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사상의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사상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불교의 전모

2. 불교의 인간관

3. 불교의 윤리관

4. 제8 야뢰야식

본문내용

뜻. (2) 소장(所藏). 8식 중 다른 7식에 의하여 염법(染法)의 종자를 훈습하여 갊은 식이란 뜻. (3) 집장(執藏). 제8식은 오랜 때부터 없어지지 않고 상주하므로 자아(自我)인 듯이 제7식에게 집착되는 식이란 뜻. 그러나 이 가운데서 주로 집장의 의미로 장식이라 하므로 아애집(我愛執)이 일어나지 않을 때에 이르면 아뢰야란 이름이 없어짐. 또 다른 이름으로 법상종에서는 불도 수행의 도정을 3분하여, 아뢰야(阿賴耶)ㆍ비파가(毘播迦)ㆍ아타나(阿陀那)의 이름을 붙임. 아뢰야는 제7 말나(末那)가 제8식을 자아의 존재처럼 집착하는 자리에서의 제8식의 이름. 비파가는 이숙(異熟)이라 번역하니 선악의 업으로 인하여 받은 자리에서의 제8식의 이름. 아타나는 부처님 지위에서의 제8식의 이름. 이미 자아의 집착이 없어지고 또 업으로 받은 것도 아니고 물질과 마음의 여러 법을 발현케 하는 종자와 5근(根)을 집지상속(執持相續)하는 자리의 제8식이므로 아타나(執持)라 함. 이식은 종자(이 식 속에 갊은 깨끗하거나 더러운 세계를 발현할 수 있는 세력) 5근ㆍ기세간(器世間)을 소연(所緣)으로 하기 때문에 각자의 아뢰야로써 우주 만유를 전개하는 근본이라 하고, 현상인 실재를 말하는 진여연기론에 대하여, 진여를 본체로 하고 진여에 즉하지 아니한 가유(假有)의 현상을 인정하여 뢰야연기론을 이루게 된 것임.
-출처: 불교사전, 이운허 저, 동국역경원-
一心眞如라는 우주의 근본이 無明에 의해 처음으로 일체의 현상을 나타내게 된다고 하고 가장 근본적인 無明을 8식이라는 수준에서 설명한다.
8식 즉, 아뢰야식을 좀 더 세분화하여
三細라고 하는데 무명업상(無明業相)ㆍ능견상(能見相)ㆍ경계상(境界相)으로 구분된다.
1. 무명업상은 진여가 무명에 의하여 차별적 현상을 내게 되는 첫걸음으로서, 아직 주관ㆍ객관이 갈라지기 전의 상태를 말한다.
2. 능견상은 무명업상이 주관ㆍ객관으로 갈라져 대립된 때에, 그 주관적 방면을 말한다.
3. 경계상은 능견상인 주관의 앞에 나타나는 객관적 대상의 경계. 진여 본성에 계합하지 않는 허망한 상태를 말한다.
이 밖에 변계소집성, 의타기성, 원성실성이라고도 구분하는데 三細의 구분과 유사하다.
禪家에서는 궁극적인 최고 경지의 깨달음인 구경각究境覺을 말할 때 이 아뢰야식의 번뇌까지 멸한다고 한다. 화두를 깨치면 그렇게 된다는 것이며 오매일여와 몽중일여, 동정일여도 이 팔식설을 언급하면서 묘사하기도 한다.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4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