여 그것을 수여받은 사람들에게 토지가 지급되었다.
(2)향직
종래 향직은 향리의 직 또는 계로 이해하려는 경향이 많았다. 그러나 향직이 곧 향리의 직이 아닌것만은 분명하다. 대광정광 등의 향직과는 계통을 달리하는 호장부호장 등의 향리직이 따로 있었기 때문이다. 향직은 대체적으로 관인과 구별되는 특정 부류에게 수여한 영예적 칭호였다. 이러한 조직 서열체계를 향직이라고 이름한 그 때의 향은 京에 대비되는 鄕이 아니라 唐에 대비되는 鄕으로서, 그것은 국풍 내지는 고려풍을 의미하는 뜻이었다고 한다. 그리하여 향직은 관인을 상대로 한 중국식 문산계와는 계통을 달리하는 고려적 질서체계로서 고려 고유의 영역은 말할 것 없고 여진의 추장에게 수여한 사례에서 파악되듯이 영역 밖의 사회까지도 포괄하는 조직의 기능을 했다는 것이다.
향직의 소지자에게는 제도가 마련된 처음부터 경제적 혜택이 부가되어 있었던 것이 어느정도 확실한데, 하지만 그와 같은 전시의 사급이 여진의 추장과 같은 외국인에게까지 베풀어졌을까는 의문시되는 점이 많다.
향직은 충렬왕 24년(1298)을 마지막으로 하여 그 이후에는 보이지 않는다. 아마 이 시기를 전후하여 점차 소멸되어 간 것 같다. 향직은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대략 300년 동안 존속했던 조직 체계였던 것이다.
  • 가격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7.03.15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2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