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복지 청소년 학교중퇴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복지 청소년 학교중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학교 중퇴의 개념

2. 학교 중퇴의 원인
(1) 가정배경 관련 요인
(2) 학교행동 및 태도관련 요인
(3) 학교 체계 관련 요인
(4) 학교 밖에서의 행동 관련 요인
(5) 개인 심리 요인
(6) 지역사회 사회제도 요인

3. 학교 중퇴자의 특성과 유형
(1) 중퇴자의
(2) 중퇴자의 유형 분석특성

4. 학교중퇴의 이론적 배경
(1) 좌절된 자아((Frustration self-esteem)이론
(2) 참여(Participation)이론
(3) 체계론
(4) 낙인 이론

5. 학교중퇴의 실태

6. 학교중퇴 예방 프로그램과 대처방안
(1) 예방 프로그램
(2) 학교중퇴에 대한 대처방안
(3) 학교중퇴 유형별 대처방안
(4) 중퇴 청소년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7. 학교 중태 관련 신문기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장 큰 이유는 '학교·학습 부적응'이다. 그 원인은 학교와 배움에 흥미를 잃었기 때문이다. 이들은 '경쟁적·획일적·폭력적 학습문화'와 '전일제·학기제·주입암기식 학습방식'에 거부감을 나타내고 있다. 서대문청소년수련관이 운영하는 '도시 속 작은 학교'의 황인국 관장은 현장 경험을 토대로 "2000년 초 반만 해도 탈학교 청소년 발생의 주원인은 가정해체였지만 최근에는 입시경쟁에서 탈락한 아이들이 많다"고 말했다.
그는 "경제적으로 보면 과거가 극빈층의 아이들이 탈 학교화 되지만 최근에는 차상위, 중산층으로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탈학교 청소년이 점차 사회 문제화 되자 2004년 '학교 부적응 및 학업중단 대책'을 발표해 대응책을 마련했다. 대책에 따르면 정부는 단위학교에 전문상담 인력을 배치하고, 학교-대안교육기관-청소년상담실로 연계되는 '학업 중단자 지원 네트워크'를 강화하기로 했다. 또 대안학교를 각종학교 형태로 법제화해 학력인정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초·중등 교육법을 개정하고 대안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규정(대통령령)을 제정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같은 내용은 4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그 어느 것 하나 구체화되지 못했다. 대안학교의 법제화나 전문상담 인력의 충원은 관련 예산이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요원한 실정이다. 복지부의 '위기청소년안전망' 사업의 올해 예산은 55억에 불과하다. 위기청소년 1인당 11만원 꼴이다. 서울시 대안교육센터 강원재 부센터장은 "공교육 안에서 그 동기를 못 찾았을 때 강요나 질책이 아니라 내재된 동기를 찾아주는 것. 삶의 멘토로서 동기와 잠재력을 이끌어내는 것이 중요하다"며 당국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학교 그만둔 초·중·고생 지난해 7만 명
1년 새 1만3000여명 늘어 100명중 1명꼴…“부적응 대책 시급”
한겨레 2007-10-15
지난해 초·중·고교생 7만여 명이 학교를 떠나, 2만4천여 명만 복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민병두 통합신당 의원이 교육인적자원부로부터 받아 15일 공개한 자료를 보면, 2006년 4월~2007년 3월 1년 동안 학업을 이탈한 학생은 7만762명으로, 전체 학생 772만6676명의 0.9%에 이르렀다. 학업 이탈 학생은 2004년 5만4994명, 2005년 5만7148명에서 해마다 늘어나는 추세다. 전문계고(옛 실업계고)가 49만4011명 가운데 1만5314명(3.1%)이 학교를 벗어나 학업 이탈 비율이 가장 높았고, 일반계고(0.9%), 중학교(0.9%), 초등학교(0.6%) 등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학생 140여만 명 가운데 1.26%인 1만7573명이 학업을 이탈했고, 경기(1.1%), 대전(1%)도 학업 이탈률이 비교적 높았다. 반면 경북(0.6%), 경남(0.6%) 등은 낮았다. 학업 이탈 학생 가운데 복학 등으로 학교에 돌아온 학생은 2만4561명(34.7%)이었다. 65.3%인 4만6201명은 학교를 완전히 떠났다. 미복귀율은 초등학교 55.3%, 중학교 58.6%, 일반계고 63.5%, 전문계고 90.6%였다. 고교생들의 학업 이탈 이유로는 학교 부적응(성적 고민, 따돌림 등)이 가장 많았고, 품행 문제(학교 안팎의 비행), 가사, 질병이 뒤를 이었다. 민병두 의원은 “학생 이탈 실태 조사, 상담교사 배치 확대, 대안교육기관 등을 통한 이탈 학생 포용 등 정부의 조직적인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사설」‘자퇴 공화국’,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
한겨레 2007-10-15
지난해 3월 미국의 빌 게이츠 재단은 고교생 자퇴 문제를 다룬 보고서를 냈다. 공립고교생의 3분의 1이 중도에 학교를 떠난다는 내용이었다. 아시아계와 중남미계가 많이 사는 로스앤젤레스 인근의 한 고교에서는 입학생의 45%만이 졸업했다고 발표했다. 이 보고서의 제목은 ‘소리 없는 전염’이었다. 이어 시사주간지 <타임>은 중산층 지역 한 고교를 조사한 결과 31.3%가 졸업을 포기했다고 보도했다. 연방정부가 2002년 발표한 공립 고교생 자퇴 율은 10.5%였다. 이 특집기사의 제목은 ‘자퇴 공화국’이었다. 고교 졸업생 열에 아홉이 대학에 진학하는 한국에서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그러나 우리라고 안심할 수는 없다. 초·중·고교의 학업 이탈 학생이 급격히 늘고 있기 때문이다. 국회 교육위원회 민병두 의원이 조사·분석한 결과, 지난해의 경우 2005년보다 1만3천여 명이 증가한 7만여 명이었다고 한다. 복학생을 제외한 완전 이탈자는 2005년엔 1만6천여 명에서 지난해 4만6천여 명으로 세 배 가까이로 늘었다. 전체 학생에 비하면 이탈자는 1%에도 미치지 못하지만, 증가세는 놀랍기만 하다. 학업 이탈의 원인으로는 학교생활 부적응과 가정 문제가 80% 정도를 차지한다. 학교가 흔들리는 학생을 붙잡아주기는커녕 등을 떠미는 형국이다.
더 큰 문제는 학업을 완전히 포기한 아이들을 거둘 대책이 전혀 없다는 사실이다. 정부는 이 아이들이 어디서 무엇을 하는지 실태조차 파악하지 않고 있다. 신분이 모호하다 보니, 교육부·보건복지부·청소년위원회 등 유관 부처들이 서로 책임을 미루는 탓이다. 이렇게 책임을 전가하는 사이 우리 사회가 감당해야 할 부담은 눈덩이처럼 커진다. 학교는 아이들이 건전한 사회 구성원으로 자리 잡는 데 필요한 사회규범이나 가치 등을 학습하는 곳이다. 학습 기회를 상실했거나 포기한 아이들이 어떻게 성장할 것인지는 쉽게 상상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교도소 수감자의 67%가 고교 중퇴자라고 하며, 16~24살까지의 고교 중퇴자 가운데 50%가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손 놓고 있을 때가 아니다. ‘아이들은 우리의 미래’라고 입발린 소리나 하면서, 모든 문제를 가정이나 아이들 개인에게 맡기려고 하는 게 정부의 태도였다. 이제 실태조사라도 한번 제대로 해 보길 당부한다.
〔 출 처 〕
배임호 외 지음, 「청소년 복지론」, 양서원
한국청소년상담원 http://www.kyci.or.kr/
네이버/다음 -인터넷 검색
※ 학교중퇴 실태관련 MBC뉴스 동영상
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2002/1889754_3841.html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3.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4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