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정신지체인의 일반적 특성, 적응행동, 작업평가 및 작업수행력간의 상관관계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정신지체의 정의 분류와 특성
1. 정신지체의 정의와 분류
1) 미국정신지체협의회 정의(AAMD)
2) 미국 정신의학협회의 정의
3) 분류 지적 기능으로서의 정신지체 분류
2. 정신지체의 원인과 증상

Ⅲ. 정신지체인의 평가도구
1. 정신지체인의 표본작업평가
2. 적응행동 평가
3. 정신지체인의 직업흥미검사
4. 정서 및 행동

Ⅳ. 연구대상 및 방법

Ⅴ. 연구결과 및 고찰
1. 연구대상자의 특성
2. 변수간 상관관계 분석
1) 연령, 교육수준과 작업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2) 지능, 적응행동, 작업평가와 작업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3) 언어성 지능, 동작성 지능와 작업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4) 지능과 적응행동, 작업평가 간의 상관관계
5) KWIS 각 항목과 작업수행력간의 상관관계
6) ABS 각 항목과 작업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7) WS 각 항목과 작업수행력 간의 상관관계
8) KWIS 각 항목과 ABS 각 항목 간의 상관관계
9) KWIS 각 항목과 WS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
10) ABS 각 항목과 WS 각 항목간의 상관관계

Ⅵ. 결론 및 제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지능은 작업수행력과 유의한 관련이 없었으나 동작성지능과 정확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을 보여 시지각 변별과 근육의 통합력이 작업수행력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각 도구의 항목간의 비교에서도 이와 같은 결과들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에서 작업수행력과 가장 관련성이 높은 도구는 작업평가였다. 이는 지능검사가 안되고 적응행동이 부족한 중증장애인들도 작업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았다면 긍정적인 잠재능력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작업수행력의 잠재력을 예측할 경우 한가지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은 지양해야 하며 여러 도구에서 산출된 결과도 종합적이고 긍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다음은 현장에서 작업훈련을 시켜본 경험으로 볼 때 나타난 결과로 위의 사실을 뒷받침해 주는 자료이다.
기초학습력, 지시이해, 개념이 부족하여 지능이 낮은 정신지체인도 집에서 살림을 하거나 청소를 잘하는 경험이 있고 ABS 중 독립기능, 직업전활동, 자기관리, 책임항목 점수가 높으며, WS 중 협응력 항목 점수가 높을 경우, 작업수행력이 높게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지능검사와 작업평가 검사결과의 관련성에서 KWIS의 토막짜기 항목의 점수가 0'이고 WS의 분류 항목 중 모양따라하기 세부항목의 수준이 낮을 경우 동작성 지능이 낮으면 정확도의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있고 동작성 지능이 높으면 잔존능력이 대치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어 훈련 후 작업수행력이 높을 수 있다. KWIS의 토막짜기, 바꿔쓰기, 모양맞추기 항목의 점수가 낮은 경우 또는 WS의 모양따라하기, 형태지각, 눈손실수 항목의 수준이 낮아도 작업수행력의 부진을 예측할 수 있다.
WS의 손협응력, 손가락협응력 항목의 점수가 모두 높으면 작업수행력이 좋고 도구사용이나 공구사용의 경험이 부족하여도 훈련 시 짧은 기간에 적응할 수 있었다. 손협응력, 손가락협응력 항목의 수준이 차이가 있을 경우는 높은 수준의 잠재력을 예측할 수 있었다. 손가락협응력이 높을 경우 작업수행력은 좋을 수 있고 손협응력이 높을 경우 미세한 운동(fine motor coordination)을 요하는 작업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2. 제 언
첫째, 정신지체인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도구를 활용해야 하며 결과를 종합적이고 긍정적으로 해석해야 한다. 현장에서 작업훈련을 시켜 본 경험으로 볼 때 지능, 적응행동, 작업평가의 점수가 모두 높으면 작업수행력은 높게 나타났으나 정서 및 행동적 요인으로 실제 적응력이 낮은 경우도 있어 정서나 태도도 적응력에 많은 영향이 있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둘째, 미래의 연구는 본 연구에서 평가한 항목 이외의 흥미, 심리적 특성, 작업태도, 부모의 태도와 직업재활 적응력간의 관련성도 알아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위의 평가를 취업 집단과 미취업 집단, 남녀별로 나누어 비교해 볼 필요가 있겠다.
셋째, 작업수행력을 측정하는 시점이 1개월이였는데 미국의 경우 18개월 간의 평가기간을 고려해 볼 때 중증장애인의 경우 작업수행력의 잠재력을 예측하는 시점에서는 부적절할 수 있으므로 차기 연구에서는 6개월 이상 1년 정도의 시점에서 측정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넷째, 위의 결과 전통적인 직업평가방법이 성인 정신지체인의 작업수행력을 예측 할 수 있으므로 전통적인 평가의 활용과 연구도 지속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전통적인 직업평가는 지원고용에서의 생태학적 평가가 대두되면서 필요성이 약화되고 있으나 초기의 효율적인 직업배치를 위해 중요성이 강조된다. 직업평가가 현재 수준및 특성의 파악과 보상 및 대치할 수 있는 방법의 고안, 목표설정, 지원방법을 모색하는 자료로 활용된다면 직업평가가 활성화될 수 있고 중증 정신지체인의 경우 사회적인 복지수준이 높아지고 환경평가와 지원이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다면 정신지체인의 적응력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강우선, 일본판 사회생활 능력검사의 국내 적용을 위한 예비연구, 성지재활연구 제5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7.
권현주 외, 비언어성 직업흥미검사,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
_________, 장애인의 진단 및 평가,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2.
_________, 직업준비평가지침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
_________, 마이크로타워 표본작업평가지침서,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1996.
김승국, 적응행동검사지침서 재판, 중앙적성출판사, 1996.
박주병, 일반직업적성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67.
一般職業適性檢査 使用說明書, 竹井機械工業株式會社, 1986.
Botterbusch K. F., Vocational Assessment and Evaluaion Systems:A Comparison, MDC, 1987.
Garske, G. et al., "Canonial Correlation Analysis of the McCarron-Dial System and the General Aptitude Test Battery". Vocational Evaluation and Work Adjustment Bulletin, Vol.28, 1995, 55-60.
McCarron, L. & Dial, J., McCarron-Dial Evaluation System:A Systematic Approach to Vocational, Education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sment (2nd ed.), Dallas,TX:McCarron-Dial system, 1986.
POWER P.W., A Guide to Vocational Assessment (2nd ed.), PRO-ED, 1991.
Pruit, W.A., Vocational Evaluation, Wisconsin: Walter Pruit Associates, 1986.
Wehman, P. et al., "Vocational Curriculum for Developmentally Disabled Persons", In W.G. Revell et al., Vocational Evaluation, Austin:PRO-ED, 1980, 73-93.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8.06.03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7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