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형 복지정책의 영역과 범위분석을 통한 한국형 복지정책 발전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 론

II. 복지정책의 모색에 대한 주요한 네 가지 시각과 견해
1.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시각(The Liberal-Pluralist Perspective)
2. 구조주의적 맑스주의 시각(The Structural-Marxist Perspective)
3. 국가 중심적인 시각(The State-Centered Perspective)
4. 권력자원 이론적인 시각(Power Resources Perspective)

III. 영국형 복지정책의 시각

IV. 영국형 복지정책에서 다원주의의 요소
1. 영국형 복지정책의 내용
2. 자유주의적 다원주의 시각에 근거한 영국 복지정책의 내용
1) 연금정책
2) 주택정책
3) 기타 복지 정책 개혁
4) 노동과 연금부의 신설
3. 영국 복지정책의 이념과 목적

V. 한국형 복지정책 발전에의 시사점

VI.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배정책이 필요하겠지만 국민소득의 증가가 정체 되 있는 상태에서 성장보다는 분배의 정책 모색은 국민소득의 증가의 달성을 요원하게 만들 가능성이 상존 하고 있다. 복지 분배 정책은 "표적집단정책(target-group policy)"에 근거하지만, "거시경제정책(macro economic policy) 이자 재정정책(fiscal policy)"는 중산층 육성 정책이다. 영국에서 노동당이 추진하였던 이상주의적인 베버리지 복지 프로그램과 케인지안 경제정책의 결합이 한계에 봉착함으로써 대처 정부의 모색은 자유주의적 경제정책과 통화주의 정책의 접근이었다. 일자리 창출을 위한 전략산업지원, 중소기업지원, 벤처기업 및 창업지원 등을 위해 막대한 재정 지출이 요구되어 지고 성장을 통한 분배 정책으로써 "전략산업지원, 기술혁 신, 일자리 창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소득지원" 순으로 복지정책을 모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관점은 영국의 복지정책의 분석에 의해 타당성과 적실성을 부여 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순. (1996). 「복지국가의 위기와 재편」. 서울:서울대학교
고경환. (1998). OECD 기준에 따른 우리 나라의 사회보장비지출 규모, 「보건복지포 럼」. 제21호, 6월호
윤진훈. (1998). 우리 나라 시회보장재정의 규모와 수요전망. 「국회보」. 7월호
황윤원외. (2003). 「정부개혁론」. 서울:박영사.
허원구.(1997). 수정복지국가이론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보」
Baldwin, Peter, (1990). The Politics of Social Solidarity: Class Bases of the European Welfare State 1895-197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Beveridge, W. (1912). Unemployment: A Problem of Industry. New York: Longmans, Green & Co.
Cousins, Christine. (1987). Controllling Social Welfare. ST. Martins Press: New York.
Cox, R.H., (1998). "The Consequences of Welfare Reform: How Conceptions of Social Rights are Changing," Journal of Social Policy, 27(1):1-16.
Delanty, Gerard, (1993). Inventing Europe: Idea, Identity, Reality, London: Macmillian Press Ltd.
Esping-Anderson, Gosta, (1990). The Three Worlds of Welfare Capitalism,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Furniss, Norman, and Tilton, Timothy. (1979). The Case for the Welfare State: From Social Security to Social Equality, Bloomington and London: Indiana University Press.
Gilbert, B. B. (1996). The Evolution of National Insurance in Great Britain: The Origin of Welfare State. London.
Hefferman, W.J. (1975).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Policy: Power, Scarcity and Common Human Needs. Illinois: F.E. Peacock Pub;isher Inc.
Lash, S. and Urry, J. (1987). The End of Organized Capitalism. Cambridge: Polity.
Lowe, Rodney. (1993). The Welfare State in Britain since 1945. London: Macmillian.
Ludlam, Steve and Smith, Martin J. (1996). Contemporary British Conservatism, Macmillan Press Ltd.
Marshall, T.H. (1964). "Citizenship and Social Class" in Class, Citizenship, and Social Development,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Millward, Neil and Stevens, Mark. (1986). British Workplace Industrial Relations 1980-4.
Mishra, Ramesh, (1984). Welfare State in Crisis: Social Thought and Social Change, Brighgton: Wheatsheaff Books.
O'Connor, James. (1973). The Fiscal Crisis of the State. New York: St. Martin's Press.
Offe, Claus. (1972). "Advanced Capitalism and the Welfare State," Politics and Society(Summer).
Offe, Claus, (1984). Contradictions of the Welfare State, Cambridge, Mass.: MIT Press,
Olsson, S.E. (1990). Social Policy and Welfare State in Sweden. Lund: Akiv forlag,
Panitch, Leo. (1979) "The Development of Corporatism in Liberal Democracies" in Trends Toward Corporatist Intermediation, edited by Schmitter, Philippe C. & Lehmbruch, G., Beverly Hills: Sage.

추천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3.22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2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