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의 생애 작품 활동과 시의 특징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목월의 생애 작품 활동과 시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박목월
<목 차>
Ⅰ. 박목월의 생애

Ⅱ. 시기별 작품 활동
1. 초기의 시세계- 환상적 서정으로서의 자연
2. 중기의 시세계- 지상적 사랑으로서의 가정
3. 후기의 시세계- 존재 근원으로서의 절대자

Ⅲ. 박목월 시의 특징
1. 동심 지향
2. 모성 지향

Ⅳ.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게 해주는 것이라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다.

중심부에서
쩔렁쩔렁 울리는
지팡이 소리가 들렸다.
순은의 고리를 단,
세례요한의, 사도 바울의.
성에가 녹아 내리는
유리창 밖으로 세상은
고기비늘처럼 찬란했다.
눈에 덮인 기왓골에서
만세를 부르는
묵시록의 아침 햇빛
-<중심부에서> 전문
하느님을 만난 후 박목월의 삶은 완전히 탈바꿈되었다. 하느님의 사랑과 은총 속에서 모든 것이 풍요하고 충만하게 보이기 시작한 것이다. 박목월은 이 시에서 하느님의 은총과 영광을 발견하고서 유리창 밖으로 보이는 세상이 고기비늘처럼 찬란하다고 경탄하고 있다. 박목월은 자신이 발견하고 만난 절대자로서의 하느님, 곧 근원인 하느님은 그의 존재의 근거이고 삶의 전부가 된다. 그에게 있어 하느님을 만난다는 것은 이전과 아주 다른 체험이다. 절대자의 사랑 안에서 모든 피조물은 하나가 되고, 모든 생명의 근원이 하느님에게 있으며 그 손에 달려 있다는 것을 믿게 된다. 또한 하느님을 통한 거듭난 삶과 부활에의 꿈은 그의 존재와 그의 삶을 새롭게 전환시켜주는데, 이렇게 기독교적인 시는 당시의 어두운 삶으로부터 이겨나갈 수 있는 힘을 주는 것이다.
Ⅲ. 박목월 시의 특징
1. 동심 지향
박목월의 초기 시는 환상과 상상력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자연의 지도이며, 동심적 환상이 시적 상상력으로 이어질 때 청노루가 등장하게 된다. 청노루, 청운사, 자하산 등의 자연은 동심의 환상적 요소와 관계있는 것이다. 청노루는 동심의 중심이며 환상의 중심체이다.
가정을 이룬 뒤의 식구들에 대한 애정으로 나타난 시도 동심은 스며있는데, 이것은 가혹한 현실의 삶을 극복하고자 하면서 지상의 삶의 한계를 인식하는 시들에서도 긍정적 자세를 견지하는 것은 동심이 상하지 않게 하기 위한 배려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승 저승 다 다녀도
인정보다 귀한 것 있을락꼬
-<만술 아비의 축문(祝文)> 중에서
또 목숨에 대해, 삶의 존재에 대해 탐구하는 시간에도, 어둠 속에서도 허둥거리지 않을 수 있는 것은 시인이 동심을 잃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어메야,
누군 한 평생
만년을 사나.
허둥거리지 않고
제 길로 가면 그만이지.
-<천수(天水)답(畓)> 중에서
2. 모성 지향
그의 시에서 어머니는 삶과 영혼의 좌표이며, 신앙시에서 부활의지를 발견하게 해주는 모체이다. <난.기타> 이전의 시에서는 어머니가 그리움이 담긴 동심으로 나타나고 모성이 숨겨져 있다. 그의 시에서 본격적으로 어머니가 표면에 나타나는 것은 <난.기타> 이후의 시부터였다. 생활 경영의 지혜와 영혼적 삶의 안내자 성격을 띤 모성이 나타남에 따라 동심은 밑바탕에 숨어든다.
목월의 동시, 생활시, 신앙시 등 모두 어머니와 밀접한 관계를 지니고 있는데 후기의 신앙시에서 후기의 신앙시에서 이 점이 확대되어 드러난다. ‘마리아’를 잉태했다는 싯귀에서 어머니의 눈동자를 통해 예수, 갈릴리 바다를 보게 되는 싯귀에서 어머니와의 영향 관계를 보게 된다. 그리고 목월의 향수, 향토는 소년시절 체험과 관계가 있는데 그 체험을 충족시키고 있는 것 또한 어머니 이미지인 것이다. 어머니 존재로 해서 향수가 지속적인 것이 되고 또한 기독신앙과 신앙시가 생산되는 것이다.
구석마다
어머니의 음성
온 집안에
팔팔한 즐거움의 요정(妖精)
아무리 추운 날에도
아무리 고달픈 날에도
집에만 돌아오면
더운물에
발을 담그듯
머리를 감듯
우리를 싸안아 주는
어머니의 음성
그 즐거움의 Fairy.
-<어머니의 음성(音聲)>
Ⅳ. 결론
박목월은 시의 성취에 있어서 한국시사에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 그는 한 곳에 안주하는 시인이 아니었으며 끊임없는 시도로 성숙을 꾀한 시인이었다. 초기 시에는 환상적 서정으로서 자연을 노래하면서 우리 민족의 고독과 애수를 말하였다면, 중기 시에는 지상적 사랑으로서의 가정을 통해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삶 속에서 깊이와 안정을 더해 갔다고 할 수 있겠다. 마지막으로 후기 시 존재의 근원으로서의 절대자를 통해 어려운 현실 속에서 온전한 평안과 안식을 찾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모는 부단한 시인의 탐구 아래서 이루어 질 수 있었고, 해방 이후 한국 시단의 주류 형성에 이바지 했으며, 문학사적의 가치도 크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문헌>
박현수 <박목월> 새미 작가론 총서14, 새미, 2002
김형필 <박목월 시연구> 한양대 대학원, 2005
이형기 <자하산 청노루> 박목월 평전, 문학 세계사, 2006
김인숙 <박목월 시연구> 아주대 교육대학원 논문, 2004

키워드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6.14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4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