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사상사> 묵가에 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기 전에
  1-1. 제자의 발생과 발전

2. 묵자
  2-1. 묵자 집단
  2-2. 겸애와 교리

3. 묵자 사상의 배경

본문내용

자>>의 <겸애>는 말할 것도 없고 <절용(節用>, <절장(節葬)>, <비악(非樂)>, <비명(非命)> 같은 편들도 그의 유학에 대한 반발을 보여주는 내용들이다. 따라서 지금 우리에게 묵자의 학문을 전해주는 <<묵자>>라는 책 전체가 유가에 대응하는 성격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을 정도이다.
넷째, 그의 상고(尙古)주의는 요, 순과 특히 우를 숭앙하여 근검 사상을 발전시켰지만, 더욱 중요한 것은 그가 이전의 하늘에 대한 신앙을 발전시켜 <천지(天志)>, <명귀(明鬼)>편에서 보여주는 종교적인 사상체계와 교단을 이룩하였다는 것이다. 묵가는 종교적인 신앙을 바탕으로 뭉쳐졌기 때문에 고난을 극복하고 어려운 일을 실천할 수가 있었다.
다섯째, 묵자는 그의 시대에 진행되었던 겸병전쟁을 통하여 수많은 젊은이들이 죽어가는 전쟁의 비정함과 백성들이 겪는 고난을 직접 체험하고 눈으로 보았기 때문에, 더욱 ‘겸애’ 를 내세우고 ‘비공’을 주장하며 이를 실천에 옮기기에 전력을 쏟았다.
여섯째, 묵자가 귀의(貴義)를 내새우고 ‘상동(常同), 상현(常賢)’을 통하여 새로운 정치 질서를 세우려 노력한 이유는 무엇일까. 먼저 제후는 천자를 무시하고 자기보다 약하거나 작은 나라는 기회가 있는 대로 겸병하였고, 또 대부들은 서로 싸우며 제후까지도 무너뜨렸으며, 사(士)는 또 그들대로 출세를 위하여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는 어지러운 세태와 고약한 인심이 작용했다고 본다.
일곱째, 그 시대에는 귀족들의 사치와 부자들의 호화로운 생활이 너무나 서민들의 비참한 생활과 대조를 이루고 있었다. 제(薺)나라만 보더라도 수도 임치는 많은 부자들이 모여 살면서 음악과 놀이 등의 화려한 생활을 하였고 경공(景公 - B.C 547~490 재위) 같은 이는 백성의 생활에는 안중에도 없이 음악이나 여색놀이만을 즐기며 극도로 사치스런 생활을 하였다. 묵자의 ‘비악, 절용’ 등의 이론은 여기에서도 큰 자극을 받았을 것이다.
여덟째, 서주의 봉건제도에 있어서 사회계급은 타고나는 것이었다. 원칙적으로는 천자, 제추, 대부들의 맏아들은 영원히 천자, 제후, 대부의 지위와 가산을 계승하고, 그 나머지 형제들은 계속 지위가 떨어지도록 되어 있었다. 따라서 사람들의 신분이나 귀천은 나면서부터 운명으로 정해져 있었다. 이런 모순을 타파해야겠다는 동기가 묵자로 하여금 ‘비명(非命)’ 이론을 내세우게 된 가장 큰 이유였던 듯하다.
아홉째, 그의 시대에는 유가와 함께 도가도 상당한 세력을 차지하고 있었을 것이다. 그가 실천을 중시한 것은 도가의 ‘무위자연’의 이론에 대한 반발도 작용했을 것이고, 정치에 있어서 ‘상동, 상현’을 바탕으로 한 ‘유위(有爲)의 다스림’ 을 주장한 것도 도가의 ‘무위이치’ 에 대한 반발이 적잖은 작용을 하였을 것이다.
이밖에도 묵자의 독특한 사상을 이룩하게 한 시대적, 사회적 배경은 여러 가지로 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묵자, 그 생애·사상과 묵가(墨家)(김학주-명문당), 중국의 종교와 사상 (김교빈, 이효걸, 홍원식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0.04.02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