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복지관(센터)의 현황과 직업재활현장 사례관리의 필요성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장애인 직업재활의 현황-장애인복지관(센터)
1. 장애인복지관의 직업재활현황
2. 장애인복지관에서의 직업재활서비스의 과정 및 전달체계

Ⅲ. 해외각국의 지역사회중심 장애인 직업재활사업의 실태

Ⅳ. 우리나라 장애인복지관의 직업재활사업의 문제점
1. 직업재활 전달체계 및 정책의 문제성
2. 고착화된 장애유형별 적합직종
3. 고정화된 서비스 유형
4. 직업평가 결과의 적용 한계

Ⅴ. 직업재활현장 사례관리의 필요성
1. 사례관리의 출현배경
2. 사례관리의 기본원칙
3. 사례관리의 과정

Ⅵ. 미국에서의 장애인 직업재활서비스 사례관리
1. 직업재활사
2. 직업재활국
3. 구체적인 서비스 영역

Ⅶ.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직업재활사는 년 단위로 취업실적을 배당 받는다. 취업실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취업이 된 후 직장생활을 90일 이상 유지하여야 한다. 따라서 미국에서는 이러한 실질적인 필요로 인해서라도 이 90일 동안 고용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사후지도를 실시한다. 내담자가 취업 후 이루어지는 사후지도는 취업된 내담자가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 작업 활동 및 환경에 잘 적응하고 직업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상담과 필요한 지원을 행하는 것을 말하며 취업된 내담자가 직업을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느끼고 또는 실직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그 원인의 근원을 파악하여 근본적인 해결을 실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많은 경우에 취업 전에는 예측하지 않았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적절하고 빠른 기간에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실직이 되면 해당 내담자의 낙심뿐만 아니라 어렵게 발굴한 사업체와의 관계가 나빠 질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대부분의 사후지도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한다.
* 대부분 전화 방문을 통하여 내담자 본인을 포함한 가족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을 파악하고 문제가 있을 시 내방을 요청하거나 방문한다.
- 직무, 임금, 직장문화에 대한 적응, 근로 시간 및 환경에 대한 직장생활에 대한 만족도 의뢰
- 신체적. 정신적의 피로상태 조사
- 출근 및 근무에 대한 의욕 조사
- 부정적인 생활태도 여부 조사
- 기타 심리적 변화 및 행동상의 변화 조사
- 통근상의 문제 조사
- 작업교육의 필요성 및 안정도에 대한 이해조사
* 전화 방문을 이용하고 대부분 취업초기에 업체방문 등을 실시한다.
- 내담자가 고용된 사업주에게 사후지도에 관한 기관의 역할을 설명
- 고용주에게 내담자에 관한 진솔한 의견을 청취 (예: 작업태도, 작업지시의 이해력, 수행력, 책임감)
- 직업생활에 대한 습관 및 태도를 파악 (예: 출근상황, 휴식 시간엄수)
- 직장문화의 적응력 및 사회성 조사
- 작업배치에 대한 배려사항 조사 (예: 실비개선, 작업보조도구 활용 여부)
어떤 영역에 문제가 있을 때에는 대부분 업체를 방문하여 재교육을 시키며 필요시에는 단기 직무 지도원 (short-term job coach)의 역할을 하여 고용주와 내담자가 만족스러운 직장생활을 할 수 있도록 최대의 노력을 한다.
7) 07 단계 : 취업 후 서비스단계 (post-employment services)
이 단계는 성공적인 직업재활를 마친 내담자이 때로는 지속적인 고용을 유지하기 위하여 단기적으로 직업재활서비스를 필요로 할 때 제공되는 단계를 말한다.
Ⅶ. 결 론
센터의 직업재활사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사례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인정되면서 사례관리에 대한 개념 및 과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사례관리는 지역사회 내에서 다양한 욕구를 가진 소비자에게 필요한 자원을 개발하고 연계하고 그것을 이용할 수 있게 소비자의 능력을 강화시켜 주는 원조 과정이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복지관내부의 구조체계 및 센터의 영향력에 따라 사례관리를 실시 할 수 있는 여건이 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또한 주 대상자가 정신지체와 발달장애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으로 인해 사례관리의 원칙을 구현하기에는 어려운 현실적인 문제점도 있다. 그러나 기금사업의 중심이 되는 센터는 소비자에게 포괄적이고 통합적이며 조정된 시기적절한 서비스 제공하기 위해서는 사례관리를 하여야 한다.
효율적인 사례관리를 위해서는 기관의 변화와 노력이 필수적이다. 사례관리를 위해 실무자들의 적절하고 공평한 업무부담이 되어야 하며 효율적이고, 융통성 있으며, 지지적인 행정관리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구체적으로 업무가 명시되고 지역사회 기관들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며 소비자의 불만 처리를 위한 절차가 마련되어져야 한다. 또한 전문적인 지도감독을 필요로 하며 실무자는 업무평가를 통해 계속적인 전문성 향상이 보완되어야 한다.
센터에서 사례관리의 도입과 본격적인 시행을 위해서는 첫째, 직업재활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들이 체계화되어야 한다. 즉, 의뢰, 초기면접, 평가, 직업재활서비스를 위한 계획서 작성, 계획에 의한 서비스 제공, 종결 및 사후지도의 서비스 단계들이 공식적으로 coding system화 되어야 한다. 둘째, 직업재활 전문가들에 의한 사례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직업재활서비스의 직업 평가, 상담과 지도, 지역사회와의 연계, 노동시장 및 직업에 대한 이해 등을 포함한 전문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종합적인 서비스가 제공하여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직업재활실시기관 외 다른 기관들과의 연계가 이루어져야 한다. 소비자에게 적합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행정기관, 의료기관, 교육기관, 및 노동시장 과 직업관련 기관들과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참고문헌
권선진(1997), 장애인구 대상별 특성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복지부(1999), 보건복지 백서, pp. 314-316
이익섭(1990) "현행 장애인복지의 제 과제", 장애인 직업재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이채필 (1990) "장애인 고용촉진등에관한 법률의 올바른 이해와 수용", 장애인 직업재활,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전국경제인연합회(1998) "70대 핵심규제 개혁과제"
최경구(1993) 조합주의 복지국가, 서울:한나래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1995) 연계고용제 대상 직업재활시설 현황
Altamn, B (1987), Disability Women in the Social structure, in;Susan E. Brown, Debra Connors & Nanci Stern (Eds) With the Power of Each Breath;a disabled women's anthology (Pittsburgh, Pa. Cleis Press).
Anonymous (1997), We Can Make It ; Experiences of Disabled Women in Developing Countries. International Labour Review.
  • 가격3,2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8.07.15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738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