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정의,목적,역사,과정, 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문제점, 성공적인 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방안(선진국 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정의,목적,역사,과정, 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문제점, 성공적인 재활(의료재활, 재활의료, 장애인재활, 재활사업) 방안(선진국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재활의 정의

Ⅲ. 재활의 목적
1. 수단적 목표
2. 궁극적 목표

Ⅳ. 재활의 역사

Ⅴ. 재활의 과정
1. 사정/평가단계
2. 동기조성(動機造成) 단계
3. 재활중재(再活仲裁) 단계
4. 퇴원계획 단계
5. 추후관리(追後管理) 단계

Ⅵ. 우리나라 재활의료의 문제점
1. 재활의료 병상 수의 부족
2. 재활의료 건강보험 저수가
3. 중간단계 재활병원의 부재
4. 의료재활 환자의 의료기관으로 접근의 문제
5. 장애로 인한 추가 지출비용

Ⅶ. 선진국의 장애인 재활 사례
1. 미국의 장애인 재활
2. 영국의 장애인 재활
3. 독일의 장애인 재활
4. 일본의 장애인 재활
1) 장애인 복지제도의 체계
2) 장애인 복지시설 사업

Ⅷ. 성공적인 재활의 대책방안
1. 환자의 회복 잠재력(Potential)
2. 환자의 참여의지(Motivation)
3. 사회와 가족의 지지(Family and Social Support)
4. 잘 짜여진 재활치료 팀(Good Rehabilitation Team)

본문내용

1961년에 개정되어 1974년에는 중증장애인법(Schwerbehindertengesetz:SchwbG)이 되었다. 중증장애인법은 16명 이상을 고용하는 모든 민간 기업의 사업주, 관공서에 6%이상의 장애인 고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독일의 ?재활조정법(Rehabilitation Anglichungsgesetz:RehAnglG)?은 사회보장 각 부분에 짜여져 있는 리헤빌리테이션 급부의 조정과 그 담당기관에 의해서 행해지는 리헤빌리테이션 실시절차의 통일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한편, 독일에 있어서 재활관계시설을 보면 다음과 같다. 직업적 재활시설은 성인근로자가 장애를 입어 전직해야 하는 경우 직업훈련, 재훈련을 행하는 곳이다. 청소년 직업훈련시설은 장애를 가진 청소년이 직업적인 교육을 받는 최초의 시설이다. 의학적 재활 및 직업준비를 위한 센터는 의학적 재활과 직업적 재활을 병행하려고 하는 데 있다. 중증장애인을 위한 공장은 장애의 종류, 정도에 따라 일반노동시장에서 일하기가 곤란한 중증장애인을 위한 적절한 직장을 마련하여 일할 기회를 제공하는 시설이다.
4. 일본의 장애인 재활
1) 장애인 복지제도의 체계
일본의 복지제도는 사회보험, 공적부조, 사회복지, 공중위생의 네 가지로 체계화 되어있다.
2) 장애인 복지시설 사업
입소갱생(재활)시설: 의학적 치료나 생활훈련을 필요로 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사회통합을 목표로 재활훈련 프로그램을 종합적으로 실시하는 시설이다.
통소 갱생시설 : 입소 갱생시설과 동일한 종합적 재활프로그램을 실시하는 시설이다.
생활시설 : 중증장애인을 의학적 관리 하에 필요한 보호를 받으며 재활하는 시설이다.
재가 장애아 통원시설
장애아 입소시설
작업시설
장애인 복지공장 : 생산능력이 있어도 통근사정 등으로 일반기업에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취업을 위한 공장이다.
중증장애인 수산시설 : 취업이 불가능한 중증장애인이 입소 또는 통소하는 시설이다.
지역중심의 이용시설
장애인복지센터
기타 이용 시설
Ⅷ. 성공적인 재활의 대책방안
1. 환자의 회복 잠재력(Potential)
재활치료에서 환자의 회복 잠재력을 정확히 평가하는 것은 올바른 치료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뇌졸중(stroke) 환자들 중에서 약 10%는 아무런 치료를 제공하지 않아도 회복이 잘 되며, 다른 10%는 어떠한 치료방법을 동원해도 아무런 효과가 없으며, 약 80%는 재활치료를 받은 환자군이 그렇지 않은 군보다 기능회복이 훨씬 양호하다. 여기에서 아무런 효과가 없다고 되어 있는 10%는 소위 기능회복 잠재력이 없다고 간주되는 환자군이다.
또 사지 절단 환자를 예로 든다면, 어떤 하지 절단자(lower extremity amputee)중에는 의족을 착용하면 축구도 할 수 있고 디스코 춤도 출 수 있을 정도로 보행기능이 좋아지는 반면에 어떤 환자는 아무리 좋은 의족을 장착시켜도 전혀 보행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이 걸을 수 없는 환자군이 회복 잠재력이 결여되어 있다고 평가되는 것이다. 재활치료는 각 환자의 회복 잠재력 정도에 다라서 알맞는 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가장 성공적인 치료성과를 이끌어낼 수 있다.
2. 환자의 참여의지(Motivation)
재활치료 프로그램은 다분히 참여적(participatory)이다. 재활치료의 어느 단계에서는 환자의 질병의 치유과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훈련(discipline or practice)을 통해서만 기능회복이 가능하다. 훈련을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참여를 필수로 하고 있다. 참여를 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긍정적 의지(motivation)를 필요로 한다. 환자의 의지를 고취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자신과 가족과 의료팀의 노력이 필요하다.
3. 사회와 가족의 지지(Family and Social Support)
환자의 초기 치료단계에서 나중에 사회 복귀 단계에 이르기까지 환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가족과 사회의 직접적 도움(환자를 부축하거나 먹여 주거나 하는 등), 심리적 격려, 긍정적 이해, 재정적 뒷받침이다. 특히 직장에 채용되어 생산대열에 참여하는 등 사회에의 재적응을 위해서는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개인적 차원의 장해(disability)를 성공적으로 극복시켜 놓았다 하더라도 사회적 지지가 없으면 사회적 장해(handicap)는 그대로 남아있게 마련이다. 재활의학이 선진국에서만 주로 발달되어 왔던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서였다. 사회적 지지도가 높은 나라는 그 국가의 복지정책이 우수한 나라이고 복지정책이 우수한 나라는 다 경제적으로 부유한 나라이다.
4. 잘 짜여진 재활치료 팀(Good Rehabilitation Team)
개인적 차원의 장해(disability)를 극복하고 나아가서는 사회적 자해(handicap)를 극복하려면 잘 짜여진 치료 팀에 의한 재활치료를 거쳐야 한다. 재활치료 팀은 다양한 세부분야 전문요원(paramedical specialists)으로 구성되는데, 이들은 마치 여러 악기들이 모여 교향악을 연주하듯이 각자의 전문성을 타분야 전문 치료요원과 조화를 이루며 전체 속의 일부로 치료를 알맞게 제공할 때 가장 성공적인 치료성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양한 치료팀 요원들이 구색을 갖추어 골고루 짜여 있지 않으면 마치 여러개의 차선이 있는 고속도로에서 한 개의 차선만 막혀도 전체 교통 소통에 지장을 받듯이 치료 팀의 구성요원이 결핍되어 있거나 모두 갖추었다 하더라도 짜임새가 없으면 이상적 재활치료효과를 얻을 수 없게 된다.
참고문헌
계축문화사, 기본간호학
박희찬외(장애인복지시설 발전위원회)(2000),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사업과 운영, 한국장애인복지시설협회
박화문(1994), 지체부자유 재활훈련, 민지사
서문자 외 4인 저(1999), 재활의 이론과 실제, 서울대학교 출판부
소희영저(1999), 재활간호개정 3판, 현문사
소희영(1999), 재활간호, 현문사
이달엽(1998), 재활과학론, 서울, 형설출판사
전세일(1992), 재활치료, 뇌졸중(중풍)백과, 서음출판사
전세일(1998), 재활치료학, 계축문화사
전시자 외(2005), 성인간호학(제4판) 上 下, 현문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6.0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685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