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의 교류(콜럼버스의 신대륙발견에 의한 문명의 교류중에서 매독을 주제로 한 자료)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문명의 교류(콜럼버스의 신대륙발견에 의한 문명의 교류중에서 매독을 주제로 한 자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시작하는 말

Ⅱ. 본론
1) 매독이란?
2) 콜럼버스의 신대륙발견과 매독의 전염
3) 아메리카의 복수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비평 및 평가
-콜럼버스 그가 발견한 것은 결국, 매독?

본문내용

하퍼 교수팀은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요오스’ 유전자배열과 전세계 인간으로부터 얻은 매독 유전자 배열, 동물로부터 얻은 유사 박테리아의 유전자배열을 조사해 이 같은 결과를 밝혔다.
(출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앞서 언급한 것처럼 콜럼버스가 제1회의 항해를 마치고 스페인으로 돌아온 것은 1493년 3월. 이때부터 구대륙에 매독의 만연되기 시작해 몇 년 사이에 빠르게 유럽 전체에 전파되었다. 치료약도 없어서 환자는 코가 떨어지고 눈이 멀었다. 매독은 유럽에서만 약 1천만 명의 사망자를 냈다고 한다. 그렇다면 전 세계적으로는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죽었다는 것일까? 매독은 그로부터 5백여 년이 흐르는 동안 전염성이 약화되고 다소 기세가 꺾였지만, 유럽인들은 아직도 피부가 썩고 진물이 흐르는 등 끔찍한 최초의 발현을 기억하고 있다.
신항로 개척으로 신대륙을 발견함에 따라 교환의 역사가 이뤄진다. 하지만 그가 가져온 것은 다름 아닌 “매독” 이였으니, 이 얼마나 흥미로운가?
신항로개척의 선봉장이었다면 단지 개인적 욕망과 명예를 위해 목표만 고집할 것이 아니라, 역사와 결과를 고려했어야 했다. 선원들을 통제하고, 병의 전염을 대비하거나, 아니면 최소한 발병 후에는 원인을 찾아보고 재빠른 조치를 취했어야 했다. 그렇지만 용감한 개척자 콜럼버스는 부를 탐하고 권력을 남용해 인디언들을 학살하는데만 관심을 두었다.
그는 신대륙을 발견하여 세기의 영웅이 되었지만, 대륙의 독을 묻혀와 자신을 포함한 많은 이들에게 아메리카의 벌을 받게 했다. 과연, 아직도 그가 위대한 탐험가인가? 훗날, 역사가 그를 평가할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02
  • 저작시기2009.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432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