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어휘]어휘의 개념,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건,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흐름, 기초어휘(기본어휘)의 가치,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사현황,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평가 분석(어휘, 기초어휘, 기본어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초어휘]어휘의 개념,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건,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흐름, 기초어휘(기본어휘)의 가치,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사현황,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평가 분석(어휘, 기초어휘, 기본어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어휘의 개념

Ⅲ.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건

Ⅳ.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흐름
1. 60년대 이전
2. 1960년대
3. 1970-80년대
4. 1990년대 이후

Ⅴ. 기초어휘(기본어휘)의 가치

Ⅵ. 기초어휘(기본어휘)의 조사현황
1. 교과서 및 교육용 기본어휘 조사
2. 사용 빈도 중심의 어휘 조사
3. 유아 어휘 조사
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학습용 어휘 조사

Ⅶ.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평가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용 빈도 조사는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조사 로서 1,531,966어절 크기의 말뭉치에서 57,378개의 단어를 선정하였다. 이어서 나온 조남호(2003) 한국어 학습용 어휘 선정 결과 보고서에서 제시된 한국어 학습용 어휘는 5,965개이다. 학습자의 학습 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1단계 982개, 2단계 2,111개, 3단계 2,872개를 학습 단계별로 제시하고 있다. 한 가지 특기할 것은 객관적인 어휘 선정 방법론에다가 한국어 교육 담당자에게 검토하게 하여 절충식으로 어휘를 선정한 점이다.
Ⅶ. 기초어휘(기본어휘)의 평가
연구 성과로 보면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기초어휘에 관한 논의가 90년대 후반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런데 불과 몇 년 사이에 여러 업적이 동시에 나왔다. 그만큼 한국어 교육에서 기초어휘의 필요성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연구 성과가 집중되면서 논의도 깊이를 더했다. 예를 들어 조현용(2000)은 선행 연구들을 반성하면서도 선행 연구들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어휘를 받아들였다. 조남호(2003)에서도 기초어휘 목록 시안을 만든 후 조현용(2000)과 서상규(2002)에 포함된 어휘와 비교하여 추가할 것은 추가하였다. 한국어 교육을 위한 기초어휘 목록의 선정 방법도 다양한 것이 국어 교육에서의 성과와 차이가 나는 점이다. 최길시(1998)은 현장 경험을 중시하면서 목록을 선정하였다. 이에 비해 조현용(2000)은 기존의 성과를 비교하여 목록을 우선 만들고 외국어 교육에 필요한 어휘를 일정한 기준에 의해 보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서상규(2002)는 1998년 한국어 추진 기반 사업에서 한국어 교육용 어휘 목록 후보를 선정한 연구부터 시작하여 여러 연구를 거치면서 나온 성과가 최종 정리된 것이다. 그래서 그동안의 자체 연구 성과와 기존의 논의들에서 중요어를 선정하여 모으는 방식으로 기초어휘를 선정하였다. 기존의 논의를 이용한 점에서는 조현용(2000)과 공통점이 있지만 자료의 범위가 더 넓고 일정한 기준에 의해 어휘를 추가하는 작업은 하지 않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임칠성(2002)는 기존의 빈도 조사 결과를 이용하면서도 일정한 기준에 의해 어휘를 보충하여 어휘 목록을 선정하였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국어 교육 분야에 비해 기초어휘 선정 방법이 다양해질 수 있었던 데는 컴퓨터의 등장이 한몫을 했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막대한 시간이 필요로 되는 방대한 작업을 비교적 손쉽게 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시도가 나온 것이다. 그런데 컴퓨터를 이용하면서 국어 교육 분야에서처럼 일일이 카드에 적고 사람의 손으로 정리하는 품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사람의 공이 들어가야 할 일은 많다.
임칠성(2000)에 이르기까지 기초어휘 선정에서 빈도 조사 부분이 빠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새로운 빈도 조사 결과가 발표되기는 했지만 아직 불완전하여 빈도 조사 결과에 충분히 의존하지 않고 어휘를 선정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여전히 빈도 조사에는 사람의 공을 많이 들여야 하는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개인적인 노력으로는 한계가 분명한 빈도 조사밖에 이루어질 수 없어 빈도 조사를 피한 것이다. 이 점에서 조남호(2003)은 대규모의 빈도 조사를 토대로 기초어휘를 선정하여 기존의 성과와 차이가 있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웬만큼 필요한 예산을 확보하여 먼저 빈도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어휘를 선정하였다. 1955년 문교부의 빈도 조사 이후로 그에 필적할 만한 분량으로 어휘 조사를 한 것이다. 어휘 선정도 기계적으로 하지 않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기계적으로 하는 과정에서 생길 문제점을 피하였다. 한국어 교육 경험이 풍부한 전문가 6인에게 빈도 조사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빈도를 참작하되 그동안의 경험을 토대로 어휘를 선정하도록 하였다. 한 개인에 의해서 조사가 이루어질 때 발생할 수 있는 주관적인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6인에게 선정을 의뢰하고 그것을 수합하여 최종적으로 기초어휘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Ⅷ. 결론
국어의 기초 및 기본어휘에 관한 연구는 일반 기초어휘 선정, 학습용 기본어휘 선정, 교과서 수록 어휘 조사, 교육용 어휘 선정, 『국어』 이 글에서 교과서를 칭하는 국어 는 『국어』라고 표시하여 일반적인 한국말로서의 국어와 구별하여 나타내었다. 과 지도 대상 어휘 선정,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기초어휘 선정, 12차 어휘 목록 작성 등과 같이 어휘 조사 및 선정을 중심으로 한 연구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더러 어휘 지도 및 교육 관련 응용 연구들에서도 부분적으로 언급되었고 그 외에 어휘 관련 개론서류에서 개괄적인 기술을 하고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기초어휘, 기본어휘, 교육용 어휘, 1차 어휘따위와 같이 일정한 성격을 가지는 낱말들의 집합으로서의 어휘를 일컫는 용어가 각기 다르다는 사실이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모두 공교육에 활용하기 위하여 어휘 통제(vocabulary control) 또는 어휘 선정(vocabulary selection)을 목적으로 하는 점에서는 공통된다. 국어의 기초 및 기본어휘에 대한 전반적인 고찰 중 그 연구사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국어 어휘론 연구사(조항범 1989)에서 국어 어휘와 관련된 연구 전체가 다루어졌다면 세부적으로 국어의 기초 및 기본어휘 관련 연구들을 대상으로 그 연구 성과와 흐름을 정리한 것이다.
참고문헌
▷ 권해주·안병곤(1989), 고등학교 일본어교육에 있어서의 기본어휘 선정에 대한 연구, 일어교육 5집, 한국일본어교육학회
▷ 김광해(1991), 어휘연구의 방향, 김완진 교수 회갑기념 논문집
▷ 박붕배(1975), 초등교육에 있어 우리말 기본 학습 어휘에 관한 조사 연구, 서울교대논문집
▷ 서덕현(1990), 기본어휘의 개념과 기초어휘의 위상-교육용 어휘를 중심으로-, 국어교육 71·72
▷ 이충우(1990), 어휘 교육의 기본 과제\", <국어 교육> 71·72호, 한국 국어 교육연구회
▷ 임지룡(1998), 어휘력 평가의 기본 개념, 국어교육연구 제30집
▷ 조현용(1999), 한국어 교육용 기본어휘 선정에 관한 연구, 고황논집 제 25집, 경희대 대학원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9.15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27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