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대문학-소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지식인의 삶을 즐겨 그렸다. ② 철저한 반일의식을 지닌 작가이다.
③ 「제일과 제일장」을 발표하였다. ④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감옥에 갔다.
<99기출>
68.「제1과 제1장」의 작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만무방」의 작가이기도 하다. ② 도시 빈민층의 삶을 즐겨 다루고 있다.
③「흙의 노예」의 작가이기도 하다. ④ 철저한 반일작가이다.
제39장. 박 영 준- 모범 경작생(模範耕作生)
작가소개
@1911년 평안도 강서 출생
@1934년 <조선일보>에 <모범경작생>이 <신동아>에 <일년>,<새우젓>이 당선.
@1935년 <생호래비>,<어머니>
@1938년 만주로 이주 <아름다운 길>,<의수> 등을 발표.
@해방후 장편 <한류의 어족> 및 단편 <과도기>,<풍설>,<외수>,<강아지>,<윤락설(淪落說)>등을 발표
@1976년 사망
작품 세계
@농촌생활을 소재로 하여 일제하 조선농민의 삶을 표현- 농촌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도, 간결한 문체와 치밀한 구성 등 소설의 짜임새에 대하여 섬세하게 배려하여 작품을 씀
@소시민의 윤리문제와 세대간의 갈등 표현- 소시민들의 생활윤리와 인간의 미묘한 감정의 물결속에서의 윤리성에 대한 문제, 즉 도시적인 문제에 주력했다.
작품감상-<모범경작생>
@1934년 <조선일보>에 당선된 작품이다.
@농민들의 생활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였다.
@주인공 ‘길서’를 통해 일제의 ‘농촌진흥운동’과 같은 농업정책의 허구를 역설적으로 표현하였다.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의 허구를 암시하는 ‘모범경작생’이란 제목 자체가 이 작품의 성격과 주제를 잘 보여주고 있다.
주인공 ‘길서’는 일제의 꼭두각시에 지나지 않는 인물로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마을 농민들을 서슴지 않고 배반한다. 식민지 한국의 농촌과 농민을 위해서라기 보다는 그들의 병참기지로서의 역할을 위해 농민들에게 최소한의 기아만을 면하게 하려는 비열한 농촌정책을 ‘길서’라는 이른바 일제의 꼭두각시 모범경작생을 통해 역설적으로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 이 작품은 이광수의 <흙>이나 심훈의 <상록수>처럼 농촌과 농민을 계몽하는 지도자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그것은 이 작품이 당대 농촌의 살아 숨쉬는 생생한 인물의 보편성을 당시 1930년대적 상황에서 보여주고자 했던 작가의 의도가 성공적으로 반영된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박영준 문학의 성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2003기출>
70. 다음 중 일제 하 농촌의 현실을 그린 농민소설에 해당하지 않는 작품은?
① 「제일과 제일장」 ② 「흙의 노예」 ③ 「모범경작생」 ④ 「모래톱이야기」
<2001기출>
70. 소설 모범경작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① 박영준의 작품이다.
② 주인공은 길서이다.
③ 말 그대로 건강한 농촌 청년의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④ 일제의 농촌진흥운동을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99기출>
69. 다음 중 「모범경작생」에 등장하는 인물이 아닌 것은?
① 길서 ② 성두 ③ 의숙 ④ 수택
제40장. 김 정 한- 사하촌(寺下村)
작가소개
@1908년 경남 동래 출생
@1936년 <조선일보> 단편소설 <사하촌>당선 문단에 데뷔
@<옥심이> <항진기> <기로> <그러한 남편> 등 저항적인 색체를 띤 작품 발표
@창작 활동을 하지 않다가 1966년 <모래톱 이야기>를 발표 문단에 복귀
@<축생도><수라도><뒷기미 나루><인간단지><산거족><사밧재>등의 작품을 고발과 꿋꿋한 투쟁의식 그리고 죽음과 어둠 속의 절규로 묘사하면서 작품활동
@1996년 사망
작품 세계
그의 대부분의 작품들이 낙동강 주변의 농촌을 배경으로 하여 농민들의 피맺힌 한과 민족적 현실의 모순을 신랄하게 파헤치고, 그들 속에 잠재된 건강한 가능성을 추구함과 동시에 꿋꿋한 저항과 투쟁의식이 반영되어 있는 경향을 보인다. 그리고 그의 작품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농촌생활에 밀착되어 있는 순수한 우리말을 가급적 많이 쓰려고 했다는 점이다.
작품감상- <사하촌>
@1936년 <조선일조>에 당선된 단편소설이다.
@사원(寺院)과 그 속에 소속돼 있는 토지를 경작하는 소작농민 사이의 대립을 사실적으로 그린 작품이다.
@가뭄이라는 계기에 의해 하나 둘씩 표출되는 식민지 농촌의 제반 현실을 사실적이면서도 감동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여기서 가뭄은 자연적인 재해가 아니라 이를 통해 명백히 구체화된 사회적인 모순이다.
@사회적 모순의 실체는 일제의 식민지 권력과 보광사의 중들로 대표되는 지주와 그들의 하 수인인 쇠다리 주사, 진사, 산지기 같은 기생충적 존재들이다.
들깨, 철한이, 봉구, 또쭐로 대변되는 조선의 농민들과 보광사 지주들과의 대결로 이 작품 은 전개된다.
@성동리 주민들이 차압 취소와 소작료 면제를 탄원하기 위해 마을을 떠난 것은 농민적 지 각의 감동적 객관화로서, 사회적. 민족적 해방을 위해 일어선 시대 민중들의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2002기출>
70. 다음 중 김정한의 작품이 아닌 것은?
① 모래톱 이야기 ② 수라도 ③ 일년 ④ 사하촌
70. ③
일년은 박영준이 1934년에 <신동아> 현상소설 모집에 당선된 단편소설이다. 사하촌은 1936년 김정한이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된 작품이고, 모래톱 이야기와 수라도는 1966년 중앙문단 복귀 후에 발표된 작품이다.
<99기출>
70. 다음 중 작가와 작품을 잘못 짝지운 것은?
① 박영준-「일년」 ② 김정한-「사하촌」
③ 이무영-「꽃나무는 심어 놓고」 ④ 김유정-「산골나그네」
<현대문학강독 기출문제 정답>
2003년   21432  13412  33413  22324  34442  13224  21314
2002년  41342  13313  32324  41234  43224  21432  41223
2001년   22332  44142  21434  21434  11243  13213  13133
2000년   24133  21143  1322K  34243  43223  33442  13413
1999년    41343 21213 42434 12443 44422 41341 13343

키워드

  • 가격3,800
  • 페이지수61페이지
  • 등록일2010.01.22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772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