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여신 ‘여와’의 다양한 신격 변화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신화의 정의
3. 다양한 신격으로 나타나는 여신 ‘여와’
1) 원형 -인류 창조
2) 제1변화 -복희 신화와의 융합
• 여와와 복희의 결혼
• 여와와 복희의 형상
• 여와의 변천
3) 제2변화 -여와보천(女媧補天)
4) 제3변화 -문명 창조와 문화 영웅
• 고매신(高媒神)
• 음악신
4. 나오는 말

본문내용

에 여와와 향산의 시조는 오누이간에 결혼하였다. 혼인 뒤 여와는 한 개의 살덩어리를 낳았다. 갈라 보니 안에는 51명의 남자 아이와 49명의 여자 아이가 있었다. 여와는 그들을 짝지웠는데 잘난 애들은 잘난 애들끼리, 모자란 아이들은 모자란 아이들끼리 짝지웠다. 최후에 남은 2명의 남자 아이는 짝이 없어, 여와낭랑은 그들에게 "너희 둘은 서로 멀리해야 된다"고 말하였다. 이것이 바로 어떻게 오늘날 독신남과 독신녀가 생겼는가의 기원이다. 四川의 大洪水後《女娘娘和香山老祖》: 大洪水後 女就爲他們配親事,好的配好的, 差的配差的。最後剩下兩個男的沒有堂客,女娘娘就說,這就是爲什現在又單身漢和堂客的來由。
앞의 내용과 비슷하지만 고매신 여와의 역할을 좀 더 분명하게 서술하고 있고, 오늘날 독신남과 독신녀가 생긴 기원에 대해서도 신화적인 해석을 덧붙이고 있다. 오늘날까지 섬서(陝西) 임동(臨潼), 하남(河南) 회양(淮陽)ㆍ서화(西華), 하북(河北) 섭현(涉縣) 등지에서는 매년 2~3월 여와를 신봉하는 제사를 거행한다. 자식을 바라는 사람들은 제사 의례를 통해 여와에게 아이를 점지해달라고 빌고 자손의 동굴을 팠으며, 서로 뛰면서 춤추고 밤에 야합을 하기도 했다. 또한 중국의 변방 소수민족들인 묘족이나 이족등의 민족 사이에서는 지금도 봄날에는 마을의 젊은 남녀가 고운 옷을 차려 입고 한데 모여들어 악기 반주에 맞추어 노래하고 춤추며 자신들에게 맞는 사람을 찾는 축제가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
음악신
지금까지도 음악은 사람들의 생활에서 떼어 놓을 수 없는 영역 중 한 부분이다. 음악의 기원은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다 찾아 볼 수 있으며, 신화에서 음악은 특히 여성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중국 신화에서는 여와가 최초로 악기를 만들었다고 나온다.
여와가 생황(簧)을 만들었다. 世本:女作笙簧.
여와가 사람을 만들고 나서 사람과 사람 간의 감정이 친밀하지 않자, 방법을 고안해내어 그들로 하여금 감정을 교류하게끔 하였다. 최초에 그녀가 호로박을 하나 가지고 있다가 잘못하여 돌에 떨어뜨렸다. 바람이 불면 호로가 울려서 소리를 냈다. 여와는 여기에 착안하여 생황을 만들었다. 나중에 그녀는 호로에다 갈대 뿌리를 붙여서 더 좋게 만들었다. 河北 涉縣 《女制笙簧》:女造了人以後,人與人之間的感情不密切,女就想辦法讓他們交流感情,最初拿了一個葫蘆。不小心在石頭上,風一吹,葫蘆就向。女由此受到留發,制作了笙簧。後來又在葫蘆上加了蘆根,把改造得更好了。
여와는 음악을 통해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주기 위해 생황을 만들었다. 또한 최초의 악제(樂制)도 여와에 의해 만들어졌다 ,中古籍中的女神:은 世本의 예에 등장하는 娥陵氏도 여와를 도와 음악을 창제한 음악의 여신으로 보았다.
는 기록도 있으며, 고대에는 춤도 넓은 의미에서 음악의 범주에 속하였으므로 춤으로써 신을 섬긴 무(巫)가 여성이었다는 任, 장춘식 옮김 薩神的型原始思惟特色최초의 샤먼[巫]은 여성이었다는 주장도 있다. 任에 따르면 모계 사회에서 샤먼은 모두 여인이었고 그녀들은 또 씨족 부락의 추장이기도 했다. 이후 남성 샤먼의 출현은 모계 사회에서 부계 사회로의 이행을 반영하는 것이며, 부계 사회에 들어선 뒤에도 남자가 추장이지만 여샤먼의 지위는 오래도록 유지되었다.
설문해자說問解字의 기록도 춤, 넓은 의미에서의 악과 여성과의 연광성을 보여주는 예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도 사람들은 즐거움과 기쁨을 얻고 감정을 표출할 수 있는 좋은 도구로서 음악을 사용하고 있다.
4. 나오는 말
중국 여신의 특징을 원시성(권위 그리고 동물적인 외형), 변화성(하락한 지위와 여신으로의 변화), 모호성(불분명한 신격)의 세 부분으로 정의 송정화,《중국여신연구》,민음사, 2007
한 것을 참고로, 이 세 가지의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 여신 ‘여와’에 대해 알아보았다. 여와의 변천 과정을 다시 한 번 정리하면, 인류를 창조한 대모신의 여신에서, 남신 복희와 결합하여 홍수로 사라진 세상의 인류를 재창조한 여신으로 변모한 여와가 있다. 또한 구멍이 난 하늘을 메워주고, 농업, 문화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전반적인 도움을 주는 여신으로 변화하기도 한다.
신화는 본래 상상력에 바탕을 두고 있기는 하지만 사람들의 세상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인간과 우주가 소통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준다. 신화에 나오는 기이한 이야기가 우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무수히 많은 신들 중에 여신에 주목하였고, 그 중 ‘여와’에 대해 다루었다. 여와를 다루는 것은 곧 모든 여신의 범위를 다룬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다양한 신격으로 우리 앞에 나타나고 있다. 인류를 창조한 신으로서 신화 속에서의 그 지위와 위치는 높게 평가 되어야 하지만 가부장적인 사회로 변하면서 신화 또한 남성 신들을 중심으로 서술되어 온 것이 사실이다. 오히려 여신 여와의 신격을 격하시켜 버리게 된 셈이다. 여와는 혹시 자신이 만들어 놓은 인류가 가부장적인 사회로 바뀌면서 자신의 신격 위치는 물론 여성들의 지위가 떨어지고, 묻혀진 것에 대해 슬퍼하고 있지는 않을까? 오늘날 여성들의 권리와 지위를 회복하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시점에서 ‘여와’의 연구, 즉 중국 여신의 연구 활동의 의미는 매우 뜻깊고, 남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선정규, 《중국신화연구》, 고려원, 1996.
엘리아데 저, 이은봉 옮김, 《신화와 현실》, 성균관대출판부, 1985.
송정화,《중국여신연구》,민음사, 2007.
김선자,《김선자의 중국 신화 이야기》, 아카넷, 2004.
정재서 역주,《산해경》,민음사, 1993.
정재서, 《정재서 교수의 이야기 동양 신화》,황금부엉이, 2004.
이인택, 《중국 신화의 세계》, 풀빛, 2000.
전인초, 정재서, 김선자, 이인택,《중국신화의 이해》, 아카넷, 2002.
위엔커 저, 김희영 편집,《중국고대신화》, 육문사, 1993.
위엔커 저, 전인택,김선자 옮김,《중국신화전설》, 1992.
송정희, 《신화 속의 처녀에서 역사 속의 어머니로》, 중국어문학지 9권, 2001.
김세서리아, 《중국 신화에서 보이는 여성 능동성의 이미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15권, 2004.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08.26
  • 저작시기2009.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0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