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말∼조선시대 유학사상 연구동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말∼조선시대 유학사상 연구동향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고려말
2. 조선전기
3. 조선후기
Ⅰ. 일제시대~90년대까지의 주제별 연구동향
1. 고려말
2. 조선전기
3. 조선후기
Ⅱ. 일제시대~90년대 인물별 연구동향
1. 고려말
2. 조선전기
3. 조선후기

결 론

본문내용

宗(1643~1725), 晩學堂 裵尙瑜(1610~1686), 大山 李象靖(1711~1781), 東巖 柳長源(1724~1796), 黎湖 朴弼周(1665~1748), 槐潭 裵相說(1759~1789), 壺山 趙熙龍(1789~1866), 正祖(재위년 1776~1800, 생몰년 1752~1800), 冠巖 洪敬謨(1774~1851) 등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19세기 인물 연구에도 이어져, 성리학을 탈피하는 북학파에 대비하여 성리학을 고수하려는 위정척사파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 이는 화서 이항로, 鳳棲 兪莘煥(1801~1859)을 비롯하여 淵齋 尹宗儀(1805~1886), 寒洲 李震相(1818~1886), 勉庵 崔益鉉(1833~1906), 艮齋 田愚(1841~1922) 등의 연구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볼 때, 최근의 인물 연구동향은 이전 실학자 위주 연구에서 이에 대비되는 정통성리학자에 대한 연구로 전환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는 앞 절의 주제별 연구동향에서 나타난 것처럼 80년대에 본격화한 성리학긍정론이 90년대 성리학 성격논쟁으로 전환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고, 더 나아가서는 이전에 서구사상을 기준으로 근대화의 방법을 추구하던 연구경향이, 점차 중국을 비롯한 동양세계가 세계의 주도적 위치로 부상하면서, 동양사상인 성리학에서 앞으로의 개혁방향을 찾아보려는 주체적 연구경향을 반영하는 것이라 본다.
결 론
위에서 고려말부터 조선전기조선후기 유학사상사의 연구동향을, 80년대 이후 조선후기를 피폐의 시기에서 번영의 시기로 보기 시작하면서, 성리학 부정론에서 성리학 긍정론으로, 성리학 긍정론에서 성리학 성격논쟁으로 전환하는 것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렇게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살펴볼 때, 우선 방법상으로 일제시대에는 식민지사관에 따라 유교망국론의 관점에서 연구하였고, 해방 후 70년대까지는 식민지사관을 탈피하려는 노력을 하였지만 근대역사학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봉건시대 봉건이념에 입각하여 연구하다보니, 지배층의 논리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하면서 나라를 망하게 한 책임과 함께 유교부정론에 입각하여 연구되었다. 이에 대해 70년대 말 이후 80년대에는 서구중심의 역사관을 탈피하여 동양중세론에 입각한 유교긍정론이 대두하기 시작하여, 90년대에는 성리학 성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정도로 심화되어 갔다.
이에 따라 그 동안 사상과 사회경제구조를 지배피지배, 또는 형이상형이하식으로 분리하여 연구하던 경향에서, 사상과 사회경제구조는 물론이고 문화예술까지 연결하여 연구하는 경향으로 변하고 있었다. 이는 조선전기에서 신흥사대부나 사림파와 주자성리학을 연결시켜 성리학자들이 절의뿐만이 아니라 사회경제정책에서 개혁을 주도하는 것으로 연구하는 경향이나, 조선후기에서 노론 성리학자들이 양반호포론대동법노비제 등 사회경제정책에서 개혁을 주도하는 것으로 연구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동향은 그 동안 조선사회를 주도해 가는 성리학과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제도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없이 서구적 역사 발전 논리에 맞추어 연구하던 경향이, 성리학을 바탕으로 한 동양적 제도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하는 경향으로 전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고 앞으로도 그렇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렇게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살펴볼 때, 앞으로의 방향은 우선 방법상으로 정치와 사회경제, 사상, 예술을 서로 간에 밀접한 관련 없이 연구하던 기존의 연구경향을 탈피하여, 사상과 관련하여 정치는 물론 사회경제가 연결되는 연구경향으로 발전해 가야 할 것이고 현재 이런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 동안 조선사회를 주도해 가는 성리학과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제도에 대한 연구 없이 피지배층의 주변적인 경향이나 각 시기에 나타나는 변칙적인 현상을 주도적인 것으로 연구하여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이 많았는데, 앞으로는 주도적인 사상 및 제도를 연구하는데 있어서 일시적 현상이나 변칙을 파악하기 보다는 그 당시에 보편적으로 실시된 원칙을 먼저 파악하여 역사의 흐름을 잡아가야 한다. 이러한 연구 방법은 필연적으로 조선시대 주도적 사상인 성리학연구를 기본으로 하게 되고, 이는 대동사회 이상사회를 추구하는 방법이 어떠했는가를 비교 검토하는 성리학 성격논쟁으로 전개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경향은 좀더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연구방법론으로 변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를 촉진시키고 있는 것은 통신기기나 복사기나 컴퓨터의 발달 등 여러 가지 과학기술의 발전에 힘입은 바도 크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10.28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71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