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발달의 과정 및 삐아제의 인지발달 요점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인간발달의 과정 및 특징
1. 발달의 시작
1) 태내발달의 3단계(배란기, 배아기, 태아기)
(1) 배란기(수정부터 2주사이)
(2) 배아기(2주에서 8주사이)
(3) 태아기(8주~출생까지)
2) 태내환경
2. 영아기 및 아동기의 발달
1) 신체 및 운동발달
2) 반사능력
3) 감각, 지각 및 학습 능력

Ⅱ. 삐아제의 인지발달
1. 인지발달의 정의
2. 인지발달의 구성요소
1) 도식 2) 동화 3) 조절 4) 평형

Ⅲ. 단계별 감각운동기
1. 감각운동적 발달기(출생~2세)
2. 전조작적 사고기(2세~7세)
3. 구체적 조작기(7세~11세)
4. 형식적 조작기 (11세~성인기)

Ⅳ Piaget 이론에 대한 비판

Ⅴ. 맺음말

본문내용

것이다. 구체적 조작기의 어린이는 전환성이 있기 때문에 A,B,C,를 직접 하나하나 대조해 보지 않아도 이 법칙의 타당성을 이해한다.
이순형(1986)은 우리 나라 어린이의 친척 이름 서열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한국 어린이의 친척 이름 서열화가 일어나는 도약시기는 6-8세로서, 6세 어린이는 잘못 수행하는 경우가 많지만, 8세 어린이는 거의 대부분 잘 수행하였다. 즉 한국의 복잡한 친척 관계 서열화 인지능력은 구체적 조작기인 8세 경에 습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4. 형식적 조작기 (11세~성인기)
- 인지적 발달
형식적 조작기의 사고는 순전히 추상적이고 가설적인 범위에까지 확장된다. 추상적 추리를 할 수 있는데, 만약 A가 B보다는 작고, C보다는 클 때 누가 더 큰가에 관한 질문에 대해 마음속만으로도 배열할 수 있다. 또한 모든 가능성에대해 체계적으로 다루어 여러 가지 조합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로운 토양이 식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려고 할 때 식물의 상태, 물과 빛의 양 등의 변인을 통제하는 모습도 보인다. 즉 체계적인 사고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형식적 조작기의 대표적인 사고 방식은 조합적 사고와 연역적 사고이다.
① 조합적 사고
조합적 사고는 하나의 문제에 직면했을 때 모든 가능한 해결책을 논리적으로 궁리해 봄으로써 종국에 가서 문제 해결에 이르게 되는 사고를 말한다. 주어진 상황에 대하여 여러 가지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생성해 내는 이러한 예는 다음에서 찾을 수 있다. 무색 투명한 액체를 1, 2, 3, 4의 번호가 붙은 컵에 넣고 g라고 이름 붙여진 다른 컵에도 무색 액체를 넣어 이 액체들을 혼합하여 노란 색이 나오도록 하는 것인데, 전조작기의 수준에 있는 아동은 혼란상태를 만들어 액체를 아무렇게나 마구 뒤섞는다. 또한 구체적 조작기의 아동은 g를 1, 2, 3, 4에 각각 한 번씩 넣고 더 이상의 행동을 하지 않는다. 그렇지만 형식적 조작기의 아동들은 모든 가능성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다루어서 먼저 여러 가지 조합들을 시도해 보고 나서 중복되거나 빠지는 것이 없도록 확인하기 위하여 기록한다.
② 가설-연역적 사고
조합적 사고가 가능하면 연역적 사고도 가능해지는데, 귀납적 사고 이외에 일반적인 사실에서 출발하여 특정한 사실에 도달하는 연역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청소년들은 가설로부터 연역할 수 있으며 요소나 관계가 결합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생각해 내어 조합체계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여러 변인은 지속시키고 한 변인만을 관찰하는 능력도 갖추어 복잡하고 다양한 요소의 실험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변수를 고립 또는 통제시키는 수행도 한다.
③ 추상성의 발달
추상적 가능성을 고려하는 능력은 수학과 과학의 여러 부분에서 아주 중요하다. 어린 아동은 상징과 추상에 근거하여 추론하지 못하지만 상급학년에서는 가능하다. 가설적 상황, 가정, 전제 조건을 다루므로 예를 드는 문제나 의미, 비유, 상징을 묻는 물음을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현실에 없는 상징, 추상성에 관한 개념이 있으므로 놀라운 유토피아적인 이상에 도달할 수 있어서, 현존하는 사회와 다른 가상적인 사회를 상상한다. 자신의 미래와 그들이 속하게 될 사회의 본질에 관하여 사고하기 시작하는 것이다.
④ 청년기의 자기중심성
형식적 조작기의 청소년은 다른 사람이 자신과 다른 의견이나 신념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한다. 단지 자신의 아이디어에 초점을 맞출 뿐이다. 이 때의 청소년들은 자신의 사고에 무한한 힘을 부여하고 있으며 자신의 생각을 현실적으로 고려해 보지 않고 굉장한 미래를 그리거나 관념을 통한 세계의 변혁을 꿈꾼다. 이는 성인이 되기 이전까지 계속되며 성인이 되어야 비로소 최종적인 탈 중심화가 이루어진다.
Ⅳ Piaget 이론에 대한 비판
Piaget의 이론은 인지 발달에 관한 광범위한 시각을 제공해 왔으며, 아동의 사고와 문제 해결에 관한 연구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 왔다. 동시에 오랜 기간에 걸친 관찰을 통해 제시된 인지발달에 관한 단계 이론은 많은 학자들의 지지를 받아왔다. 다른 한편으로는 Piaget의이론에 대해 몇가지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Piaget설정한 최종적인 인지발달은 15, 16세경의 청소년기에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후 성인기에도 가능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새로운 단계를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또한 구체적 조작기에 가서 대부분 획득된다고 본 여러 가지의 보존개념도 Piaget가 생각한 것보다 훨씬 이른 시기에 형성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나아가 Piaget의 발단단계가 불변적인 순서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단계의 앞뒤로 이동할 수 있다는 견해도 제기되고 있다. 즉 인지발달이 다음 단계로 전진 발달만을 계속하는 것이 아니라 전단계로 후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한편 정보처리적 접근을 취하는 학자들은 Piaget의 단계 이론과는 달리 인지 발달은 뚜렷한 단계를 거쳐 이루어지는 과정이 아니라 계속적으로 진행되는 비단계적인 과정으로 설명한다. 이들은 인간으 인지 능력을 컴퓨터에 비유하며, 정보 혹은 지식, 그리고 이러한 정보를 기억하는 데 이용되는 방략들은 아동이 발달해 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게 된다고 보며, 이러한 지식과 방략들의 점진적인 증가 과정을 인지발달이라고 본다.
Ⅴ. 맺음말
Piaget는 아동발달을 연구하였으나 자신의 연구 결과가 어떤 교육적 의미를 갖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그러나 Piaget 이론을 계승 발전시켜 온 심리학자와 교육학자들은 Piaget이론에서 교육적 시사를 찾으려고 노력하였고, 실제 Piaget 이론은 오늘날 교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Piaget는 인간은 잠재 가능성을 기초로 환경에 능동적으로 적응하는 존재로 보았다. 전통적인 심리학에서는 어린이를 외부환경에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존재로 보았으나, Piaget는 이러한 관심에서 벗어나 어린이는 자극을 적극적으로 추구하고 세계를 자기 나름대로 해석하여 문제를 인지적으로 해결하는 힘의 생성자로 보았다. 따라서 교육은 어린이의 잠재 가능성을 기초로 자발성에 따라 탐구와 발견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3.19
  • 저작시기200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21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