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호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호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기호의 우리, 우리의 기호

제 10장 이데올로기

신화로부터 이데올로기로
텅 빈 기표
꽉 찬 기표
신화적 기표
신화와 헤게모니
신화의 원리 ― 자연화
헤게모니
결정적 의미
이데올로기의 의미
의미의 결정
외시적 이데올로기
대항 신화
기호론적 체제의 불균형
모조 신화

본문내용

적함을 보이고 있다. 강자와 약자 두 계층간에 존재하는 기호론적 체제의 불균형은 강자의 신화와 맞서는 대항 신화를 창출함으로써 바로잡을 수 있다. 즉 강자의 이데올로기와 맞설 수 있는 대항 이데올로기를 일으키는 것이다. 그것은 첫째, 약자의 신화는 강자의 신화에 대한 대항 신화가 될 수 없으며, 둘째는 누가 무엇을 위한 대항 신화를 창출해야 하는가의 문제이다. 대항 신화의 목적을 무엇에 두느냐를 확실히 해야 하는 것은 모든 강자들이 다 같이 강자의 신화를 만드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모조 신화
어떤 신화든, 신화는 <죽기를 거부한다>(Barthes, 1972, 133쪽). 바르트는 이러한 신화를 전복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으로 신화를 신화화하여 모조 신화로 탈바꿈시키는 일을 제시한다. 바르트는 <신화가 어떤 것의 언어를 훔치고 있을진대, 신화를 훔치지 말라는 법은 없지 않은가>라고 말한 후 구체적인 방법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필요한 것은 신화를 제3의 기호론적 연쇄고리의 시발점으로 삼아서 신화의 의미작용을 두 번째 신화(모조신화)의 첫 번째 말로, 삼아버리는 것이다(1972, 135쪽).
이렇게 해서 얻은 모조 신화는 원신화에 대한 대항 신화의 이항대립을 얻는다.
그러나 바르트의 모조신화가 강자 신화에 대한 최선의 대항 신화일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남는다. 바르트의 방법은 강자 신화의 메타 언어를 능가하는 보다 고단수의 메타 언어에 의해서 강자 신화를 포획하는 방법이지만 그것의 기본 작전은 도둑질일 뿐이다.
모든 신화의 발단이 의상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대항 신화도 바로 거기서 시작해야 한다. 강자 신화의 의상에 필적할 反意想 anticoncept을 창출할 수 없다면, 대항 신화를 거론할 필요조차 없는 것이다. 따라서 대항 신화는 강자 신화의 의상과 겨룰 반의상을 찾고, 그것에 필요한 형과 의미작용이라는 담론을 개발해야 한다.
무슨 신화이든, 그것에 생명을 주는 것은 고차 언어의 두 요소, 즉 함축 언어와 매타 언어이다. 그러나 이런 언어들은 일차언어의 세계, 즉 진정한 현실에 대해서 말만 할 뿐으로 그야말로 탁상공론에 그칠 따름이므로 바르트는 신화와 현실을 연결시킬 두 가지 극단적 방법을 제시하면서, 그중 하나밖에 선택의 여지가 없음을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 시대에 해당하는 난제이지만, 아직 단 하나의 가능한 선택지가 있는데, 이 선택은 다음과 같은 두 개의 극단적 방법 위에서 수행될 수 있다. 그것은 역사에 전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현실을 내놓고 이데올로기화하거나 아니면 그 반대로 궁극적으로 침투 불가능하고 치환 불가은한 현실은 내놓아 그것을 시화 poetize 하는 것 중 하나이다(1972, 158쪽).
여기서 바르트가 암시하는 것은 신화와 현실의 화해이다. 그러나 우리를 실망시키지 않을 영원한 의미들을 제공할 시적 현실은 너무 멀리 있고, 제한된 현실을 역사의 물과 섞어 <오늘의 양식>을 빚어 만드는 길밖엔 다른 도리가 없다.
*참고문헌
김경용, <,기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2007.
  • 가격7,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9.10.17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2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