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4장. 소리의 세계를 찾아서
♣ 음성이란 무엇인가
♣ 음소란 무엇인가
♣ 음소의 구성
♣ 음성이란 무엇인가
♣ 음소란 무엇인가
♣ 음소의 구성
본문내용
♣ 음성이란 무엇인가
음성(phone):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소리 중에, 실제 말에 쓰이는 소리
예) 바람 음성(X), 아기의 울음 음성(X), 그 가수의 음성은 허스키다(O)
* 음성의 특징
① 개인에 따라 달라 사람을 구별하는 하나의 징표가 되며(이것을 음색이라고 함), 같은 사람이 말하더라도 때와 장소,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는 물리적이며 구체적인 개별음이다.
② 음절상의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게 실현된다.
예) ‘가곡’의 첫번째 ‘ㄱ’은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 [k]
두번째 ‘ㄱ’은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 [g]
세번째 ‘ㄱ’은 모아진 숨이 풀리지 않은 채 끝나는 내파음 [kㄱ]
♣ 음소란 무엇인가
음소(phoneme):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 단위
* 음소의 특징
① 사람마다 개별적인 음성으로는 조금 다를지 몰라도 다 똑 같은 소리로 받아 들인다.
예) ‘고기’가 [gogi]로 발음되든 [kogi]로 발음되든 [koki]로 발음되든
한국사람은 다 똑같은 소리로 인식한다.
② 따라서 /k/ [k] 각각의 이음: 이처럼 소리가 비슷하지만 같다고
[g] 인식하는 것을 이음(allophone)이라고 한다.
[kㄱ]
③ 음성과 음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음성은 [ ]로, 음소는 / /로 표시한다.
♣ 음소를 구별해주는 방법
① 최소대립쌍(minimal pair)을 이룬다.
최소대립이란 둘 이상의 단어가 같은 위치에 있는 오직 하나의 음 때문에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를 말한다.
예) 길 → 밀, 산 → 한
②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을 이룬다.
한 음소의 이음들의 출현 환경이 정해져 있다.
예) /ㄱ/
[k], [g], [kㄱ] 이 세 개의 소리가 나타나는 상황이 절대 겹치지 않는다.
(‘배타적’이다.)
③ 음성적 유사성(phonetic similarity)
최소대립쌍을 이루면서, 상보적 분포를 이루면서, 음성적 유사성이 있는 음만이 동일 음
소의 이음이 될 수 있다.
예) ‘ㅎ’과 ‘ㅇ’은 최소대립을 이루면서(항:앙), 상보적 분포관계에 있지만(‘ㅎ’은 초성에만
나타나고 ‘ㅇ’은 받침에만 나타남), ‘ㅎ’은 음성적으로 ‘무성음, 마찰음, 성문음’인 반면
‘ㅇ’은 ‘유성음, 비음파열음, 연구개음’이므로 둘 사이에서 음성적 유사성을 찾기는 힘들
다. 따라서 이 두 음은 음성적 유사성이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각각 별개의 음
소로 인정함이 마땅하다.
음성(phone):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나오는 소리 중에, 실제 말에 쓰이는 소리
예) 바람 음성(X), 아기의 울음 음성(X), 그 가수의 음성은 허스키다(O)
* 음성의 특징
① 개인에 따라 달라 사람을 구별하는 하나의 징표가 되며(이것을 음색이라고 함), 같은 사람이 말하더라도 때와 장소,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는 물리적이며 구체적인 개별음이다.
② 음절상의 위치에 따라서도 다르게 실현된다.
예) ‘가곡’의 첫번째 ‘ㄱ’은 성대가 울리지 않는 무성음 [k]
두번째 ‘ㄱ’은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 [g]
세번째 ‘ㄱ’은 모아진 숨이 풀리지 않은 채 끝나는 내파음 [kㄱ]
♣ 음소란 무엇인가
음소(phoneme): 뜻을 구분해주는 최소 단위
* 음소의 특징
① 사람마다 개별적인 음성으로는 조금 다를지 몰라도 다 똑 같은 소리로 받아 들인다.
예) ‘고기’가 [gogi]로 발음되든 [kogi]로 발음되든 [koki]로 발음되든
한국사람은 다 똑같은 소리로 인식한다.
② 따라서 /k/ [k] 각각의 이음: 이처럼 소리가 비슷하지만 같다고
[g] 인식하는 것을 이음(allophone)이라고 한다.
[kㄱ]
③ 음성과 음소를 구분하기 위하여 음성은 [ ]로, 음소는 / /로 표시한다.
♣ 음소를 구별해주는 방법
① 최소대립쌍(minimal pair)을 이룬다.
최소대립이란 둘 이상의 단어가 같은 위치에 있는 오직 하나의 음 때문에 뜻의 차이를
가져오는 경우를 말한다.
예) 길 → 밀, 산 → 한
② 상보적 분포(complementary distribution)을 이룬다.
한 음소의 이음들의 출현 환경이 정해져 있다.
예) /ㄱ/
[k], [g], [kㄱ] 이 세 개의 소리가 나타나는 상황이 절대 겹치지 않는다.
(‘배타적’이다.)
③ 음성적 유사성(phonetic similarity)
최소대립쌍을 이루면서, 상보적 분포를 이루면서, 음성적 유사성이 있는 음만이 동일 음
소의 이음이 될 수 있다.
예) ‘ㅎ’과 ‘ㅇ’은 최소대립을 이루면서(항:앙), 상보적 분포관계에 있지만(‘ㅎ’은 초성에만
나타나고 ‘ㅇ’은 받침에만 나타남), ‘ㅎ’은 음성적으로 ‘무성음, 마찰음, 성문음’인 반면
‘ㅇ’은 ‘유성음, 비음파열음, 연구개음’이므로 둘 사이에서 음성적 유사성을 찾기는 힘들
다. 따라서 이 두 음은 음성적 유사성이란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므로 각각 별개의 음
소로 인정함이 마땅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고등 과학탐구 모의고사 30문제 07
[과외]고등 과학탐구 모의고사 30문제 08
[과외]사회탐구 모의고사 30문제 11
노란책 8장 역사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맥락을 통한 ‘이해’의 문제
가정폭력의 이해와 원인과 실태 및 문제점을 통해 복지서비스차원의 개선방안에 대한 분석(A+)
유아 교육과 교원의 역할 및 현황 - 교육자와 학습자의 이해, 교육의 기능, 국가관과 교육관,...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지도)의 의의와 중요성,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지도)의 실태와 단계, ...
5학년)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 2/10 )차시, 96~99쪽(익힘책 110~113쪽)) 원리탐구 수업...
[놀이체험활동]놀이체험활동을 통한 고운심성기르기, 놀이체험활동을 통한 공동체의식함양, ...
교육방법및교육공학 제 2장 교수-학습 개론 탐구문제
(A+) 고사와 성어의 탐구 중간고사 문제, 퀴즈 족보
(A+) 고사와 성어의 탐구 중간+기말고사 문제, 퀴즈 족보
[영어독해][영어독해 전략][영어독해 수준별교육][영어독해 요령]영어독해의 필요성, 영어독...
보기의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택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자기생각(주장)을 논리적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