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 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박목월 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2-1 박목월의 생애
2-2 목월시의 기본 문법: 동시의 시세계
3-1 근원 탐구의 시: <청록집>과 <산도화> 중심
4-1 근원 회귀의 시
3. 목월 시의 의의

본문내용

계가 마치 초기시에서 표현되는 자연의 세계와 비슷한 모습을 취하고 있다. 이처럼 목월의 후기시에서 어머니는 모든 조화로운 완상의 이상향의 모습이 되기도 하고, 고향 경주가 되기도 하고 절대자 신으로 향하는 매개이기도 하다.
한자락은 햇빛에 빛났다. 다른 자락은 그늘에 묻힌채.... 이 길씀한 山 자락에 은은한 웃음과 그윽한 눈물을 눈동자에 모으고 아아 당신은 영원한 母性
그의 陰陽의 따뜻한 懷妊안에 나는 눈을 뜨고 감았다. 다만 한오리 안개가 그의 神秘를 살픈 가리고 있었다. 어머니라는 말씀이 풀리지 않게 또한 굳지 않게
-「山ㆍ素描 1」
) 박목월, 앞의 책, P190.
중에서-
초기시에서 자연을 대표하는 것은 '산'이다. 여기에도 산이 등장하는데 그 산의 모습이 '어머니'의 이미지로 나타난다. 사실 '산'을 묘사하기 위함이 아니라 '어머니'의 이미지를 묘사하기 위해 '산'의 이미지를 가져온 것이라 할 수 있다. '산' 이미지 전체가 어미니의 은유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 최승호, 앞의 글, P14.
여기에서 어머니는 초기시의 자연이 그러했듯이 현실에 실제 하는 어머니가 아니다. 인간이 안식할 수 있는 절대적 공간으로서 어머니, 어머니의 품인 것이다. 그리고 어머니의 품은 돌아가고 싶은 안식처, 고향이 되기도 한다.
오늘, 또 하루가 저무는 해질 무렵
하숙집 부엌에서 자그락거리는
그릇 부딪는, 숟갈 부딪는 소리
문득, 눈물겨운 마음으로 책상 위에
어머니. 손가락으로 써보는
오늘, 또 하루가 저무는 해질 무렵
-「他鄕에서」전문-
타향의 하숙집에서 음식 준비하는 소리를 들으면서 고향에 있는 어머니를 생각하는 자아의 심정 속에서 어머니는 '고향'과 동일한 의미를 지닌다. 이러한 생각의 이면에는 어머니가 곧 고향이며, 이러한 고향으로의 회귀는 곧 어머니로의 회귀라고 할 수 있다. 목월의 후기시에서 고향회귀 의식이 가장 잘 나타나 있는 것은 시집『慶尙道 가랑잎』에서다. 여기에서 작가는 경상도 사투리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하고, 도시의 삶과는 다른 방식으로 자연과 합일된 삶을 살아가는 고향 삶들의 순박한 모습을 그리기도 한다. 도시의 삶을 너머, 현실을 너머를 꿈꾸는 시인의 지향점이 잘 드러나는 부분이다.
갈릴리 바다의 물빛을
나는 본 일이 없지만
어머니 눈동자에
넘치는 바다.
땅에 글씨를 쓰시는
예수님의 모습을
나는 본 일이 없지만
믿음으로써
하얗게 마르신 어머니.
圓光은
천사가 쓰는 것이지만
어머니 뒷모습에
서리는 광채.
아들의 눈에만 선연하게 보이는.
-「갈릴리 바다의 물빛을」전문 -
어머니의 눈동자 속에서 갈릴리 바다를 보고, 어머니 뒷모습에서 광채를 보는 서정적 자아에게 있어서 어머니는 절대자인 '예수 그리스도'에 이르게 하는 매개자이다. 이 시에서도 어머니의 이미지는 현실적이고 실제 하는 어머니가 아닌 절대적인 존재로서 '영원한 모성'
) 금동철,「박목월 시의 어머니 이미지와 근원의식」,『한국시학연구』제3호, 한국시학회, 2000, p25.
으로 그려진다.
이와 같이 목월의 후기시는 좌절과 패배를 안겨준 일상적 삶, 현실 세계를 초극하여 자아가 안식하고 휴식할 수 있는 세계, 이상향을 꿈꾸게 된다. 그리고 그 너머에는 안정되고 조화로운 자연도 되고, 고향도 되고, 절대자도 되는 어머니가 계신다. 요컨대, 목월의 후기시의 특징은 모성지향
) 김형필, 앞의 책.
으로 요약되고, 그것은 근원으로의 회귀인 것이다. 후기시에서 그가 지향하는 세계의 모습이 초기시의 이상향 혹은 유토피아와 같은 모습임에도 '회귀'라고 쓴 이유는 초기시의 자아는 세계와의 간극을 경험하기 전 단계, 합일의 세계에 존재하고, 후기시의 자아는 자아와 세계의 합일이 불가능함을 깨달은 자아로서의 근원 탐구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후기시에서 보여 지는 근원으로의 회귀 욕망은 더욱 간절하게 표현된다.
4. 목월시의 의의 : 서정적 근원에의 지향
목월의 시는 멀리는 고려가요와 강호가도의 자연시와 민중적 가락의 민요시에 그 원천을 두고 있으며, 가까이는 소월의 달의 상상력과 흐름의 시학, 지용의 고전적 감수성과 세련된 언어감각 및 영랑의 향토적 서정과 운율의식에 연결된다고 평가받고 있다.
) 김재홍,「목월시의 성격과 시사적 의미」,『한양어문』제6호, 한국어문학회(구 한양어문학회), 1988, p313.
이와 같은 평가는 물론 합당하다 생각하나 초기작을 중심으로 한 몇몇 특정 작품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후기시들을 간과하고 있는 것 같다. 최근에는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한 연구들이 여러 논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그 중에서 목월의 시를 하나의 텍스트로 보고 그 텍스트 안에 존재하는 공간기호를 분석하여 그것이 어떻게 텍스트 속에서 드러나는지를 분석한 김혜니
) 김혜니,「朴木月 時 空間의 記號論的 硏究」,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의 논문과 서정시의 본질과 목월 시의 본질에 대해 탐구한 금동철과 최승호
) 금동철, 최승호, 앞의 글.
의 연구들을 주목할 만하다. 특히 금동철과 최승호는 목월이 탐구하는 세계가 바로 서정시의 세계이고, 목월의 시가 서정시 장르의 특성을 가장 잘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요컨대 목월만큼 서정시다운 서정시를 쓴 시인은 없다는 것이다.
참 고 문 헌
금동철,「박목월 시의 텍스트 생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4.
,「박목월 시에 나타난 근원의식」,『관악어문연구』제24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9.
,「박목월 시의 어머니 이미지와 근원의식」,『한국시학연구』제3호, 한국시학회, 2000.
김재홍,「목월시의 성격과 시사적 의미」,『한양어문』제6호, 한국어문학회, 1988.
김형필,『박목월 시 연구』, 이우출판사, 1988.
, 『박목월: 청노루의 꿈, 목마름의 시』,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7.
박목월,『보라빛 소묘』, 신흥출판사, 1958.
, 『박목월시전집』, 민음사, 2003.
오세영,「영원 탐구의 시학」,『한국어문화학회』 23호, 한국언어문화, 2003.
최승호,「박목월 서정시의 이데올로기와 어머니」,『우리말 글』제21호, 우리말글학회, 2001.
홍희표,『목월시의 형상과 영향』,새미, 2002.
  • 가격2,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3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