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식문화의 문제점과 불교 공양음식문화의 특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형 식문화의 문제점과 불교 공양음식문화의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연구내용

(1) 최근 한국형 식문화의 문제점과 원인을 평가
(2) 불교 공양 식문화의 정신, 유래, 특징을 조사

본문내용

었으며, 부식은 승려들이 직접 재배 생산한 채소나 두부, 버섯 들이었다. 또한 대승불교가 흥기한 시기에는 파, 마늘, 달래, 부추, 흥 거의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았다. 그 이유는 모든 중생이 삼매를 닦을 때에는 마땅히 세간의 다섯 가지 매운 채소를 끊어야 하니 이 다섯 가지 채소는 익 혀서 먹으면 음란한 마음이 일어나게 되고 날 것으로 먹으면 성내는 마음이 더하기 때문이라고 능엄경에서 설파하고 있다.
사찰음식의 특징을 들자면 독특한 조리법이 사찰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산야초를 음식으로 먹고 그리고 육식과 오신채 및 인공 조미료를 전혀 넣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식 만드는 과정을 오로지 또 다른 수행의 한 방법으로 여긴다는 점이다. 무엇을 먹을까 는 큰 문제가 아니다. 다만 언제,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요즘은 일일일식을 규정하지 않지만 일일일식은 식사의 양에 유의한 깊은 뜻이 있는 것이다. 어찌됐든 남방불교에서는 탁발이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기후와 풍토가 다른 북방 불교권(한국, 중국, 일본, 티베트 등)에서는 사원발달과 함께 승려들의 건강을 우려하여 다양한 음식들이 개발되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계율상 차이는 있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채소 중에서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는다. 파, 마늘, 부추, 달래 등은
몸에서 냄새가 나고, 성내고 탐내고 어리석게 하는 마음이 생겨나기
때문에 수행인 에게는 절대 금한다.
셋째 사찰음식은 약리작용을 갖고 있다. 승려들은 양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산약초를 먹기 때문이다. 산초장아찌는 구충제 역할을 하고
보온효과가 있는 것을 예로 알 수 있다.
넷째 무엇보다도 시원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다. 인공조미료를 쓰지 않고
다시마, 버섯, 들깨, 날콩가루의 천연 조미료를 쓰고 있다.
다섯째 제철에 따른 음식이 발달해 있다. 예를 들자면 지리산 화엄사에는
죽순나물과 갓김치, 김부각 등이 있고 여천 흥국사에는 쑥떡, 머위당이, 합 천해인사에는 찹쌀 죽과 고수나물무침 등이 발달되어 있다. 수원 용주사에 는 국화전과 두부소박이가 발달했다.
사찰음식의 종류

죽은 일단 안색을 좋게 하고 힘이 넘치고 수명을 연장한다. 안락이 있고 말솜씨가 시원하게 되고 음식물의 소화를 좋게 하고 감기에 잘 안 걸리는 이로움이 있다. 또한 공복감을 충족시키고 목의 갈증을 풀어주고 대소변을 잘 조절하게 한다. 주로 아침에 먹으며, 휜죽을 가장 흔히 먹는다. 죽에는 산채나물죽, 콩나물죽, 바죽, 현미죽, 연시죽, 팥보죽, 비지죽, 개암죽, 우분 죽, 늙은호박죽, 잣죽, 콩나물죽, 흑임자죽, 옥수수죽, 땅콩죽, 야채죽, 팥 죽, 들깨죽, 호두죽, 미역죽, 아욱죽, 녹두죽, 버섯죽, 대추죽, 오미자죽 등 모두 43종.

찰밥, 산나물비빔밥, 콩나물밥, 야채밥, 유부밥, 보리밥, 김밥, 김치밥, 무 밥, 김초밥, 버섯덮밥, 보리밥, 오곡밥, 야채 영양소밥, 톳나물밥, 연잎밥 등
국수:승소, 낭화
표고버섯, 다시마, 말려 둔 가죽나무순 등으로 국물을 낸다. 주로 점심에 먹으며 국수장국, 손칼국수, 콘국수, 들깨국수, 참깨국수, 잣국수 등이 있 다.

국의 조미는 주로 간장과 된장으로 한다. 사계절 흔히 먹는 것이 콘나물국 과 미역국이다.
무국, 미역국, 우거지국, 시금치국, 감자국, 쑥국, 냉이국, 김국, 거프국(해 안가 절), 근대죽, 배추국, 토란국, 두부냉국, 냉콩국, 째가무냉국, 짠오이냉 국, 청포묵국, 시래기국, 양해란국(음력 7,8월에 나며 생강 잎과 비슷하며 썰어서 기름에 볶았다가 쌀뜨물을 풀고 양념간장으로 끓인다) 등 44가지 종류.
김치
젓갈류, 파 , 마늘을 쓰지 않는 사찰김치는 담백하고 독특한 맛이 있다. 사 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 특성이 강하다.
경기 충청지역은 주로 잣을 이용하는 백김치, 보쌈김치, 고수김치, 깍두기
전라도 지역에서는 들깨죽을 이용한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죽순김치
경상도 지역에서는 늙은 호박죽과 보리밥을 이용한 콩잎김치, 우엉김치, 깻 잎김치 등이 있다. 북한 지역에서는 소금, 고추, 생강, 청각 등을 이용한 동 치미나 백김치가 있다.
나물, 무침
시금치, 냉이, 비름나물, 더덕무침, 죽순채무침, 꽈리고추무침, 미사무침, 가 지나물, 고사리나물 등
조림
감자조림, 우엉조림, 무조림, 고구마, 물엿조림, 꼇질콩조림, 송이버섯조림, 곤약조림 등 27가지
볶음
감자볶음, 야채볶음, 호박볶음, 머우볶음, 도라지볶음, 오이볶음, 말린추나 물볶음, 죽순볶음 등 25가지
찜, 부침류
가지찜, 배추찜, 채소찜, 연두부찜, 호박부침, 당근부침, 표고전, 김치부침, 감자부침, 녹두부침 등 19가지

속가와는 달리 주로 식물성 식품을 살짝 데쳐서 초고추장을 찍어 먹는 것 으로 표고버섯회, 팽나무버섯회, 느타리버섯회, 능이버섯회, 미나리회, 생미 역회, 두릅회 등이 있다.
튀김, 구이
버섯튀김, 깻잎튀김, 쑥갓튀김, 고추튀김, 가지튀김, 늦싸리부각, 들깨송이 부각, 산동백잎부각, 아카시아꽃부각, 우엉구이, 표고구이 등 31가지
밑반찬류
산초장아찌, 절인고추, 콩장, 무말랭이, 절인오이, 짠배추, 무, 오이, 양희장 아찌, 감장아찌, 참외장아찌

호박오가니떡, 쑥개떡, 풋고추장떡, 메밀떡, 감자송평, 물호박떡, 호박찰시 루떡 등 100여 가지
다식
율무다식, 찹쌀다식, 콩다식, 깨다식, 녹두다식, 밤다식, 송화다식, 팥다식 등
한과
유과 유밀과, 강정, 다식전고, 엿강정 등으로 구분

된장, 간장, 고추장으로 나누는데 각 사찰의 물맛, 조리법 등에 따라 독특 한 맛을 낸다.

연차, 쑥차, 솔차, 작설차 등
사찰음식은 여러 양념을 쓰지 않고 재료가 가지고 있는 향과 맛을 살린 순수식이다. 절밥의 역사도 중요하지만 옛 맛에만 머물지 않고 친근한 절밥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사찰음식이 갖는 정신을 보존하면서 대중들의 음식문화를 바꾸기 위해 사찰음식을 보급해야한다.
불교식품의 특징, 종류, 웰빙 소재의 기능성을 조사
불교사상에 바탕을 둔 웰빙 지향적인 신 식문화시스템을 개발
°
  • 가격3,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9.09.21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37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