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의 교육>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시대적 배경

2. 조선시대 교육의 개관 및 변화

3. 조선시대의 관학
▪ 성균관 ▪ 4학 ▪ 향교
▪ 종합과 잡과

4. 조선시대의 사학
▪ 서원 ▪ 서당

5. 조선시대 과거제도의 개관

6.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7. 성리학과 교육

본문내용


로서, 관료의 출발을 보장해주는 제도가 됨
근본 취지는 국가의 유용한 인재를 선발하기 위한 제도였으나, 학교교육을 과거급제의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등 그 운용면에서 많은 문제점을 파생
특징
고려시대의 과거제도에는 무과가 없는데 반해, 문무(文武)를 운영
문관 위주로서 문과가 중요시 됨
생원시(生員試) 중시 : 유학경전 암기
관학을 육성하여 과거제와 유기적으로 연결
종류
식년시(式年試)
: 정기 시험
(3년에 1회)
문과
생진과(生進科) : 소과(사마시(司馬試)).
대과에 응시하기 전에 보는 시험, ‘생원시’와 ‘진사시’로 나뉨
문과(文科) : 대과(동당시(東堂試)).
관리로 임용되는 시험, 조선 왕조의 최고단계 시험
무과
무관 선발, 조선시대 처음으로 시행
잡과
기술관료 선발
별시(別試)
: 부정기 시험
증광시(增廣試) : 국가 경사시에 보는 특별시험
알성시(謁聖試) : 왕이 성균관에 제사할 때 실시되었던 시험
백일장(白日場) : 시골 유생의 학문 장려를 목적으로 하는 시험
절일제(節日製) : 삼일제, 칠석제, 구일제에 치르는 시험
■ 조선시대 과거제도와 학교교육의 관계
1. 과거제도와 학교교육과의 관계
문과 : 성균관; 고등교육기관 / 생진과(향교,사학; 중등교육기관)
무과 : 무학
잡과 : 역과(역학) / 의과(의학) / 음양과(음양학) / 율과(율학)
2. 과거제도가 학교 교육에 끼친 영향
국가의 교육목적은 인재양성에 있었으나, 과거제로 인해 학교교육은 본래 목적을 상실하 고 개인적 영달과 양반계층의 편입 유지라는 수단으로 전락
성균관을 비롯한 모든 관ㆍ사의 교육기관은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기관으로 전락
과거의 시험과목이 학교의 교과목이 됨
■ 성리학과 교육
목표
존양(存養) : 본마음을 잃지 않도록 착한 성품을 기름.
궁리(窮理) : 사물의 이치를 연구함
존양과 궁리를 통해 우주의 근본원리를 탐구하며, 천(天)ㆍ인(人)의 관계를
간파하고 인생 당위의 본무를 발견하고자 함
교육
목적
윤리 도덕에 중점을 두어 선인을 양성하는데 있으며, 최종 목적은 성현(聖賢)에 도달
교육
방법
기본방법 : 성현(聖賢)이 하던 일을 본뜨는데 있음
교과서 : 소학(小學), 사서(四書), 삼경(三經)
숭배대상 : 공(孔), 맹(孟), 정(程), 주(朱)
수양강령 :「궁리와 치지」,「정심과 성의」,「중화와 성명」,「신독과 경쟁」
교육 실천요목 :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렴(廉) 치(恥)
학습에는 단계가 있었으나 융통성을 인정,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도덕실천이기 때문에 실천학으로서 성리학을 강조
술이부작(述而不作) : 과거의 사실을 있는 그대로 기술할 것일 뿐,
더하거나 보태서 창작한 것이 아님
비판점
실물을 대상으로 하지 않으므로 변증과 실험이 없고, 실용적이지 않아서 일반 평민
계층에게는 도움을 주지 못했기 때문에 일반교육의 기본적인 철학이 되기 곤란
학습자는 수양에 편중, 지식계급은 성리공담에 빠지고 노동을 경시,
과학과 생산 및 정치 경제에도 무지
  • 가격2,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1.11
  • 저작시기2009.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32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