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장 서론

제 2장 중증질환에 대한 의료사회사업적 개입방안
제 1절. 중증질환에 대한 이해
1. 중증질환의 개념
2. 중증질환의 범위
1) 건강보험에서의 중증질환 범위
2) 의료급여에서의 중증질환 범위
3) 국가 의료비 지원사업 대상 질병
제 2절. 중증질환자와 가족에 대한 이해
1. 중증질환자의 심리적 특성
1) 심장병
2) 암
2. 중증질환자를 둔 가족의 문제
1) 가족의 정서적 갈등
2) 경제적 부담
3) 환자간호의 문제
4) 환자가족의 이용자원 부족
3. 중증질환자의 문제와 대책
1) 심리(정서)적 문제와 대책
2) 치료 과정에 관한 정보의 문제와 대책
3) 사회적 문제와 대책
4) 경제적 문제와 대책
제 3절.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사업적 개입
1. 개인 수준의 개입 방안
2. 가족 수준의 개입 방안
3. 사회정책 수준의 개입 방안

제 3장 소아암
제 1절. 소아암에 대한 이해
1. 소아암의 개념
1) 암
2) 소아암
3) 소아암의 원인
2. 소아암과 성인암의 차이
3. 소아암의 종류
1) 백혈병
2) 악성림프종
3) 뇌종양
4. 소아암을 의심하게 하는 증상
5. 소아암의 치료
6.소아암의 발생 현황
1) 2002년 소아암(0~14세) 등록현황
2) 연도별 소아암 등록현황 3) 주요 소아암(0-14세)의 한.미.일 생존율 비교 ( 최종 수정일 : 2007.07.19 )
제 2절. 소아암 환아와 가족에 대한 이해
1. 진행 상태에 따른 소아암 환아와 가족의 심리적 특성
1) 진단 시와 초기치료 시
2) 관해시기 및 통원치료시기
3) 재발
4) 말기
2. 소아암 환아를 둔 가족의 문제
1) 사회적 역할 수행 문제
2) 환경적 문제
3. 소아암 환아의 문제
제 3절.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사업적 개입
1. 환아와 가족을 위한 집단교육 프로그램
2. 의료사회사업적 호스피스 프로그램
3. 사회적응력(사회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개입
1) 부모 교육 및 상담
2) 또래관계의 양적 질적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4. 예술을 이용한 개입
1) 음악치료
2) 미술치료
5.경제적 지원 및 민간단체 정보 제공

제 4장 장기이식
제 1절. 죽음에 대한 이해
1. 죽음 이해의 필요성
2. 죽음의 판단 기준
1) 심폐사
2) 뇌사
3. 뇌사와 식물인간 상태의 구별
4. 뇌사의 판정절차
1) 뇌사판정의 신청
2) 뇌사의 조사
3) 뇌사의 판정
4) 기록의 보존
제 2절. 장기이식에 대한 이해
1. 장기이식의 개념
2. 장기이식의 종류
1) 공여자와 수령자 사이의 유전인자의 차이 또는 관계에 따라
2) 기증할 수 있는 장기
3. 장기이식의 사회적, 윤리적 특성
1) 자율성의 원칙
2) 악행금지의 원칙
3) 자애의 원칙
4) (분배)정의의 원칙
4.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른 함의
5. 장기이식의 현황
1) 뇌사자의 장기이식 현황
2) 이식대기자 현황
6. 장기 이식 절차
제 3절. 이식 대상자에 대한 이해
1. 기증자의 심리적 특성
2. 수혜자의 심리적 특성 및 문제
1) 신체적 문제
2) 심리적 문제
3) 사회적 문제
4) 가족 문제
5) 경제적 문제
제 4절.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사업적 개입
1. 사회사업 서비스의 법적 근거
2. 적합성 평가 직무
3. 개인 수준의 개입 방안
4. 집단 수준의 개입 방안
5. 장기기증 신청자 등록 및 상담업무
제 5절. 의료사회복지사의 사회사업적 개입 활성화 방안
1. 적합성 평가 직무영역
1) 혈연간 생체이식
2) 비 혈연간 생체 이식
3) 이타적 동기에 의한 생체이식
4) 뇌사자 장기이식
2. 임상개입의 활성화 및 개발
1) 개별사회사업 강화
2) 집단 프로그램 개발
3) 지지집단 프로그램의 예
3. 장기기증 신청자에 대한 지속적 관심부여 및 홍보활동

제 5장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등의 영양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교육, 훈련, 실무 경험 및 보수교육을 받은 면허 있는 영양사의 지도에 의해 영양서비스를 수행합니다.
- 환자와 가족에게 제공된 서비스를 모두 기록하고 보관합니다.
○ 약제
호스피스·완화의료는 환자의 약학적 요구를 충족하는 약제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제서비스를 적절하게 제공합니다.
- 투약, 복약 지도 등 약제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환자의 부작용 및 특수한 약물경험을 확인하고, 이에 대한 적절한 약제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약사는 호스피스·완화의료 팀과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개별 환자에게 투여된 약물에 대한 정보 및 자문을 제공합니다.
- 환자와 가족에게 약에 대한 교육과 상담을 제공합니다.
○ 사별관리
호스피스·완화의료는 환자와 가족이 임종과 관련된 비애와 상실의 문제에 적응하도록 돕기 위해 필요시 사별관리를 제공합니다.
- 다음과 같은 평가에 근거하여 사별관리를 제공합니다.
환자, 가족의 슬픔과 상실문제
유가족의 요구
사회적, 종교적, 문화적 배경
위험 요인
병적인 애도 반응의 발생 가능성
- 환자 사망 후 필요시 개별상담, 지지집단, 편지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유가족에게 지속적이고 규칙적이며 계획성 있는 사별관리를 제공합니다.
- 사별관리 제공자는 환자 사망 전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했던 팀 구성원과 정보를 교환합니다.
- 사별관리는 가족과 개인을 상담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추고 사별관리에 대한 교육과 적절한 훈련을 받은 자에 의해 지도 받습니다.
- 사별관리를 제공하는 인력은 적합한 훈련을 받아야 하며, 훈련프로그램은 문서화합니다.
▶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의 연계
호스피스·완화의료는 기관형태에 관계없이 1일 24시간 1주 7일간 이용 가능하며, 언제 어디에서든 환자와 가족이 원할 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환자와 가족이 1일 24시간 1주 7일간 의료 및 간호서비스를 이용 가능하도록 합니다. 또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규정된 조직과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 모든 서비스, 약품, 기구, 물품을 항상 비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 호스피스·완화의료 서비스는 최소한의 간호 서비스, 진통제 및 약물, 기타 서비스 및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구, 물품 등을 갖추며, 1일 24시간 1주 7일간 이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합니다.
▶ 호스피스·완화의료 원칙
호스피스·완화의료기관은 ‘표준’의 제 1장에 의거하여 다음의 원칙에 따라 호스피스·완화의료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아래의 원칙들은 명문화되고 공개되어야 합니다.
- (대상자범위) 말기환자와 가족을 단위로 합니다.
- (환자와 가족의 권리) 서비스 계획과 선택에서 환자와 가족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자율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보장합니다.
- (팀구성과 팀서비스) 면허 또는 자격을 갖춘, 훈련된 호스피스·완화의료 전문요원과 자원봉사자로 이루어진 팀을 구성하고 다학제간 협력을 통하여 효율적인 팀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개별화된 서비스) 환자와 가족의 요구를 지속적으로 평가하고 환자에게 적합한 개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서비스 내용) 환자와 가족의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영적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의료, 간호, 사회복지, 영적 상담, 자원봉사 및 사별관리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서비스 연속성) 기관형태에 관계없이 1일 24시간 1주 7일간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기관간의 연계체계에 의해 언제 어디에서든 환자와 가족이 원할 때 제공합니다.
- (가정/입원서비스) 환자가 친숙한 가정에서 머물면서 통증 및 증상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되, 집중적 관리가 필요할 경우 이에 적합한 입원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질 향상) 환자와 가족의 요구와 일치하는 양질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질 향상을 추구합니다.
※참고자료;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 2008년 말기암환자 호스피스 지원기관
기 관
주 소
연락처
가톨릭대학교 강남성모병원
서울 서초구 반포동
02-590-2890
가톨릭대학교 대전성모병원
대전 중구 대흥동
042-220-9004
갈바리의원
강원 강릉시 홍제동
033-644-4992
계명대 동산병원
대구 중구 동산동
053-250-7738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서울 구로구 구로동
02-2626-3133
국민건강보험공단 일산병원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백석동
031-900-0740
광주기독병원
광주 남구 양림동
062-650-5029
남원의료원
전북 남원시 고죽동
063-620-1198
대구 파티마병원
대구 동구 신암동
053-940-7003
모현의료센터
경기 포천시 신읍동
031-536-0066
샘물의원
경기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031-334-4811
샘안양병원
경기 안양시 만안구 안양5동
031-467-9300
서울대학교병원
서울 종로구 연건동
02-2072-2857
성가롤로병원
전남 순천시 조례동
061-720-6070
성빈센트병원
경기 수원시 팔달구 지동
031-249-7759
성이시돌복지의원
제주특별자치도 제주 한림읍 대림리
064-796-2244
전진상의원
서울 금천구 시흥동
02-802-9311
천주의성요한병원
광주 북구 유동
062-510-3270
청주참사랑병원
충북 청주시 흥덕구 미평동
043-298-9100
한동대선린병원
경북 포항시 북구 대신동
054-245-5542
가톨릭대학교 성가병원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소사동 2
032-340-2114
경남지역암센터
경남 진주시 칠암동
055-750-9011
보바스기념병원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금곡동
031-786-3000
성바오로병원
서울시 동대문구 전농2동
02-958-2234
세브란스병원
서울 서대문구 성산로 250
02-2228-6630-6
엠마오사랑병원
전북 전주시 완산구 중화산동 1가
063-230-5300
영남대학교병원
대구 남구 대명5동
053-623-8001
전북대학교병원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063-250-1114
충남대학교병원
대전 중구 문화로 33
042-280-8540
화순전남대병원
전남 화순군 화순읍 일심리 160
061-379-7343
※참고자료; 국가암정보센터 www.cancer.go.kr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2페이지
  • 등록일2008.03.31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8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