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론 - 한국영화와 에로티시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론 - 한국영화와 에로티시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1. 문제제기와 연구 목적
2. 연구 문제와 방법

II. 본론
1. 섹슈얼리티와 에로티시즘
2. 70년대와 80년대의 한국 영화와 에로티시즘의 등장
3. 90년대 후반 이후의 에로티시즘 영화
4. 한국형 에로티시즘에 대한 논의

III. 결론
1. 결론 및 제언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본문내용

할 수 있다. 그리고 한국형 에로티시즘은 본론 세 번째 장에서 이미 언급했듯이 결국 두 가지 명확한 한계점을 가지게 되었다.
우선 한국 영화는 다른 문화 장르와 마찬가지로 사전 검열로 인해 표현의 자유가 완전히 보장되지 못해 왔기 때문에 제작자나 작가가 아무리 뛰어난 미적 감각으로 에로티시즘 영화를 제작하려 해도 그것이 애시당초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다. 비록 90년대 후반 이후 제도 개선을 통해 사전 검열이 완화되고 있다고는 하지만 여전히 '사전 검열'로서 등급심의가 존재하는 이상 창작과 표현의 자유를 보장하지 못한다는 점에서는 마찬가지이다. 더군다나 폭력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용적이지만 성(性)에 대해서 지나치게 금기시하는 우리 사회의 경향 역시 에로티시즘의 자유로운 표현을 막고 표현 예술로서의 영화 발전을 막는 또다른 검열이라고 할 수 있다.
다른 하나의 한계는 영화계의 뿌리깊은 엘리트 의식에서 비롯된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유명 제작자와 감독들은 자신들의 영화에서 에로티시즘을 표현하는 것에 대해 지나치게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경우가 대표적이다. 서구의 경우는 물론 에로티시즘의 역사가 깊은 이유도 있겠지만 유명 제작자와 감독들이 에로티시즘을 영화로 담아내는데 주저하지 않지만 국내의 사정은 다르다. 이 역시 사회의 뿌리깊은 성적 금기의 소산이라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B급 에로 영화와는 비교될 수 없다는 엘리트주의 역시 '몸'가까이 카메라를 들이대는 것에 대한 금기를 만들어 내는 것에 일조하였다. 물론 이러한 현상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서히 사라져 가고 있고 또 성적 금기에 대한 반론이 꾸준히 제기되는 사회적 변화 속에서 점차 약화되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성에 대한 뿌리 깊은 강박관념을 완전히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다.
III. 결론
1. 결론 및 제언
한국 영화에서의 에로티시즘은 결국 영화의 산업적 측면과 성적 금기에 대한 사회적 시각의 변화, 그리고 검열 제도의 완화 과정에 따라 달라져왔다. 이것을 단순히 '발전해왔다'라고 말할 수 없는 것은 한국 영화의 역사에서 에로티시즘이 단순히 흥행을 위한 도구로만 이용되어 왔을 뿐 이에 대한 깊은 고찰과 미학적 연구가 미진하기 때문이다. 다만 90년대 후반 이후 시도되고 있는 몇몇 실험적인 영화들에서 에로티시즘이 흥행을 위한 도구가 아닌 미학적 주체로서 표현되고, 또 깊이있는 성담론을 담아내는 통로로서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한국의 에로티시즘 영화가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볼 수 있다. 또한 영화 텍스트의 기반(infrastructure)을 구성할 수 있는 문학과 미술 등의 분야에서 에로티시즘이 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는 점 역시 한국 에로티시즘 영화의 미래를 엿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렇게 에로티시즘 영화 성장의 여건이 만들어지고 있는 상황이라도 표현의 자유가 제한된다면 에로티시즘 영화의 발전을 이루기는 힘들 것이다. 에로티시즘 영화의 발전을 위해서는 하루빨리 검열 제도가 완화되고 관련법이 정비되어 전용 상영관이 설치되는 등의 개선 작업이 선행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과거 한국 영화사를 돌이켜 볼 때 영화계의 발전은 검열 제도의 완화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이 이러한 논거를 뒷받침 한다.
한국 영화에서는 '폭력의 미학'이라는 표현은 가능하다. 그리고 상당수의 액션 장르 영화들이 이러한 '폭력의 미학'을 표방하며 작품성이나 흥행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는 폭력의 표현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관대한 사회적 분위기와 검열 기준에 의해 가능했다. 이와 같은 논리로 '에로티시즘의 미학'이 허용되게 된다면 그간의 실험적인 시도와 시행착오를 밑거름으로 하여 한국 영화에서도 철학적이고 미학적인 고민이 충실히 담겨 있는 에로티시즘 영화가 등장할 수 있을 것이다.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영화를 분석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너무나 많은 이론들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그 내용들이 매우 난해했으므로 우리가 연구하고자 했던 한국 영화에서의 에로티시즘을 정확히 분석할 수 있는 틀을 찾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그래서 특정한 분석 틀을 가지고 영화 속 에로티시즘을 살펴보기보다는 한국 영화의 역사적인 맥락에서 에로티시즘은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고 어떤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가를 분석해 보고자 했고, 사회적 금기와 검열로 인해 한계점을 가질 수 밖에 없는 한국 영화에 나름대로 에로티시즘의 개념을 적용해보고자 했다.
그러나 에로티시즘이 가지는 개념이 너무나 방대했기 때문에 한국 영화 속에 나타난 어떤 현상을 에로티시즘으로 규정할 것인지에 대한 개념의 정의가 모호해지고 말았다. 그에 따라서 연구의 전반적인 깊이가 얕아졌고 명료한 분석과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미학적 의미에서의 에로티시즘에 대한 충분한 연구는 물론이고 다양한 영화 분석틀을 이용하여 역사적인 맥락에서의 에로티시즘 분석 뿐만 아니라 각 영화들 안에서 에로티시즘이 어떤 의미를 갖고 어떠한 기호로 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보다 통합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 화, 2003,「새로 쓴 한국영화전사」, 서울 : 다인영화신서.
호현찬, 2000,「한국영화 100년」, 서울 : 문학사상사.
백기수, 1996,「미의 사색」, 서울 : 서울대출판부.
전미정, 2002,「한국 현대시와 에로티시즘」, 서울 : 새미.
아네트 쿤, 2001,「이미지의 힘 - 영상과 섹슈얼리티」, 이형식 옮김, 서울 : 東文選
현실문화연구, 1994, 「섹스 포르노 에로티즘 : 쾌락의 악몽을 넘어서」.
영화진흥위원회 영화아카데미 정책 연구실, 2003,「2002년 연감」.
영화진흥위원회, 2000,「1999년 한국영화 및 외국영화개봉현황」.
Kenneth McLeish edited, 1993, Key Ideas in Human Thought, New York : Facts on File.
대종상영화제 홈페이지
http://www.daejongsang.com
씨네21 홈페이지
http://www.cine21.co.kr
성신여자대학교 부설 한국여성연구소
http://www.sungshin.ac.kr/%7Ekowoin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7.01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