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사상][유교][유교사상(유교) 실재관][유교사상(유교) 인간관][의리관][질서관]유교사상(유교)의 의의와 유교사상(유교)의 실재관, 유교사상(유교)의 인간관, 유교사상(유교)의 의리관, 유교사상(유교)의 질서관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사상][유교][유교사상(유교) 실재관][유교사상(유교) 인간관][의리관][질서관]유교사상(유교)의 의의와 유교사상(유교)의 실재관, 유교사상(유교)의 인간관, 유교사상(유교)의 의리관, 유교사상(유교)의 질서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유교사상(유교)의 의의

Ⅲ. 유교사상(유교)의 실재관
1. 궁극적 실재
1) 상제(上帝)
2) 천(天)
3) 이기(理氣)
4) 귀신
2. 궁극적 규범
1) 도(道)
2) 태극
3) 천명
3. 초월적 존재(혼백)
4. 초월적 힘(원기)

Ⅳ. 유교사상(유교)의 인간관

Ⅴ. 유교사상(유교)의 의리관
1. 의와 리에 대한 맹자의 견해
2. 의와 리에 대한 순자의 견해
3. 의와 리에 대한 동중서의 견해

Ⅵ. 유교사상(유교)의 질서관
1. 자연과 우주질서
1) 음양
2) 오행
2. 사회 및 도덕질서
1) 의리
2) 춘추대의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왕월대부부득위인(對膠西王越大夫不得爲仁)』) 의(誼)란 의(義)이다. 의(義)와 도(道)를 합해서 도의(道義)라고 한다. 리(利)와 공(功)을 합해서 공리(功利)라고 한다. 도의와 공리의 관계를 간략히 말해서 의와 리에 대한 구분(義利之辯)이라고 부른다. 동중서의 이 요지는 후대에 큰 영향을 끼쳤다.
Ⅵ. 유교사상(유교)의 질서관
1. 자연과 우주질서
1) 음양
자연의 운동변화를 결정하는 두 가지 기본형식이요 인간의 사회변동을 설명하는 이원적 힘으로 활동과 고요함을 지칭한다. 음양개념이 주역에서 나온 만큼 삼국시대부터 광범하게 쓰여 왔으며, 일상생활 속에서 볕과 그늘의 공간적 의미나 남성과 여성의 성 개념으로, 또는 삶과 죽음 등 생활 속에 나타나는 다양한 이원성의 의미로서 활용되었다.
2) 오행
자연과 인간을 구성하는 5가지 기본요소로서 연속적 생성관계와 상호극복관계로 자연현상과 사회현상을 설명하는 원리이다. 오행의 개념은 한(漢)대에 발생하여 성리학에서도 자연·인간·사회·문화 전반의 다양한 현상을 설명하는 기본원리로 받아들여졌으며, 방위·색깔·소리·맛 등 일상생활 속에 다양하게 응용되고 또 신비화하기도 하였다. 조선후기에는 서학을 받아들이면서 실학자들 사이에 오행설이 비판되기도 하였다.
2. 사회 및 도덕질서
1) 의리
도덕적 판단의 기준이 되고 행동의 준칙이 되는 정당성으로서 의와 불의 혹은 의와 이(利)로 대립시켜 이해된다. 조선사회에서는 의리가 개인의 삶과 사회의 결단에서 가장 중시되었다. 의리에 어긋나면 소인의 열등한 인격으로 간주되고, 의리에 합당하여야 군자의 덕으로 존중되었으며, 벼슬에 나아갈지 아닌지의 결단이 의리에 적합하기를 요구하는 출처의 의리와 의로움을 선택할지 이익을 선택할지에 따른 의, 이의 분별이 매우 엄격하였다.
2) 춘추대의
의리의 문제에서 가장 중대한 국제질서의 의리로서, 덕을 갖춘 왕자를 옹호하고 힘을 통한 지배자인 패자를 천시하는 존왕천패를 표방하며, 중화를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치는 존화양이의 대의로 응용되기도 한다.
Ⅶ. 결론
유가의 사상은 인도주의로서 인간을 주체로 삼는 사상이다. 그 사상의 구조는 천지인 삼재의도로서 사람의 위에는 하늘이 있고 아래로는 땅이 있으며 그 가운데에 사람이 위치하고 있어 사람이외의 만물과 같이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효경 [전오장]에서 공자가 \"천지의 성에서 인이 귀하다\"고 한 뒤로 유가에서는 인간이 천지만물의 존재 가운데에서 가장 귀한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실제로, 존재하는 인간의 모습은 천지만물의 존재에 비하면 대단히 무력한 존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장 귀한 존재로서 말해지는 이유는 천지만물과 대립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아닌 천지만물과 조화되는 인간의 존재를 말하기 때문이다.
\"유학은 그 근본사상에 있어서 천지인 삼자를 삼재라하여 중요시하지만 중용사상으로 천도가 인도에 내재하며, 인간은 물질의 주인으로 물질이 인간에게 지배되는 가치체계를 가진 것이라 하겠다\"
이것이 유가에서 말하는 \"천인합일\"과 \"만물일체\"의 사상이다. 천과 인이 서로 떨어져 대립하는 것이 아닌, 천도가 인에 내재한 것으로 말하는 것이며, 현실적인 인간이 사욕이나 물욕에 치우쳐 서로가 대립 투쟁하는 것을 극복하여 천이 부여하여 인에 내재하는 본성으로서의 회복을 뜻한다. 그러나 인간으로 태어난 이상 혈기에 따른 물질욕구가 있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므로 유가에서는 인간의 일상생활에서의 욕구를 부정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욕구를 지나치게 긍정하면 인과 물이 대립되어 인간은 물질의 노예가 되어 인간의 주체성을 상실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유가에서는 맹자가 말한 대로 \"과욕\"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일반으로 초월적 세계를 강조하면 현실이 약해지고 세간적 현실을 강조하면 야속하여져서 이상을 잃게 된다. 이상의 하늘과 현실의 땅을 매개하는 본원이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이원적 모순을 일원화하는 점에 유교철학의 근본문제가 있는 것이며 따라서 유가철학의 특징도 여기에 있는 것이라 하겠다.\"
공자가 말한 \"극기부례위인\"에서의 극기는 사사로움이 있는 현실적 인간의 비 본래적 자기를 극복하라는 말로서 이것이 바로 천과 합일될 수 있는 만인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보편적인 자기로서 말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래적 자기는 현실적 인간의 삶을 떠나서 따로 있는 초세간적이고 초월적인 자기가 아니다. 부례 해야 할 자기로서 현실적으로 보편적인 자기를 실천해야 하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예행으로서 만물과 일체가 되는 보편적인 행동을 말한다. 인간은 정신적인 측면도 있고 육체적인 측면도 있다. 정신이 주체가 되지 않는 육체의 중시는 한낱 물질과학에서 다루는 도구로서의 객체물에 불과한 것으로 온전한 인간으로서 의미를 상실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육체가 주체가 되지 않는 정신의 중시는 한낱 현실적 존재로서의 인간을 부정하는 공허한 것이 될 것이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일찍이 경험하지 못했던 격변의 시기에 살고 있으며 앞으로의 장래도 예측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과학기술문명의 발달로 인해 사람들은 소위 지구촌이라고 부르는 바와 같이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뛰어넘어 살고 있다. 이러한 과학기술문명의 발달은 인간에게 물질의 풍요와 생활의 편리함을 가져다준 면도 있으나, 지나친 물질욕구의 추구는 인간과 인간의 투쟁, 국가와 국가의 전쟁, 자연환경과 생태계의 파괴 등으로 인간의 주체가 상실되고 소외되어가는 것을 부인할 수 가없다. 이러한 점에서, 유가의 인간주체사상은 현대사회의 여러 가지 모순과 갈등을 해소하고 다가오는 21세기에 좋은 명약이 되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국민호(1997) - 동아시아 경제발전과 유교, 한국사회학 31집 봄호, 한국사회학회, p.29-60
금장태(1982) - 한국유교의 재조명, 전망사
박홍식(1999) - 유교의 종교관
이병헌 - 유교복원론, 철학과 종교 1집, p.93-138
이완재 - 민족문화연구소 편 - 한말 영남지역의 유교개혁운동, 한말영남유학계의 동향, 영남대학교출판부, p.353-399
조남욱 외 - 현대인의 유교읽기, 아세아 문화사
Julia Ching, 변선환 역(1994) - 유교와 그리스도교, 분도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3.3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71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