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론-의사소통이론_의사결정이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의사소통이론
1. 의사소통의 기능과 원칙
2. 의사소통의 종류
3. 의사소통 경로: 상징을 교환하는 방법(언어적 / 비언어적 경로)
4. 의사소통의 기법
5.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과 극복 방안
6. 조직 갈등: 의사소통 장애의 장기화⇒조직 갈등

의사(정책) 결정(형성)이론
1. 의사결정의 4가지 관점

본문내용

nality) 가정. 행정인. 최선의 결정은 절대적 의미의 최고가 아니라 만족스러운 상태↔만족의 기준 제시 미흡, 만족을 구성하는 변인 파악×, 정책결정자의 개인적 행위와 판단 강조→조직 차원의 거시적 정책 또는 의사결정 문제에서 설명력↓
(3) 점증 모형 혹은 점진적 모형(Incremental model): Lindblom. 합리 모형의 비현실성 극복 위함. 정책 결절 과정에서 선택되는 대안은 대체로 기존 정책의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는 것. 대안은 현재 상황의 점진적 개선을 도모한 것. 제한된 수의 대안만을 비교검토→첨예한 갈등 없이 안정적인 정책결정과 집행 유도, 정책에 대한 폭넓은 지지, 실현가능성↑↔새로운 목표의 적극적 추구 미비, 드러난 문제나 불만의 해소에만 관심(적극적인 선의 추구×, 소극적인 악의 제거○), 급격한 변화나 장기적 관점에 의거한 계획적인 변화 거부, ‘적당히 되는 대로 해 나가는’(muddling through) 보수적 정책 결정 모형
(4) 혼합 모형(Mixed-scanning model): Etzioni. 합리 모형(기본 방향 설정)+점증 모형(방향 설정 후 특정한 문제해결)의 장점 결합. 합리 모형은 전체주의 체제에, 점증 모형은 다원적 합의 지향적 민주주의 체제에, 혼합 모형은 사회체제에 적합하다는 체제-결정형태의 연결 시도↔새로운 모형이 아니고, 단순한 혼합에 불과, 이론적 가치↓
(5) 최적 모형(Optimal model): Dror. 점증 모형의 타성적, 현실 안주적인 성격 비판. 합리 모형과 점증모형의 절충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에서 혼합 모형과 유사하나, 양자의 단순 합계적 혼합이 아닌, 합리성과 초합리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최적치(Optimality) 추구하는 규범적 모형. “직관, 판단, 창의성 등과 같은 초합리적인 것이 때론 필요하다.”→비전형적 정책결정 모형(초합리성 전제). 최적치=‘모든 것이 고려된 것’ but, 합리 모형에서와 같은 ‘지고지선’ 그 자체는 ×, 단지 주어진 목표에 도움이 되는 가장 바람직한 상태 의미→합리 모형의 체계적 발전 유도, 비합리성으로 치부되어 왔던 요인들도 고려, 창의적혁신적 정책결정도 거시적으로 정당화 가능↔초합리성의 불명료성과 비현실성, 비합리적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는 것 외에는 합리 모형의 범위를 못 벗어나고 있다는 비판.
(6) 쓰레기통 모형(Gabage can model): Cohen, March, & Olsen. 조직화된 무질서 상태(Organized anarchy)에서의 정책 결정을 설명하는 이론. 우발성(≠합리성)에 기초. ①시간의 흐름, ②해결책의 흐름, ③선택기회의 흐름, ④참여자의 흐름 등 4가지 서로 다른 요소들이 우연히 쓰레기통 안에 들어와서 동시에 모여지게 될 때 결정이 이루어 짐. 정책의 문제 제기가 반드시 해결책보다 우선하는 것은 아님.→조직화된 무질서 상태는 오늘날의 조직에서 쉽게 발견 ∴설명력↑↔모든 조직의 결정 과정에 언제나 나타나는 현상이 아니어서 일부분의 조직이나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결정의 유형에만 적합하다는 한계.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2.11
  • 저작시기2009.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25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