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와 근대한자어의 성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자와 근대한자어의 성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자와 근대 한자어
Ⅱ-1.한자
Ⅱ-2. 근대한자어
Ⅲ. 조자 원리 및 조어원리
Ⅲ-1. 한문의 조자 및 조어 원리
Ⅲ-1-1) 단음절 어휘의 조자
Ⅲ-1-2). 다음절 어휘의 조어-고사성어의 조어 원리, 전고, 가차어, 구조어
Ⅲ-2. 근대 이후의 한자어의 조어원리
Ⅳ. 나오며

본문내용

본적으로 독립적 어휘가 일대일로 결합해서 새로운 어휘를 만들어 낸다. 이는 주로 병렬식 한문 어휘가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興亡 : 흥하고 망함.(서로 상대되는 의미) 因難 : 어려움.(서로 비슷한 의미) 新舊(새것과 헌것) 등과 같은 것들이다. 이들은 주로 2음절의 한문 어휘에서 유래한 것들이며, 새로운 어휘들은 3음절 이상의 것들이 많다.
限界效用 : 限界 + 效用, 價格自由 : 價格 + 自由, 機關投資 : 機關 + 投資
交歡競技 : 交歡 + 競技, 人造人間 : 人造 + 人間, 誘導審問 : 誘導 + 審問
언어생활의 한자어는 한문의 어휘의 단음절 조어 방식과는 전혀 다른 조어 방식으로 대부분 다음절을 위주로 한다. 일부 한자어가 한문의 어휘를 가져다 그대로 쓰고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일부에 불과할 뿐이며, 대부분 근대 서구 문명의 유입과 함께 근대적인 생활을 반영한 다음절 어휘를 한자어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오늘날 辭典은 근대에 다음절 어휘를 모아 놓은 책임을 알 수 있는 것이다.
즉 한문의 어휘와 언어생활의 한자어는 그 성격이 명백히 다르다. 따라서 그에 대한 학습을 하고자 한다면 다른 과정과 학습 요소를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한자어 학습 요소에 대한 교수-학습 방법도 달라져야 할 것이다.
Ⅳ. 나오며
위의 글에서 본 바와 같이 한문의 어휘와 언어생활의 한자어는 그 성격이 명백히 다르다. 따라서 그에 대한 학습을 하고자 한다면 다른 과정과 학습 요소를 설정하여야 한다. 또한 한자어 학습 요소에 대한 교수- 학습 방법도 달라져야 한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한문과 학습 내용의 영역은 ‘한자→ 한자어→ 한문’ 이다. 그러나 여기서 한자어는 앞서 논의에서 살펴본 바에 따르면 한문의 학습 요소가 될 수 없는 근대어 이다. 한자어는 한문의 문화에 의해 만들어진 어휘임에는 틀림이 없지만, 한문의 어휘는 아니라는 뜻이다. 따라서 한문을 습득하는 과정과는 별도로 취급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교육과정은 이러한 학습 내용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위계 속에서 한자어의 영역을 설정하였다. 즉, 근대어와 고정어문을 섞어 놓은 격이 된 것이다. 이러한 문제는 곧 한문과 교육의 파행으로 진행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한국의 교육과정이 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송병렬, 「한문과 한자어의 조어 원리와 그 문제」, 『한국한문교육학회』, 2006.
심경호, 〈한학연구입문〉, 이회문화사, 2003.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2.13
  • 저작시기2009.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8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