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속의 인간과 사회복지패러다임에 관하여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속의 인간과 사회복지패러다임에 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심리사회적 사정 모형
2. 분류체계 모형
3. 행동적 사정
4. 전산화된 사정 모형
5. 생태체계적 관찰과 도식화 모형
6. 전문가 체계 모형

III 본론
1. 새로운 사회사업사정체계의 필요성
2. PIE의 구성
1) 구성배경
2) 타당도와 신뢰도
3. PIE Manual의 특성 및 구성
1) PIE체계의 특성 및 구성
2) PIE Manual의 구성 및 사례

Ⅳ. 결론

< 참 고 문 헌 >

본문내용

적이며 3년 동안 지속되었다. 따라서 5203.32로 표기된다.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FactorⅡ
(Code 5401.42) ; 경제적/기초적인 욕구 체계, 자신과 가족들의 생계비를 제 공하기에는 지역사회의 재정적 자원이 불충분함, 3년 동안
(Code 5203.32) ; 경제적/ 기초적인 욕구체계, 거주지, 기타 다른 거주문제 (유용한 주거상황이 아님), 일반적인 증상, 3년 동안
(3) FactorⅢ : 정신장애
FactorⅢ은 사회사업가와 다른 정신건강 전문가들에 의해 수행되는 정신건강 사정으로서 DSM-Ⅳ의 AxisⅠ에 따른다. 영희는 주요 우울증, 단일사례, 일반적인 증상이라는 AxisⅠ의 분류체계에 따른 평가를 받았다. 정신건강에 대한 사정은 인성이나 발달장애가 없음을 보여줄 수 있다. FactorⅢ에 따른 PIE의 설명은 AxisⅠ에 따라 주요 우울증, 단일사례, 일반적인 증상을 포함하는 296.22이고 AxisⅡ에 따르면 진단명 없음으로 표기된다(DSM-Ⅳ Manual을 참조바람).
PIE에 포함되어 있는 FactorⅢ의 설명은 FactorⅠ과 FactorⅡ의 문제를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복잡한 문제를 이해하는데 주요한 열쇠를 제공해 줄 것이다. 심리학과 정신의학 사이의 역할대립은 이러한 영역에서 아주 두드러진다. 따라서 이러한 요인들을 포함하는 것은 대인봉사 전문직이 클라이언트의 정신장애를 다루는데 유용함을 보여줄 것이다. 따라서 FactorⅢ을 DSM-Ⅳ에 의해서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 Factor Ⅲ
DSM-Ⅳ
- AxisⅠ, 296.22, 주요우울증, 단일사례, 일반적인 증상
- AxisⅡ(Ⅴ71.09) : 진단명 없음
(4) FactorⅣ : 신체적인 질병
FactorⅣ는 클라이언트가 경험하고 있는 신체적인 질병을 항목화하는 것으로 FactorⅠ의 문제와 충돌할 수도 있다. 사회사업가는 신체적 질병을 진단하기 위한 자격이 없기 때문에 FactorⅣ에 대한 설명은 어떤 전문적인 신체질병에 대한 자료에 따라 기록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영희는 천식이 재발하여 사회적 기능에 영향을 준다고 하였으며 사회사업가는 FactorⅣ의 PIE코드에 “천식(클라이언트 보고에 따름)”이라고 기재한다. 만약 영희의 천식이 의사의 진단에 의한 것이라고 하면 “천식(의사 아무개에 의함)"이라고 표시한다. 따라서 요약하여 표기하면 다음과 같다.
* Factor Ⅳ
천식(클라이언트에 의한 보고)
PIE체계는 DSM-Ⅳ에 비해서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해 보다 풍부한 자료를 제공하며, 개입이 즉각적으로 필요한 지침을 보다 쉽게 지적할 수 있다. 사회적 역할과 환경문제를 강조하지 않으면서 우울에 초점을 두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PIE체계는 DSM시리즈와는 달리 FactorⅠ에서의 소수점 이하 3자리수와 FactorⅡ에서의 소수점 이하 2자리수에 의해서 사회사업가의 위기개입의 시기와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즉, FactorⅠ에서의 소수점 이하 3자리수가 xxxx.666이거나 FactorⅡ에서의 소수점 이하 2자리수가 xxxx.66이라면 즉각적인 사회사업가의 위기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Ⅳ. 결론
본 연구에서는 사회사업영역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몇 가지 모형의 사정진단 분류체계를 살펴보고 최근 사회사업의 새로운 언어라고 불리는 PIE Manual을 사례를 들어 살펴보았다.
1994년 PIE Manual이 공식적인 모습을 드러내기까지 10여 년에 걸친 수많은 연구와 조사 그리고 검증작업들을 거쳤다. 이제 사회사업이란 학문도 그들만의 고유한 전문적 지식체계 즉 진단분류체계를 갖게 되었다. 본문 속에서 표현되었듯이 PIE는 사회사업영역에서 공통적인 의사소통수단이 될 것이다.
사회사업가들이 타 전문가 영역의 인정을 받는 전문가로서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고유한 지식체계가 있어야 하며 그것이 바로 PIE Manual이라 할 수 있다. PIE Manual의 지속적인 개발과 활용은 사회사업을 보다 전문적인 직종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하지만 미국정신의학회에서 DSM-Ⅳ를 서둘러 발표하면서 Axis Ⅳ에 심리사회학적환경적 문제를 서술식으로 광범위하게 서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같은 전문가 집단으로서의 견제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1952년부터 시작된 DSM시리즈도 자리를 잡기까지는 미국정신의학회의 엄청난 노력과 로비 그리고 수 천만불의 자금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PIE Manual이 사회사업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타 분야에서도 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사회사업가들의 노력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사회사업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가 끊이지 않고 있다. 현재PIE Manual은 미국,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등의 나라에서 실험적인 검증이 끝난 상태에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수정보완 작업을 거쳐 적용 가능하리라 생각된다. 하지만 아직은 초창기인 PIE Manual은 타 분야의 진단분류체계들과 마찬가지로 사회사업가들에게도 조차 생소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전문직으로서의 사회사업의 정체성 확립과 고유의 지식체계를 갖기 위해서라도 PIE Manual은 계속 다듬어지고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PIE Manual의 각 항목을 우리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적용시키는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김규수(1993). 의료사회사업론, 서울 : 형설출판사
전재일김상규(1996). 개별사회사업, 서울 : 형설출판사
중앙사회복지연구회 역(1996). 사회사업사전, 서울 : 이론과실천
Cheers, B.(1987). "The Social Support Network Map as an Educational Tool", Australian Social Work, 40, pp.18-24.
Donald, C.A.(1978).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Health for Adults in Health Assurance Study", Social Health, Vol.4., Santa Monica CA: Rand Research Institute.
  • 가격3,000
  • 페이지수23페이지
  • 등록일2008.09.22
  • 저작시기200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048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