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5.단어로 이루어진 세상
1. 단어란 무엇인가
2. 품사란 무엇인가
3. 형태소
4. 이형태와 영형태
1. 단어란 무엇인가
2. 품사란 무엇인가
3. 형태소
4. 이형태와 영형태
본문내용
5. 단어로 이루어진 세상
1. 단어란 무엇인가
단어(word) = 낱말
‘겨울, 하늘’은 단어이다. 그렇다면 ‘하얀 겨울, 파란 하늘’은 왜 단어가 아닌가?
* 단어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1. 자립성 (문장에서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다)
2. 최소 자립성 (더 이상 나눌 수 없다. 예> ‘겨울’에서 ‘겨’와 ‘울’이 한데 어울려야만 그 고유한 의미가 나온다)
♣ 어디까지를 단어로 볼 것인가?
1) 분석체계 (1910년, 조사와 어미를 단어로 친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6단어)
2) 절충체계 (1930~1940년, 조사는 단어로 치고, 어미는 단어로 치지 않는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5단어)
▶ 현재 학교문법에서 쓰이고 있음
깨뜨리시었겠더군요 → 1단어 (한국어의 교착성- 주시경(1910))
어미
3) 종합체계 (1940~, 띄어쓰기 단위대로 단어를 인정한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4단어)
2. 품사란 무엇인가
품사: 단어들 중에서 공통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갈래
♣ 품사를 나누는 기준
1) 형태 (품사의 형태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어미활용을 하는지 안 하는지)
┌ 불변화어: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 변화어: 형용사, 동사, ‘-이다’ →서술격조사 (예외: 조사는 불변어이지만 서술격 조사만 예외로 변화어에 넣는다)
2) 기능
체언: 문장의 주체로 기능, 주어나 목적어 기능 (명사/대명사/수사)
수식언: 꾸며주는 기능 (관형사/부사)
관계언: 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기능 (조사)
독립언: (감탄사)
용언: 활용하는 것들 (동사/형용사)
3) 의미
명사: 사물의 이름
대명사: 대신하는 이름
수사: 숫자를 나타내는 것들
관형사: 체언 수식
부사: 용언 수식
조사: 체언을 도와주는 역할
감탄사: 느낌, 놀람 등을 표현
동사: 사물의 움직임을 표현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
* 서술격조사 (-이다)
무엇인가를 서술해주는 역할을 할 때 ‘-이다’를 붙인다고 해서 서술격이라 했다
기능적으로 보았을 땐 용언인데, 의미적으로 보았을 때 조사로 구분해 놓았다.
철수는 남자이다 / 철수는 남자다
생략이 가능하다 ⇒ 조사로 구분
* 동사(verb)와 형용사(adjective)
┌ 동사 (동작동사): 가다 → 갑니다 ┐ 똑같이 활용하지만 동사는 동작을
└ 형용사 (상태동사): 예쁘다 → 예쁩니다 ┘ 형용사는 상태를 표현한다
알아두기) 우리나라의 형용사는 영어의 상태동사와 같다
1. 단어란 무엇인가
단어(word) = 낱말
‘겨울, 하늘’은 단어이다. 그렇다면 ‘하얀 겨울, 파란 하늘’은 왜 단어가 아닌가?
* 단어가 되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1. 자립성 (문장에서 홀로 자립하여 쓰일 수 있다)
2. 최소 자립성 (더 이상 나눌 수 없다. 예> ‘겨울’에서 ‘겨’와 ‘울’이 한데 어울려야만 그 고유한 의미가 나온다)
♣ 어디까지를 단어로 볼 것인가?
1) 분석체계 (1910년, 조사와 어미를 단어로 친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6단어)
2) 절충체계 (1930~1940년, 조사는 단어로 치고, 어미는 단어로 치지 않는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5단어)
▶ 현재 학교문법에서 쓰이고 있음
깨뜨리시었겠더군요 → 1단어 (한국어의 교착성- 주시경(1910))
어미
3) 종합체계 (1940~, 띄어쓰기 단위대로 단어를 인정한다)
그/꽃이/ 활짝/ 피었다 (4단어)
2. 품사란 무엇인가
품사: 단어들 중에서 공통된 성질을 가지고 있는 갈래
♣ 품사를 나누는 기준
1) 형태 (품사의 형태에 변화가 있는지 없는지/ 어미활용을 하는지 안 하는지)
┌ 불변화어: 명사, 대명사, 수사, 조사, 관형사, 부사, 감탄사
└ 변화어: 형용사, 동사, ‘-이다’ →서술격조사 (예외: 조사는 불변어이지만 서술격 조사만 예외로 변화어에 넣는다)
2) 기능
체언: 문장의 주체로 기능, 주어나 목적어 기능 (명사/대명사/수사)
수식언: 꾸며주는 기능 (관형사/부사)
관계언: 단어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주는 기능 (조사)
독립언: (감탄사)
용언: 활용하는 것들 (동사/형용사)
3) 의미
명사: 사물의 이름
대명사: 대신하는 이름
수사: 숫자를 나타내는 것들
관형사: 체언 수식
부사: 용언 수식
조사: 체언을 도와주는 역할
감탄사: 느낌, 놀람 등을 표현
동사: 사물의 움직임을 표현
형용사: 사물의 성질이나 상태를 설명
* 서술격조사 (-이다)
무엇인가를 서술해주는 역할을 할 때 ‘-이다’를 붙인다고 해서 서술격이라 했다
기능적으로 보았을 땐 용언인데, 의미적으로 보았을 때 조사로 구분해 놓았다.
철수는 남자이다 / 철수는 남자다
생략이 가능하다 ⇒ 조사로 구분
* 동사(verb)와 형용사(adjective)
┌ 동사 (동작동사): 가다 → 갑니다 ┐ 똑같이 활용하지만 동사는 동작을
└ 형용사 (상태동사): 예쁘다 → 예쁩니다 ┘ 형용사는 상태를 표현한다
알아두기) 우리나라의 형용사는 영어의 상태동사와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과외]고등 과학탐구 모의고사 30문제 07
[과외]고등 과학탐구 모의고사 30문제 08
[과외]사회탐구 모의고사 30문제 11
노란책 8장 역사교육에 있어서 역사적 맥락을 통한 ‘이해’의 문제
가정폭력의 이해와 원인과 실태 및 문제점을 통해 복지서비스차원의 개선방안에 대한 분석(A+)
유아 교육과 교원의 역할 및 현황 - 교육자와 학습자의 이해, 교육의 기능, 국가관과 교육관,...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지도)의 의의와 중요성, 미술감상교육(미술감상지도)의 실태와 단계, ...
5학년) <수학과 교수-학습 과정안 (( 2/10 )차시, 96~99쪽(익힘책 110~113쪽)) 원리탐구 수업...
[놀이체험활동]놀이체험활동을 통한 고운심성기르기, 놀이체험활동을 통한 공동체의식함양, ...
교육방법및교육공학 제 2장 교수-학습 개론 탐구문제
(A+) 고사와 성어의 탐구 중간고사 문제, 퀴즈 족보
(A+) 고사와 성어의 탐구 중간+기말고사 문제, 퀴즈 족보
[영어독해][영어독해 전략][영어독해 수준별교육][영어독해 요령]영어독해의 필요성, 영어독...
보기의 영유아를 위한 교수 학습 방법을 택하여 자세히 설명하고 자기생각(주장)을 논리적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