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어휘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전통적 지도방법 (유의어, 다의어, 반의어)

3. 어휘의 특성에 의한 교육
3.1 단어 형성의 원리에 의한 어휘 교육
3.2 사회 언어학적 특징에 따른 교육
3.3 어원에 의한 어휘 교육
3.4 의미의 관련성에 의한 어휘 교육
3.5 화용적 정보에 의한 어휘 교육

4. 나가며

본문내용

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어휘를 확대하는 것은 좋지 않다. 따라서 각 단계별로 어휘를 확장하는 것이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예를 들어 친족명의 경우 초급에서 제시할 어휘와 중급, 고급에서 제시할 어휘를 구별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교육의 방법으로는 상의어와 하의어를 교체할 수 있는 문장을 제시하고 학생들에게 연습을 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는 유의어나 반의어와 마찬가지로 문장 단위가 아닌 대화전환에서 상의어, 하의어를 사용하게 함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학생들이 의사소통시 생각이 나지 않는 어휘를 찾아낼 때, 목표어에 도달하기 위한 의사소통 전략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예 11>가족 - 윗사람-남자-할아버지/ 아버지/ 오빠/ 형(형님)/
여자 - 할머니/ 누나/ 언니
비가족 - 윗사람-선배/ 선배님/ 아저씨/
선생님-국어선생님/수학선생님/ 과외선생님
신체 - 귀/ 눈/ 맹장/ 목/ 목소리/ 허리/
발- 발가락- 엄지발가락/ 가운데발가락/ 새끼발가락
손- 손가락- 엄지손가락/ 검지손가락/ 새끼손가락
운동 - 농구/ 배구/ 야구/ 축구/ 수영-평영/ 배영/ 자유형/ 접영
학교-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여자고등학교/ 남자고등학교/ 예술고등학교/ 과학고등학교
시간-어젯밤/ 일요일/ 주말/ 하루종일/ 하루-아침/ 낮/ 저녁
<예 11>과 같은 상하의어도 연관성 있는 어휘 교육이 될 수 있다. 친족 호칭어의 경우는 외국인이 사용어휘로 되기 어려운 것이지만 한국사회를 이해할 수 있는 대표적인 상하관계의 어휘 예라고 할 수 있다. 여기에는 <부록 I>에 나오는 몇 예만을 제시해 보았으나 어휘장을 이용하여 연계성 있는 상하의어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5)동음이의어
국어에서 동음이의어는 한자어 차용에 의해서 다수 나타난다. 한자어는 뜻글자라는 특성상 표기로 구별하게 되는데, 현재 대부분의 문서에서 한글 전용이 이루어지므로 학습자들의 혼동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고유어에서는 장단음에 의해서 구별되었던 어휘들이 언중이 더 이상 장단음을 구별하지 못하면서 발생한 동음이의어가 많다. 장단음에 의해 어휘가 구별되었던 것으로는 ‘눈:(雪) / 눈(眼), 밤:(栗) / 밤(夜) 등이 있다. 국어교육에서는 장단음의 구별을 교육하지만, 실제로 모국어 화자들 사이에도 혼란이 있는 것이므로 외국인들에게 교육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 따라서 외국인에게 이러한 어휘는 모두 동음이의어가 된다. 단지, 교사가 교육을 할 때는 장단음의 구별이 있는 어휘를 구별하여 발음하려는 노력은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외국학생의 경우라면 특히 동음이의어 교육에 관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6) 이철자 동음이의어
이철자 동음이의어는 표기는 다르지만 발음이 같고 뜻은 다른 것을 말한다. 국어에서는 이러한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다수 나타난다. 그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국어 음절말 환경에서 중화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서 ‘ㄷ, ㅅ, ㅈ, ㅊ, ㅌ’ 말음에서 ‘ㄷ’으로 중화된다. ‘곧, 곳, 곶’은 발음으로는 구별되지 않는 어휘들이다. 따라서 이러한 말음을 가지고 있는 어휘는 사실상 음절말 환경에서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되는 것이다.
둘째, 한자의 차이에 따라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예를 들어서 ‘국문(國文)’과 ‘궁문(宮門)’은 한자의 차이 때문에 발음은 같으나 표기가 다르게 나타난다.
이러한 이철자 동음이의어는 외국인 한국어를 학습할 때 매우 어려운 점이다. 한자권 학생의 경우는 한자를 하나의 형태소로 인식하여 구별이 비교적 용이한 편이나, 이것도 한자에 대한 인식이 분명할 때만 가능한 일이다.
따라서 이철자 동음이의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국인 학습자에게 다른 어휘와의 관련성을 인지시키고, 혼동의 예를 따로 교육하는 것이 한 방안이 될 것이다. 특히 이철자 동음이의어는 말음법칙이나 자음 동화 등의 음운 규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어떤 음운 환경에서 이철자 동음이의어가 되는지 교육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3.5 화용적 정보에 의한 어휘 교육
한국어 구어에 나타난 화용상의 특징은 세대 차이를 드러내 10대, 20대의 언어가 30대 이후의 언어와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자주 사용하는 음절축약형이 신어로 굳어진 것 (<예 12-1>), 일시적인 생략형 (<예 12-2>). 비속어, 유행어, 신어 (<예 12-3>), 비속적인 관용표현 (<예 12-4>)을 많이 사용하는 것이 10대와 20대 언어의 특징이다. 또 사용 어휘의 양도 30대 이후보다 훨씬 풍부하다. 2.3의 표에 따르면, 30대 이후를 대상으로 한 드라마에는 1,047개의 어휘가, 20대 대상 드라마에는 1,557개가, 10대 대상 드라마에는 1,628개가 나왔다.
젊은 세대들은 신어를 많이 알고 있으며, 다양한 표현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예 12-1>고등학생→고딩/ 왕따→따/ 모범생→범생/ 아르바이트→알바/ 중학생→중딩
<예 12-2>전화세→화세/ 끝난 걸루/ 뭐가 아무도 없엄마?/ 우린 사람도 아냠마?
<예 12-3>고삐리/ 담탱이/ 밴댕이/ 쫌생이/ 당근이지/ 썰렁하다/ 짜증나
<예 12-4>열 받다/ 한 ○○○하다/ 한 섹시하다/ 한판 때리다
4. 나가며
한 언어의 어휘 중에는 사용의 빈도면에서 보다 중요하고, 개념상으로 보다 기초적인 어휘가 있다. 이러한 어휘의 특성을 근거로 어휘의 층위 및 등급을 가정하고, 기초어휘는 이러한 어휘 층위 중에서 가장 기본적 층위에 해당한다고 보았다. 기초어휘를 외국인들에게 우선적으로 교육할 필요가 있다.
한국어를 배우는 외국인에게 우리 어휘교육론에 맞는 교육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우리 한글의 어휘에는 여러 특성이 나타난다. 우리가 어휘의 특성에 맞추어 학생들을 교육한다면 더 효율적으로 가르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며
2. 전통적 지도방법 (유의어, 다의어, 반의어)
3. 어휘의 특성에 의한 교육
3.1 단어 형성의 원리에 의한 어휘 교육
3.2 사회 언어학적 특징에 따른 교육
3.3 어원에 의한 어휘 교육
3.4 의미의 관련성에 의한 어휘 교육
3.5 화용적 정보에 의한 어휘 교육
4. 나가며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0.11
  • 저작시기2008.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845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