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사상에 대해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가사상에 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가사상의 기원과 본질
(1) 유가사상의 기원
(2) 유가사상의 본질

2. 유가사상의 전개양상과 도통(道統)
(1) 공자(孔子).
(2) 맹자(孟子).
(3) 한유(韓愈)와 이고(李翶).
(4) 주자(朱子).
(5) 또 다른 도통관

3. 유가사상의 조목
(1) 천명(天命)
(2) 인(仁)
(3) 예(禮)
(4) 심성론(心性論)
(5) 이기론(理氣論)
(6) 수양론(修養論)

본문내용

될 수 없는 것이며, 위치하는 공간도 없고 작용도 없는 것이다. 리는 현상이나 사물과 같은 것이 아니므로 감각적 차원에서는 없는 것[無]이다. 그러나 주희는 만물의 근거이자 원리는 반드시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여겼다. 주돈이가 「태극도설」에서 말한 '무극이면서 태극[無極而太極]'을 그는 '없으면서도 있고, 있으면서도 없다'는 의미로 해석하였다. 그러므로 리는 존재로서는 없는 것이며, 논리적 차원에서의 의미로서는 있는 것이다.
이는 정이와 주희에게서 기에 내재된 기의 리가 아니라 기에 대한 리로서 기와 대등한 것이 되었다. 또한 주희는 이기가 두 가지임을 분명히 하였으며[決是二物·理氣不相雜], 리는 우주만물의 원리이자 각 사물에 내재해 있는 것이므로 기 없이는 있을 수 없다고 했다. 기 없이는 리가 깃들 곳이 없기 때문이다. 이렇게 이기의 관계는 둘이지만 나눌 수 없는 관계이다[不可分開·理氣不相離]. 이기의 관계는 원칙적으로 어느 것이 중하고 어느 것이 덜하고가 없으며, 어느 것이 먼저이고 어느 것이 나중이라는 것도 없다. 그러나 주희의 이기론은 분명히 이기이원론이지만, 기에 대해서 리를 대단히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우주론으로서의 이기론은 그 자체로서도 중요하지만, 심성론과 연결되어 인간의 도덕적 근원, 도덕적 원리를 설명할 때 진정한 의미가 있다. 주희는 인간의 마음[心]을 성(性)과 정(情)으로 나누었는데, 이것을 이기로 말하면 성은 리이고 정은 기이다. 리는 완전무결한 선(善)이며, 기는 맑기도 하고 탁하기도 한 것으로 선악(善惡)이 공존한다. 따라서 성은 오로지 선한 것이고, 정은 선하기도 하고 악하기도 한 것이다.
우주론에서 리가 기의 원리이자 주재자이듯이, 심성론에서도 순선(純善)한 성이 유선유악(有善有惡)한 정을 다스리고 통제해야 한다. 여기에서 이기의 가치문제가 제기되어, 리는 존귀하고 기는 비천한 것이라는 가치관이 형성되었다. 주희는 인간의 도덕성과 사회·국가의 인륜성을 절대화하기 위해 그 근거를 이론화하였으므로 리를 절대화하였다.
이에 따라 이존설(理尊說)·이우위설(理優位說)이 정통성리학으로 자리 잡았다.
(6) 수양론
중국 고대인은 천지와 인생을 관통하는 이법(理法)·법칙이 있음을 확신하고 이에 대하여 외경(畏敬)의 태도를 취했다. 『시경(詩經)』·『서경』 등을 통해 볼 때 그들은 이 법칙의 근원이 상제(上帝)나 천(天)에 있다고 생각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그리하여 그들은 상제나 천에 대해서도 외경의 태도를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경사상은 후에 주체의 내면적 관조·반성의 측면이 강조되어 수양론에서 중요한 지위를 차지하였다.
『논어』에 나타난 도는 대체로 인도(人道)를 뜻하며, 공자는 이것의 자각·수양을 학(學)이라고 하였다. 그에게서 수양의 목표는 군자(君子)가 되는 데 있었는데, 그에 의해 제시된 바람직한 군자상은 '먹는 데 배 부르려 하지 않고, 거주하는 데 편안하려 하지 않는다…그리고 도덕을 준수하는 사람과 친근히 하여 자기의 잘못을 바로잡는 것', 즉 진덕수양(進德修養)에 힘쓰는 것이었다. 그는 또 군자에 이르는 길, 즉 수양의 요체로 경(敬)을 제시하였다. 곧 '경으로써 자신을 수양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수양은 단지 자기 개인적 인격의 완성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고, 그에 기초하여 '남을 편안히 하고(修己以安人)', 나아가 '백성을 편안히 함(修己以安百姓)'에 의해 완성되는 것이었다. 『대학(大學)』에서는 치국(治國)과 평천하(平天下)가 결국 수양, 즉 수신(修身)에 기초한다고 하였으며, 『중용(中庸)』에서도 신독(愼獨)·중화(中和) 등의 수양론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맹자(孟子)에 이르러 보다 체계화되었다. 그는 성선설(性善說)에 입각하여 수양의 목표는 바로 사단(四端)을 통한 인의예지(仁義禮智) 사덕의 회복에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이것의 구체적 방법으로써 진심(盡心)을 들었다. 즉 인간은 내적 성찰에 의해 자신에게 구비된 보편적 인간 본성을 자각할 수 있고, 그러한 자각을 통해 하늘[天]을 알 수 있다는 것이었다. 진심·존심(存心)을 수양론의 요체로 삼은 맹자의 수양론은 송대(宋代)의 성리학자들에 의해 매우 중시되었다. 성리학자들은 만물이 생겨날 때 리(理)를 부여받으며, 인간에게서 그것은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성(性)으로 나타난다고 생각하였는데, 그들의 이러한 인간에 대한 파악은 성리학적 수양의 기초가 되었다. 즉 그들은 위와 같은 인간관에 입각하여 인간의 본성과 마음을 천지지성(天地之性:本然之性)과 기질지성(氣質之性), 인심(人心)과 도심(道心), 천리(天理)와 인욕(人欲) 등으로 나누고, 천지지성·도심·천리는 추구되어야 할 것, 기질지성·인심·인욕은 지양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였다. 후자를 버리고 전자를 추구하는 수양론은 크게 거경궁리(居敬窮理)·성의정심(誠意正心)의 강조로 나타났다. 거경궁리란 인간의 내면을 항상 경건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사물의 본질인 리를 파악하고자 한 것이다. 주희는 "학문하는 방법은 궁리를 가장 먼저 해야 하는데, 궁리의 요결(要訣)은…결국 거경하여 뜻을 확고히 함에 있다"라고 하여, 거경과 궁리는 한 가지 일이지만 방법상으로는 거경이 궁리에 선행함을 주장하였다. 성의정심이란 사욕(私欲)을 제거함으로써 마음이 타고난 본래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선한 본성으로서의 성(性)과 리를 가리는 개인의 사욕을 제거함으로써 정허동직(靜虛動直:마음이 고요할 때는 빈 상태를, 움직일 때는 곧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의 경지에 이르는 것이다.
명대(明代)의 왕수인은 도덕적 판단 및 행동의 주체를 양지(良知)라 전제하고, 이 양지의 구현[致良知]을 수양의 요체로 삼았다. 즉 그는 양지 자체는 완전무결한 것으로 수양에 의해 보충할 필요가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였지만, 현실적으로 인간은 사욕(私欲)의 가림에 의해 드러나지 않기 때문에 사물에 대한 최초의 반응에서 자발적으로 옳다고 판단되는 양지의 지시에 따라야만 지선(至善)이 상실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특히 『대학(大學)』의 팔조목(八條目)은 모두 치양지에 불과한 것이라고 하고, 이것은 일상생활의 체험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 가격2,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11.19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20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