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란 무엇인가jo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란 무엇인가jo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회복지란 무엇인가jo

Ⅰ. 서 론

Ⅱ. 본 론
1. 사회복지의 개념
1) 협의의 사회복지개념
2) 광의의 사회복지 개념
2. 사회복지 관련용어로서의 사회보장
3. 사회복지와 사회보장과의 관계

4. 사회복지의 변화추세
1) 사회복지이념의 변화
(1) 복지의 문제
(2) 가족의 복지기능의 상실
2) 보호방법과 주체
(1) 시설수용보호
3) 지역복지이념의 대두
4) 정치ㆍ경제적 이념의 변화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로 해서 그 단점을 보완하기 때문에 전단계가 완성되지 않으면 다음단계가 완성될 수 없다. 그리고 사회복지의 최종단계의 복지문제는 「비인간적인 삶」이다. 이것을 현대 사회학에서는 「인간의 비인간화 현상」이라고 한다.
4) 정치ㆍ경제적 이념의 변화
사회복지는 처음 민간, 주로 종교적인 차원에서 행해졌으나 종교혁명 후 특히, 영국의 경우 헨리 8세의 소위 수장령(首長令)으로 종교재산을 국가가 몰수하면서 빈민구제사업도 자연적으로 국가의 몫이 되었다. 다시 말하면, 원래 민간의 것이었던 것을 국가가 빼앗아간 것이다. 따라서 국가는 부득이하게 국가의 재정을 빈민구제에 투입하게 된 것이지 당시 정부의 능동적인 인권의식 때문이 아니었다. 이것은 그 후 빈민법의 변천사를 보면 알 수 있다. 1601년 엘리자베스 빈민법으로 집대성된 빈민법전(The Poor Law in 1601)은 국가재정의 투입이라는 의미에서 흔히 사회복지의 시초로 평가되고 있다. 이후 약 200년에 걸쳐 빈민법은 빈민구제법 이라고 하기 보다 빈민억제법으로 존재해 왔다.
오늘날 복지국가의 사상적 터전은 프랑스 대혁명으로 인한 시민권의 신장에 있었다. 프랑스 대혁명 후 신장된 시민권은 사회복지가 점차적으로 국가의 책임으로 이양되었고 개인의 복지는 국가의 책임으로 인식되고 이에 따라 복지국가의 개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초까지 세계경제는 자본주의의 발전과 함께 신속한 성장을 이루었고 이에 따라 주민들의 복지수준도 크게 향상되었다. 1-2차 세계대전 동안 어려운 고비를 넘긴 세계경제는 종전과 함께 재차 높은 성장기를 거치면서 오늘날 유럽복지국가들의 복지수준은 그 기초를 확립하였다. 1950-60년대에 걸쳐서 유럽 여러 나라들에서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급속히 늘어난 것은 고도의 경제성장과 성공적인 경제관리로 가능했었다. 그러나 1970년대 초부터 시작된 유럽 경제의 낮은 성장은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확대와 급여수준을 계속해서 증가시킬 수 없게 되었고, 이런 점에서 복지국가의 위기론이 대두되었다(Mishra,1984,5). 이러한 위기 탈출의 방안으로 복지국가들은 국가의 복지예산 삭감을 모색하게 되었고, 국가복지에서 지역사회복지에로의 방향전환을 시도하게 되었다(장인협, 1997, 25).
<표 2> 복지이데올로기의 변화와 복지의 변화형태
복지문제
서비스내용
보호방법
책임주체
이데올로기
제1단계
빈곤
물질적 급여
시설수용보호
국가
제1의 길: 보수주의
제2단계
가족의 복지 기능상실
사회복지
서비스
시설의 사회화 ㆍ탈시설화
ㆍ정상화
국가ㆍ
자치단체
제2의 길: 사회민주주의
제3단계
비인간적인 삶
삶의 나눔
지역사회복지
국가ㆍ자치단체ㆍ
지역주민
제3의 길: 신 자유주의 또는
(신중도좌파)
<표2> 인보관ㆍ종합복지관ㆍ지역사회복지의 성격비교
인보관
종합복지관
지역사회복지
비고
수행주체
지식인ㆍ종교인ㆍ대학생
전문가ㆍ공무원
전문가ㆍ공무원ㆍ주민
수혜자
빈민
저소득층
주민
재정부담
자선가
국가ㆍ자치단체ㆍ법인
국가ㆍ자치단체ㆍ민간
급여내용
현물급여
현금급여의 원칙 (예외적으로 현물 급여)ㆍ생활서비스ㆍ사회복지전문서비스
현금급여(예외적으로 현물급여) ㆍ생활서비스ㆍ
사회복지전문서비스ㆍ
삶의 나눔
주민의 태도
방관자
피동적ㆍ소극적 참여
능동적ㆍ적극적 참여
주민의 지위
제3자
제3자수혜자
수혜자ㆍ공급자
Ⅲ. 결 론
한국 고어에 이란 단어가 있다. 이것이 「사름」→「삶」이라는 동명사로 변했고 또 하나는 「사람」이라는 명사로 변했다. 즉, 사람과 삶은 같은 어원을 가지고 있다.
삶을 한자로는 生活이라고 한다. 생활이란 사람에게만 쓰이는 말이다. 삶이란 단어도 사람에게만 쓰는 말이다. 이것은 인간의 삶은 生存의 의미 그 이상의 특징적인 요소가 있음을 뜻한다.
인간의 삶에는 몇 가지 조건이 전제되어야 한다.
첫째 인간의 삶에는 喜怒哀樂이 있어야 한다.
둘째, 인간은 그 희노애락을 인식할 수 있어야 (느껴야) 한다.
셋째, 희노애락을 서로 나누어야 한다.
이 세 가지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 인간의 삶이라고 할 수 없다.
이러한 조건을 가지고 우리의 삶을 비추어 보자. 과연 우리의 삶에는 희노애락이 있는가? 우리는 그 희노애락을 느끼는가? 그리고 그 희노애락을 가족이나 다른 누군가와 충분히 나누고 있는가?
시설에서의 삶이나 재가복지의 대상이 되는 복지 수혜자들의 삶이 바로 이러하지는 않은가?. 이들에게 진정 희노애락이 있을까? 그 희노애락의 정도가 어느 정도나 될까? 그들은 누구와 희노애락을 나누는가? 인간의 삶 가운데 존재하는 희노애락은 물질이 반드시 전제되는 것은 아니다. 때로는 풍요로운 물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희노애락이 없을 수 있다. 따라서 인생의 희노애락은 물질적 욕구와 반드시 상관관계에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물질적 욕구충족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접근해야 할 것이다.
모든 사람들, 비록 복지의 수혜자들에게도 그들의 삶에 희노애락이 있어야 하고, 그 희노애락을 함께 나눌 사람이 있어야 한다. 이런 차원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행정적으로 개입할 수는 없다. 이것은 바로 지역사회의 몫일 수밖에 없다.
■참고문헌■
김광웅(1984), 사회과학연구방법론, 중판, 서울 : 박영사.
김만두(1982), 현대사회복지총론, 서울 : 홍익제.
김상규전재일(1982), 사회복지론, 서울 : 형설출판사.
김영모(1976), 한국사회복지론, 서울 : 경문사.
박종홍(1975), 일반론리학, 서울 : 박영사.
변시민(1983), 사회정책론, 서울 : 박영사.
장인협(1987), 사회복지학개론, 서울 : 서울대학교출판부.
장인협(1980), 산업사회와 사회복지, 서울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학원사 간(1972). 철학대사전.
Compton B. R.(1980), Introduction to Social Welfare & Social Work : Structure, Function & Process(Homewood, Illinois : The Dorsey Press.
Dunham A.(1970), The new Commucaity Organization, New York : Thomas Y.Crowell Company, Inc..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2.08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1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