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비토론][티비선거토론][텔레비전토론]TV토론(TV후보토론)의 개념, TV토론(TV후보토론)과 참여자, TV토론(TV후보토론)과 후보자교육, TV토론(TV후보토론)의 사례로 본 TV토론(TV후보토론)에 대한 제언 고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티비토론][티비선거토론][텔레비전토론]TV토론(TV후보토론)의 개념, TV토론(TV후보토론)과 참여자, TV토론(TV후보토론)과 후보자교육, TV토론(TV후보토론)의 사례로 본 TV토론(TV후보토론)에 대한 제언 고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TV토론(TV후보토론)의 개념

Ⅲ. TV토론(TV후보토론)과 참여자
1. 사회자
1) 정책토론:권위적 언론전문가
2) 가치토론:비권위적 문화계인사
2. 패널:전문가와 일반인
1) 정책토론:집단/전문가/권력 엘리트
2) 가치토론:개인/일반인/문화 엘리트
3. 일반시청자
1) 정책토론:간접적, 일방적 접근권
2) 가치토론:직접적, 쌍방적 참여

Ⅳ. TV토론(TV후보토론)과 후보자교육

Ⅴ. TV토론(TV후보토론)의 사례
1. 문화관광부의 홍보업무방안 발표
2. 각 패널들의 기존 입장.
1) 언론 개혁이다라는 주장 측 패널들의 입장
2) 언론 탄압이다라는 주장 측 패널들의 입장
3. 토론에서 나타난 주장과 전략 분석

Ⅵ. TV토론(TV후보토론)에 대한 제언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고 있는데, 이에 따라 방송이 보다 시청자의 요구에 부응하고 시청자 참여를 주축으로 하는 방향으로 성장하게 된 것이라 하겠다. 이러한 논의들은 토론프로그램의 역할로서 비판적 판단이나 시민참여 등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리빙스턴과 런트(Livingstone and Lunt)도 매스미디어가 정부와 전문가들에게 공중의 의견과 경험, 정보, 엘리트 계층에 대한 비판내용을 전달하는 공중의 대변자로서 기능하고 또한 정치인들과 전문가들이 직접적으로 공중에게 설명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여, 비전문가인 공중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사회적 공간을 제공한다고 피력하였다. 이러한 시각은 뉴컴과 허시가 지적했듯이, 토론프로그램이 합의된 결론을 이끌지 못한다 하더라도 다양한 의견을 제기함으로써 시청자에게 능동적인 역할을 부여한다고 본다. 따라서 토론에서 보수적인 관점이 지지된다고 하더라도 논쟁이 방송된다는 점이 더 중요하다고 주장하는데, 그것은 “다양한 반응과 모순된 해독이야말로 우리를 다중의 의미로 이끄는 것”(Newcomb and Hirsch)이기 때문이다. 즉 토론프로그램은 성공적인 의사소통보다는 그 가능성에 대한 탐구가 이루어지는 장으로서, 텔레비전은 그러한 공간을 만들고 단일한 공중이 아닌 다양한 공중을 한데 모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고 본다 (Livingstone and Lunt). 이러한 시각에서 텔레비전 토론프로그램이 시청자에게 공적 문제에 대한 논의에 참여하고 있다는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수동적인 대중 시청자를 사로잡는 속임수에 불과하다는 비판도 있다. 즉 토론프로그램의 일반 참여자들은 실질적인 정보전달자의 역할이 아니라 피전달자로서 설득의 대상이 될 뿐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토론프로그램이 방송사에서 구성해놓은 형식에 맞춰 진행될 뿐만 아니라, 심각한 현안을 심층적으로 다루는 것이 근본적으로 텔레비전 매체에는 맞지 않는다(Scott)는 점을 비판하기도 한다. 시청자 참여문제와 관련해서는 토론프로그램이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진지한 성찰을 제공하고 있다 하더라도, 시간적 여유와 주제에 대해 특별한 관심이 있는 사람들 외에는 거의 시청하지 않으며 포맷도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점에서 시청자의 실질적인 참여나 영향력에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토론프로그램은 하버마스가 공론영역에서 이상적인 커뮤니케이션 형태로 보았던 담론양식(discursive mode)을 채택하고 있으며, 시청자들이 참여하는 가운데 대중이 이해할 수 있는 상식적인 논리에 의해 진행됨으로써 공론영역의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 (Dahlgren). 토론프로그램의 역할에 대한 이러한 논의는 미디어 토론에 대한 기대와 현실적인 한계가 상충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렇게 볼 때 국내의 텔레비전 토론프로그램이 사회적 이슈에 대한 공중토론의 기회를 얼마나, 어떻게 제공하고 있는지에 대한 실제적인 논의가 요청된다.
Ⅶ. 결론
‘매체가 사람들에게 무엇을 하는지’보다 사람들이 매체를 가지고 무엇을 하는지‘에 더욱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카츠(Katz)에 의해 제안된 이용과 충족 접근(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은 수용자들이 욕구를 만족시키거나 충족을 얻기 위해 어떤 식으로 매체의 내용을 이용하는지에 초점을 둔다(Windahl & McQuail). 이용과 충족 가설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자면, 이용은 수용자가 능동적으로 자신의 필요에 따라 선별적으로 매체와 메시지를 선택할 수 있음을 뜻하며, 충족이란 그러한 선택의 결과로써 수용자가 경험하는 만족이나 보상을 뜻한다. 이 같은 전제 하에서 카츠, 블루머, 구렌비치(Katz, Blumer, Gurenvitch)는 이용과 충족의 접근 방법에 있어 이론과 방법이 확고히 정립되지 못하고 있음을 인정하면서, 이 분야의 연구들은 어느 정도 내적 일관성을 가진 일련의 가정들(assumption) 위에서 행해지고 있음을 밝히고 있다. 수용자는 능동적 존재로서 미디어 이용은 그 대부분이 목적지향적(goal directed)이라는 가정이다. 또한 토론 과정에 있어 수용자가 미디어 선택의 결정권을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미디어 내용이 직접의 효과(straight-line effects)를 갖는다는 이론화에는 명백한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수용자의 욕구 충족에는 미디어 이외에도 다른 해결방법이 있다는 것이다. 즉, 미디어가 수용자에게 유일한 욕구 충족원이 아니므로 욕구 충족에 있어 미디어의 역할을 볼 때 기능적 대안(functional alternative)이 될 수 있는 방법들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방법론에 있어서, 미디어 이용의 많은 목적들은 수용자 자신들로부터의 자료(data) 속에서 도출할 수 있다는 가정이다. 즉, 사람들은 특정한 경우에 있어서의 그들의 흥미와 동기를 표현한 만큼 자신을 알고(self aware) 있으며, 적어도 그 흥미나 동기가 합당하면서 그들에게 친숙한 언어로 표현될 경우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용자들의 성향을 그들에게 친숙한 용어로 모색할 때, 토론의 문화적 중요성에 대한 자신의 가치판단이 개입하는 것을 통제할 수 있을 것이라는 가정이다. 이러한 일련의 가정 하에서 이용과 충족 접근 방법은 수용자의 내적 과정을 “수용자의 미디어 이용과 그에 따른 욕구의 충족”과정으로 설명하고 있는데, 이 같은 수용자의 내적 과정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사회적, 심리적 근원을 갖는 수용자의 욕구가 미디어나 다른 근원에 대한 다양한 기대(generate expectation)를 낳고 그 다양한 기대에 따라 미디어 접촉행위(혹은 비미디어행위)가 각각 달라지며 그 행위의 결과로 욕구가 충족(혹은 비충족)됨으로써 결국은 또 다른 결과를 낳는다.
참고문헌
김민전 : 미디어선거의 방향과 한계, 2002
이동신 : TV토론과 유권자의 정치 형태
이종수 : TV토론회 개선할 점 많다
이민웅 : 대통령 선거와 방송, 한국방송학회 쟁점과 토론, 선거방송 1차 토론회 발표논문집, 1997
정윤무미디어 정치론 : 정우당, 1995
한국언론연구원 : 선거 TV토론과 시민저널리즘, 1997
  • 가격5,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9.10.1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57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