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의 출산의례와 관혼상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 전통의 출산의례와 관혼상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의 출산 의례와 관혼상제
1. 출산의례

2. 관례 : 사례(四禮)의 하나인 성년례(成年禮).

3. 혼례 : 혼인(婚姻)의 예절(禮節) 또는 예식.

4. 상례 : 사람이 죽은 후 장사 지내는 예법.

5. 제례 : 제사 예절

본문내용

≒기신제·기일제·기제(忌祭).
음복[飮福] : 제사를 지내고 난 뒤 제사에 쓴 음식을 나누어 먹음.
수조[受] : 제사를 지낸 뒤에 제관(祭官)이 제사에 쓰고 난 고기를 나누어 받던 일.
시향[時享] :
1 음력 2월, 5월, 8월, 11월에 가묘에 지내는 제사. ≒묘사(墓祀)·시사(時祀)·시제(時祭).
2 음력 10월에 5대 이상의 조상 무덤에 지내는 제사. ≒묘사·세일사·시사·시제·시향제
바. 가정의례준칙
가정의례준칙 [家庭儀禮準則] : 가정의례에서 허례의식을 일소하고 낭비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정된 규칙. 혼례(婚禮)·상례(喪禮)·제례(祭禮)·회갑연(回甲宴) 등 가정의례에서 허례허식을 일소하고, 그 의식절차(儀式節次)를 합리화함으로써 낭비를 억제하고 건전한 사회기풍을 진작(振作)할 목적으로 제정한 대통령령이다. 1973년 5월 17일 대통령령 제6680호로 처음 제정되었다. 모든 국민은 가정의례의 의식절차를 이 준칙에 따라 엄숙하고 간소하게 행하도록 되어 있다.
가정의례 [家庭儀澧] : 가족 구성원의 출생·혼인·사망 등과 관련해서 가족을 중심으로 행하게 되는 일련의 의식 절차. 전에는 관혼상제(冠婚喪祭)라는 말로서 관례(冠澧:성인식)·혼례·상례·제례를 아울러 가정의례의 범주에 넣었고, 여기에 출생과 관계되는 백일·돌·생일·회갑을 포함시켰다. 조선시대에는 국가에 의해 가정의례가 강력하게 추진되어, 유교적인 관혼상제가 《경국대전》에 규정되었다. 그러나 이 법전의 가정의례 절차는 신분에 따라서 차등을 두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신분을 내세우기 위해서 다투어 사치와 성대함을 일삼게 되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관례가 점차 소멸되고, 농촌에서는 전통적인 가정의례가 꾸준히 계승된 반면, 도시에서는 그리스도교의 영향을 받아 점차 간소화되었다. 광복 후에는 조상숭배를 중시한 전통적인 가족제도가 무너지면서 죽은 조상에 대한 제례는 경시되고 산 사람을 위한 혼례와 회갑례 등의 의의를 보다 중요시하게 되었다. 1960년대에 이르러 산업화·도시화가 촉진되자 혼례와 상례를 대행하는 예식장·장의사 등 전문업이 발전하여 의례는 가정에서 벗어나 대행업자에 의존하게 되었다. 또 경제발전과 함께 특히 상례·혼례·회갑례 등의 가정의례는 사치와 호화를 더하여 그 폐단이 사회문제로 대두하였다.
이에 따라 정부는 1973년 ‘가정의례에 있어서 허례허식을 일소하고 그 의식절차를 합리화함으로써 낭비를 억제하고 건전한 사회기풍을 진작한다’는 취지로 가정의례에 관한 법률과 그 시행령 및 시행세칙, 그리고 가정의례준칙 등을 제정, 공포하고 국민에게 그 시행을 권장하였다. 이로써 법적으로 정한, 또는 법적으로 문제 삼는 가정의례의 범위는 혼례·상례·제례·회갑례임이 확실하게 되었다. 이 법률과 그 시행령·준칙 등은 그뒤 여러 차례 개정되어 시행되어 왔다. 이 법령은 몇 가지 사항은 허례허식 행위라고 금지하고 있다.
①청첩장 등 인쇄물에 의한 학계 초청, ②기관·기업체·단체 또는 직장 명의의 신문 부고(訃告), ③화환·화분, 기타 이와 유사한 장식물의 증여, ④답례품 증여, ⑤가정 밖에서의 음식물 접대, ⑥굴건제복(屈巾祭服)의 착용과 만장(輓章)의 사용 등이다. 또 혼례에서는 약혼식을 하는 일과 함잽이 보내는 일을 규제하고, 상례의 장기(葬期)는 3일을 원칙으로 하고, 상기(喪期)는 부모·조부모·배우자를 위해서는 100일로 정하고 있다.
이로써 가정의례가 법적인 규제를 받으면서 간소화가 시도된 지 30년 가까이 되었다. 그동안 우리 사회는 각 종교에 바탕을 둔 가정의례와 종래의 전통에 바탕을 둔 유교적인 가정의례가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나, 절차의 사치·호화 문제는 여전히 시정되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6.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8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