꼬마 역사학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꼬마 역사학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차례]
1부 요약
어린 역사학자
1. 역사란 무엇인가?
2. 역사가 왜 중요한가?
3. 어린 역사학자들은 무엇을 알아야 하고,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가?
4. 일반적으로 역사는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가?
문학 중심 접근
*역사소설
*전기
*민속 문학
생활사 박물관으로의 여행
구술가
*인터뷰와 구술사
*가상의 구술사
원사료
*문자사료
*유물
연대기
*사건고리
*연표
5. 후기

2부 정리
6. 무엇을 느꼈는가?
7. 무엇을 시사 하는가?
8.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

본문내용

추게 되었다. 이 수업은 전형적으로 구술사를 이용한 수업이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한 시간의 수업을 체계적으로 이끌 수도 있지만, 다른 수업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이를 시사하는 내용을 교재에서 볼 수 있다.
다음 날 학생들이 교실로 돌아왔을 때, 그들은 예비지식에 가득 차 학습할 준비가 되어 있었다. 보아트 선생님은 학생들이 농업박물관의 장면을 중심으로 여러 가지 활동에 참여하도록 했다.
..........(중략)
자연스럽게 보아트 선생님은 이야기를 학생들의 선행경험과 연결지었다. 학생들의 현장 학습의 경험은(그 뒤에 이어지는 모든 활동에도) 이야기를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었다.
이 내용이 시사하는 바는 크다. 아직 우리나라 교육 현실에서 교재의 방법으로만 구성되어진 사회수업을 1년간 한다면, 아마 학부모의 반발이 심할 것이다. 엄연히 한국에는 시험과 수능이라는 평가가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좋은 방법이라고 교사가 역설한다 해도 앞서 말한 평가에서는 좋은 결가가 있을지 의문이다. 교사가 교과서 내용을 잘 이해하고 수업에 앞서 이러한 활동을 적절히 배합한다면, 이후 학습이 비록 단순 날짜 이름을 암기하는 수업이라 할 지라도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정리해보자면, 아무리 몸에 좋은 약이라도 매일 그리고 아프지도 않을 때 먹는 다면 오히려 병이 될 것이다. 수업에서도 마찬가지 이다. 아무리 좋은 교수 방법이 있더라도 매일 그리고 적절한 시기에 하지 않는 다면 오히려 안 좋을 수도 있다. 교재에서 말하고 있는 방법도 교사의 재량아래 적절하게 적용한다면 훌륭한 어린 역사학자를 배출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12.15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6762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