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농업구조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북한농업의 개요
2. 북한농업 정책의 특징
3.토지개혁과 집단농장
4.북한농업의 문제점
5.90년대 이후 정책변화

본문내용

농기구 및 노동력을 고정 배치하여 분배를 그 토지생산성과 연결시켜 실시한다는 것이었다. 이는 일정단위의 토지에 분조로 구성된 노동력을 고정 배치하여 농업에 대한 농민의 책임의식을 제고시켜 토지의 효율적인 이용과 농민의 생산성을 높여 농산물의 생산증대를 이룩하자는 데 주요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 당시 분조관리제의 주요 역할은 실질적으로 농민의 집단생활을 강화하여 통제하는 데 있었다. 생산의 기층단위와 생활의 기층단위를 일치시켜 정치사상 사업과 경제활동을 결합하고 나아가 농민을 공산주의 사상으로 무장시켜 혁명화, 계급화 과정을 촉진시키는 것이 주요 목적이었다.
분조관리제가 이렇게 본래의 취지와 달리 사회주의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됨에 따라 분조관리제는 토지의 효율적 활용이나 농민의 생산성 향상과 무관한 제도로 바뀌어 갔으며, 곧 북한의 구조적인 농업 침체를 가져오는 중요한 원인 중의 하나로 작용하게 되었다. 최근 북한이 겪고 있는 식량난은 연속된 자연재해 뿐 만 아니라 이러한 협동농장관리운영에 있어서 분조관리제가 지닌 구조적인 모순에도 상당히 기인한다. 따라서 북한 당국은 심각한 식량난을 극복하기 위한 조치 중의 하나로 1995년부터 기존 분조관리제를 수정하였다. 분조의 단위를 20여명에서 7∼8명으로 축소하여 가족단위의 영농도 가능케 하고 초과생산분을 해당 분조가 자체적으로 분배하거나 판매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개선내용은 농업생산물의 초과 생산분에 대한 분배 및 판매의 권한을 분조단위에 귀속시켜 농민의 물질적인 욕구를 자극함으로써 농업생산력 증대를 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조관리제의 개선 조치는 농민들이 개인 텃밭이나 부업 밭에서의 경작에 더 역점을 두는 경향이 있는 데다 할당되는 목표생산량이 높아 농민들의 생산의욕을 자극할 수 없기 때문에 그렇게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계속되는 흉작과 관련 당국이 초과생산량마저 수매하고 있어 분조관리제의 개선 조치는 그 의의마저 상실되고 있다.(표10참고)
분조는 어떤 형태로 이루어져 있을까?
협동농장에서의 생산조직 기본단위는 작업반이다. 협동농장의 작업반은 일정한 경지, 노동력 및 작업도구를 가지고 부과된 연간 생산과제를 수행한다. 작업반은 몇 개의 분조로 다시 나뉘어지고 있으며 분조 단위로 작업을 한다.
작업반은 협동농장의 생산규모와 자연부락, 지형적 조건에 따라 농산작업반, 축산작업반 및 농기구수리반 등으로 조직된다. 기타 생산부문은 소규모의 경우는 작업반내의 분조로 소속시키고 규모가 큰 경우는 전문작업반을 조직하기도 한다
<표10.개선된 분조관리제의 주요 변화 내용>
분조관리제
개선된 분조관리제
비고
분조규모
연령층을 배합하여 10-25명으로 구성
가족, 친지단위(2-4가구), 7-10명 혹은 5-8명으로 구성
규모 축소
생산목표
(과거 3년간의 생산량+3년 중 최고생산량)/4
(과거 3년간 생산량+'93년 이전 10년간 평균생산량)/4
하향조정
잉여농산물
처분
초과 생산물은 국가수매
초과생산물은 현물로 농민에게 지급되고, 농민시장에 자유처분 허용
상품생산의 인정
자료 : 「한겨레신문」, 1997. 8. 4에서 작성 ; 김수대,
♣참고문헌♣
북한체제 변화론/권오윤/서울다다미디어/1998
북한 지방자치 변화에 관한 연구 행정구역을 중심으로/최용태/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1993
북한의 체제와 이념/통일원 교육 홍보국편/서울 통일원/1995
북한체제의 현주소/통일 연구원/ 통일연구원/2002
북한의 변화능력과 방향 속도와 동태/박형중/통일 연구원/2001
90년대 북한체제의 위기와 변화/박형중/민족통일연구원/1998
KIEP세계경제/대외경제정책연구원/2002.9월호
북한의 농업정책에 관한 연구/고태순/연세대학교/1997
북한의 농업생산기반에 관한 연구/노건길/통일연구원/2001
북한의 농,임업/김운근/공보처/1997
북한의 식량난 해결할 수 있다./오경찬/대왕사/1997
북한의 농업개발 전략과 발전방향/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0
북한의 농업/김지영/비봉출판사/1997
북한의 농업 개황/김영훈,김윤근,고재모/한국농촌경제 연구원/1994
북한집단 농장의 분배제도에 관한 연구/김병훈 외저/한국농촌경제연구원/2001
북한 농업과 사회주의 국가의 농업개혁/김영훈, 김지용/한국농촌경제연구원/1992
♠Internet Site
통일부 북한 자료센터 http://unibook.unikorea.go.kr/
국가정보원 북한정보 http://www.nis.go.kr/main_frame.jsp?menu_id=M03000000
남북회담 사료 http://dialogue.unikorea.go.kr/uw/dispatcher/exp_index.html
국제농업 기술 협력 센터 http://www2.rda.go.kr/itcc/Korean/default.htm
원광대 통일 문제 연구소 http://gaebyok.wonkwang.ac.kr/~tongil21/
동국대 북한학과 http://www.dongguk.edu/sogea/sogea_main/daehak_05/nor_frameset.htm
통계청 http://www.nso.go.kr/
연합뉴스(소유제도의변화)http://www.yonhapnews.co.kr/news/20001125/4801000000200011251132539.html
한겨레신문http://find.hani.co.kr/SRT/tsearch.php?flag_andor=1&nation=1&mode=total&keyword=%BA%CF%C7%D1
NK조선일보(행정구역지도) nkchosun.com/map/map.html?ACT=geo_02
북한의 이해 eop.hihome.com/frame2/info01.html
소년조선일보 chosun.com/site/data/html_dir/2002/05/27/20020527000024.html
통일문담 http://uniedu.go.kr/dataroom/book_n/uniqa02_1_8.html
중앙일보(농업관리) http://nk.joins.com/article.asp?key=2000122122414511001130

키워드

북한,   농업,   구조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0.05.24
  • 저작시기200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39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