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롯] 플롯의 정의와 유형 및 플롯의 강조와 단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롯] 플롯의 정의와 유형 및 플롯의 강조와 단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플롯과 소설

2. 플롯의 개념

3. 플롯과 이야기

4. 플롯의 유형
(1) 단순구성(simple plot)
(2) 복합구성(intricate plot)
(3) 피카레스크식구성(picaresque plot)

5. 플롯의 진행
(1) 평면적 진행
(2) 입체적 진행
(3) 평행적 구성

6. 플롯의 강조
(1) 위치강조법
(2) 중단강조법
(3) 대조강조법
(4) 경악강조법

7. 플롯의 단계
(1) 발단
(2) 전개
(3) 위기
(4) 절정
(5) 결말

8. 맺음말

본문내용

것이다. 주제를 강조하게 되는 것도 절정과 결말에서이다. 성격이 가장 극적으로 표출되는 것도 절정의 단계이다.
(5) 결말
해결, 결말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한 편의 작품에서 결말을 맺는 부분이다. 주인공의 운명이 분명해지고, 성패가 결정되어지는 해결의 단계이다. 결말은 사건의 클라이막스와 일치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으며, 주제면에 있어서 ‘계시의 순간’을 가져오는 패턴이 결말 부분과 일치하는 수도 있고 없는 수도 있다. 여기서 패턴이란 말은, 플롯 속에 있는 사건과 사건의 반복과 같은 의미 있는 반복을 뜻하는 것이다.
플롯의 결말을 어떻게 맺느냐 하는 문제는 소설작법의 형태적인 기술의 문제인 동시에 주제를 어떻게 표출하느냐 하는, 소설기술의 전반적인 관건이 되는 중대한 과제에 속하는 것이다. 즉 결말을 플롯의 맨 마지막 단계로 파악할 때 이것은 형태상의 기술문제이며, 주제가 어떻게 나타나는가 하는 측면에서 볼 때 결말은 “계시의 순간”에 해당한다고 정의할 수 있다. 플롯의 마지막 단계로서의 결말은 작품 전체의 끝맺음이므로 발단이나 전개 위기 절정보다도 훨씬 고도의 기술을 요구한다. 등장인물의 분석이 명확한 해결의 시점에 당도하게 되고 갈등(conflict)과 분규가 일단락 되는 순간이다. 결말은 등장 인물의 성격이 단적으로 드러나는 순간이며, 거의 작품의 맨 끝부분에 위치한다.
단편소설에서도 결말이 반드시 극적인 해결만을 제시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등장 인물의 성격이 선악으로 구분되는 것도 아니고 실패 혹은 성공의 양자택일을 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 결말은 사건의 절정과 일치하는 수도 많은데, 주제를 가장 극적으로 표출해 내는 측면에서도 파악할 수 있다. 소설의 주제는 그 내용이며 플롯은 형식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결말은, 내용(주제)과 형식(플롯)이 가장 밀접하게 일치되는 단락이라고 볼 수 있다.
8. 맺음말
지금까지 본 이야기와 플롯의 개념으로 플롯의 역할과 가능을 정리하면 플롯은 첫째로, 인과관계에 의한 사건의 전개이며 둘째로, 주제를 표현하는 기법이고 셋째로는, 소설의 예술미를 형성해 주며 넷째는 논리적,지적인 활동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플롯 설정의 요령도 바로 이 플롯이 무엇인가 하는 개념에 의하여 결정된다. 소설의 플롯은 무엇보다도 그 작품의 주제를 분명하게 나타낼 수 있도록 짜야 하며, 그것은 곧 통일성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이 통일성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건전개가 논리성과 사실성에 어긋나지 않게 해서, 자연스럽고 필연적인 스토리 구성이 되어야 한다. 사건의 비약이나 돌발적인 행동을 합리화시키기 위해서는 복선(sub-plot)을 사용함으로써 리얼리티에 어긋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또 예술은 다양의 통일이므로 그밖에 소설의 플롯은 갈등(conflict)과 해결이 있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니까 플롯은 주제를 구현시키는데 알맞은 것이 되어야 하고, 인과관계에 어긋나지 않고 논리성과 리얼리티가 있는 행동의 배열이 되어야 하며 전체적으로 통일을 이루어 가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할 것은 소설의 플롯이 지나치게 획일화되어 공식적인 것이 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플롯을 반대하는 자들이 주장하는 것도 바로 ‘플롯이 인생의 굳어진 가공의 소재 속으로 실어 나르는 메카니즘’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실 현대소설에 이르러서는 전래적인 개념의 플롯이 많이 도외시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특히 의식의 내부를 그린 심리주의 소설이라든지, 소위 무드소설 등은 플롯을 상당히 해체시키고 있다.
특히 새로운 소설을 지향하고 있는 현대에 있어서는 소설의 주제도 비약적인 변모를 보이고 있지만, 소설의 구조에 있어서도 엄청난 변혁을 나타내고 있다. 퍼시 라보크가 <소설의 기교>에서 “가장 훌륭한 형태란 주제를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것을 말하며, 훌륭하게 만든 작품이란 주제와 형태가 일치하여 분간할 수 없는 작품, 즉 소재가 형태 속에 모두 이용되고 형태가 소재를 표현하고 있는 작품을 말한다”고 한 말은 과거의 플롯의 개념에서 이탈해 가고 있는 현대소설의 변모를 설명하는데 알맞는 말이다. 그리고, 유기론적 구조주의 문학은 “전체는 부분을 단순한 총화보다 더 크다”는 내용과 형식, 형식과 내용의 불가분성의 문제 역시 플롯의 변모에 해당되는 경향이기도 하다.
9. 참고자료
소설 쓰는 법, 구인환, 동원출판사
문학개론, 구인환 외, 삼지사
소설 기술론, 정한숙, 고려대출판부
소설 창작 교실, 전상국, 문학사상사
  • 가격1,2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9.09.24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40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