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음식의 유래 종류와 특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찰음식의 유래 종류와 특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사찰음식의 유래 --------------- 2~4p

▷발우공양 --------------------- 4~5p

▷사찰음식의 천연양념과 향신료 ----- 5~10p

▷사찰음식의 건강요소 ------------ 10~11p

▷사찰음식의 종류 --------------- 11~15p

▷사찰음식의 특징 --------------- 15~16p

▷사찰음식의 변화 --------------- 16p

본문내용

고 수명을 연장한다.
안락이 있고 말솜씨가 시원하게 되고 음식물의 소화를 좋게 하고 감기에 잘 안 걸리는
이로움이 있다. 또한 공복감을 충족시키고 목의 갈증을 풀어주고 대소변을 잘 조절하게 한다.
죽에는 바죽, 현미죽, 연시죽, 팥보죽, 비지죽, 개암죽, 우분죽, 늙은 호박죽, 잣죽, 콩나물죽,
흑임자죽, 옥수수죽, 땅콩죽, 야채죽, 팥죽, 들깨죽, 호두죽, 미역죽, 아욱죽, 녹두죽, 버섯죽,
대추죽, 오미자죽 등 모두 43종류나 있다.
2. 밥
찰밥, 산나물비빔밥, 콩나물밥, 야채밥, 유부밥, 보리밥, 김밥, 김치밥, 무밥, 김초밥,
버섯덮밥, 보리밥, 오곡밥, 야채 영양소밥, 톳나물밥, 연잎밥 등이 있다.
3. 국
무국, 미역국, 우거지국, 시금치국, 감자국, 쑥국, 냉이국, 김국, 거프국(해안가 절), 근대죽,
배추국, 토란국, 두부냉국, 냉콩국, 째가무냉국, 짠오이냉국, 청포묵국, 시래기국, 양해란국
(음력 7,8월에 나며 생강잎과 비슷하며 썰어서 기름에 볶다가 쌀뜨물을 풀고 양념간장으로
끓인다) 등 그 종류가 44가지나 된다.
4. 김 치
젓갈류, 파 , 마늘을 쓰지 않는 사찰김치는 담백하고 독특한 맛이 있다.
사계절이 뚜렷하고 지역적 특성이 강하다.
경기 충청지역은 주로 잣을 이용하는 백김치, 보쌈김치, 고수김치, 깍두기
전라도 지역에서는 들깨죽을 이용한 고들빼기김치, 갓김치, 죽순김치
경상도 지역에서는 늙은 호박죽과 보리밥을 이요한 콩잎김치, 우엉김치, 깻잎김치 등이 있다.
북한 지역에스는 소금, 고추, 생강, 청각 등을 이용한 동치미나 백김치가 있다.
5. 나 물, 무 침
시금치, 냉이, 비름나물, 더덕무침, 죽순채무침, 꽈리고추무침, 미사무침, 가지나물,
고사리나물 등 31가지가 있다.
6. 조 림
감자조림, 우엉조림, 무조림, 고구마, 물엿조림, 꼇질콩조림, 송이버섯조림, 곤약조림 등
27가자가 있다.
7. 볶 음
감자볶음, 야채볶음, 호박볶음, 머우볶음, 도라지볶음, 오이볶음, 말린추나물볶음,
죽순볶음 등 25가지가 있다.
8. 찜, 부 침 류
가지찜, 배추찜, 채소찜, 연두부찜, 호박부침, 당근부침, 표고전, 김치부침, 감자부침,
녹두부침 등 19가지
9. 튀 김, 구 이
버섯튀김, 깻잎튀김, 쑥갓튀김, 고추튀김, 가지튀김, 늦싸리부각, 들깨송이부각,
산동백잎부각, 아카시아꽃부각, 우엉구이, 표고구이 등 31가지가 있다.
10. 밑 반 찬 류
산초장아찌, 절인고추, 콩장, 무말래이, 절인오이, 짠배추, 무, 오이, 양희장아찌, 감장아찌,
참외장아찌
11. 떡
호박오가니떡, 쑥개떡, 풋고추장떡, 메밀떡, 감자송편, 물호박떡, 호박찰시루떡 등
100여가지가 된다.
12. 다 식
율무다식, 찹쌀다식, 콩다식, 깨다식, 녹두다식, 밤다식, 송화다식, 팥다식 등.
13. 한 과
유과 유밀과, 강정, 다식전고, 엿강정 등으로 구분.
15. 차
쑥차, 솔차, 작설차 등이 있다.
14. 장
된장, 간장, 고추장으로 나누는데 각 사찰의 물맛, 조리법 등에 따라 독특한 맛을 낸다.
□ 사찰음식의 특징
사찰음식의 특징을 들자면 독특한 조리법이 사찰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산야초를 음식으로 먹고 그리고 육식과 오신채 및 인공 조미료를 전혀 넣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음식 만드는 과정을 오로지 또 다른 수행의 한 방법으로 여긴다는 점이다.
무엇을 먹을까는 큰 문제가 아니다. 다만 언제, 어떻게 먹을 것인가에 관심이 있을 뿐이다.
요즘은 일일 일식을 규정하지 않지만 일일 일식은 식사의 양에 유의한 깊은 뜻이 있는 것이다.
어찌됐든 남방불교에서는 탁발이 그대로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기후와 풍토가 다른
북방불교권(한국, 중국, 일본, 티벳 등)에서는 사원발달과 함께 승려들의 건강을 우려하여
다양한 음식들이 개발되었다.
그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고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계율상 차이는 있지만 대승불교에서는 엄격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채소 중에서 오신채를 사용하지 않는다.
파, 마늘, 부추, 달래 등은 몸에서 냄새가 나고, 성내고 탐내고 어리석하게 하는 마음이 생겨나기 때문에 수행인에게는 절대 금한다.
셋째, 사찰음식은 약리작용을 갖고 있다.
승려들은 양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 산약초를 먹기 때문이다.
산초장아찌는 구충제 역할을 하고 보온효과가 있는 것을 예로 알 수 있다.
넷째, 무엇보다도 시원 담백하고 깔끔한 맛이다.
인공조미료를 쓰지 않고 다시마, 버섯, 들깨, 날 콩가루의 천연 조미료를 쓰고 있다.
다섯째, 제철에 따른 음식이 발달해 있다.
예를 들자면 지리산 화엄사에는 죽순나물과 갓김치, 김부각 등이 있고 여천 흥국사에는 쑥떡, 머위당이, 합천 해인사에는 찹쌀죽과 고수 나물무침 등이 발달 되어 있다. 수원 용주사에는 국화전과 두부소박이가 발달했다.
□ 사찰음식의 변화
주거공간의 변화로 승려들의 식생활도 변화되었다. 탁발을 하던 승려들은 이제 신도들이
만들어 주는 음식을 먹게 되었던 것이다. 어쨌든 부처님시대의 승려들은 수행을 하기 위한
많은 고행을 겪어야 했는데 당시의 음식을 대충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주식은 건반(말린 밥), 맥두반(콩과 보리를 섞어 지은 밥), 초(미숫가루), 육(고기), 병(떡)
등 다섯가지였고 부식으로는 식물의 가지, 잎사귀, 꽃, 과일 및 우유나 가타 명제품, 꿀이나
석밀 등이었다. 특별히 음식에 대한 금기는 없었는데 고기는 아무 고기나 먹어도 상관없다는것은 아니었다. 병든 비구에 한해서는 삼정육, 오정육, 구정육 등을 허락했는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삼종정육(三宗淨肉)
자산을 위해서 죽이는 것을 직접 보지 않은 짐승의 고기(不見)
남으로부터 그런 사실을 전해 듣지 않은 것 (不耳)
자신을 위해 살생했을 것이란 의심이 가지 않는 것(不疑)
▶ 오종정육(五種淨肉 - 위 삼종정육 포함)
수명이 다하여 자연히 죽은 오수(鳥獸)의 고기
맹수나 오수가 먹다 남은 고기
▶ 구종정육(九種淨肉)
자신을 위해서 죽이지 않은 고기
자연히 죽은지 여러 날이 되어 말라붙은 고기
미리 약속함이 없이 우연히 먹게 된 고기
당시 일부러 죽인 것이 아니라 이미 죽인 고기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1.08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26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