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신생아 간호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위험 신생아 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신생아 용혈성 질환

2. 호흡부전 증후군

3. 신생아 경련

4. 미숙아

5. 패혈증 Sepsis

본문내용

것은 환아를 동요시키고 대사와 에너지 소모를 증진시킨다. 이는 산소요구를 증가시키고 가스교환을 조장한다. 복위나 측위가 산소화를 증가시킨다. 심폐기능의 빈번한 사정은 초기의 호흡계 합병증뿐 아니라 처치에 대한 반응 변화를 알려준다. 호흡음 사정, 흡인, 물리요법 등을 통해 기도의 개방상태ㅔ 주의를 한다. 미숙아의 대부분은 산소공급이 필요하며 많은 경우 기계적 호흡의 도움이 필요하다. 미숙아에서 과도하거나 과소의 산소공급은 위험하므로 혈중 산소치의 지속적 측정(ABGA-직접 확인, 경피적 산소측정법, 산소포화측정법-간접 확인)이 매우 중요한 간호이다.
⑨ 대사 요구 충족을 위한 충분한 영양섭취 증진
: 대사요구의 충족은 영양관리의 생화학적 측면과 영양소 자체 전달의 실제적 측면을 포함한다. 미숙아의 성장사정은 자궁 내 OR자궁 H이 기준이나 이 두 가지 기준을 연합해서 수행할 수 있다. 미숙아는 체중, 키, 두위를 자주 측정하여야 한다. 미숙아는 체중감소가 만삭아보다 심하며(10~15%) 화복도 늦다. 미숙아의 영양소는 장관법과 정맥법으로 공급될 수 있다. 미숙함이나 질환으로 빨거나 삼키는 능력에 장애가 있는 아기를 위해서는 위관 영양법을 선택한다. 주로 사용되는 3가지 방법으로는 간헐적 위관영양(intermittent gastric gavage feeding), 지속적 위관영향(continuous gastric feeding), 지속적 공장영양(continuous traspyloric feeding)이 있다. 구강이나 비강튜브를 선택방법에 따라 위나 원위 십이지장, 공장까지 삽입하고 모유나 조제유를 시간 간격을 두고(1-4시간) 또는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장관영양에 대한 적절성 평가는 구토와 역류의 양과 빈도, 복부팽만, 대변 양상의 기록을 통해 이루어진다. 간헐적 영양 시는 위안에 남아있는 위 내용물을 주사기로 흡인해 봄으로써 잔류량을 측정한다. 많은 양의 잔류는 1화 포유량을 줄이거나 또는 포유 간격을 연장시킬 것을 의미한다. 포유를 거절하는 경우는 패혈증이나 다른 질병 과정에 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아야 하며 비록 간헐적 위관영양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만, 단장증후군, 심한 위식도 역류, 위가 비워지는 시간이 길 경우에는 지속적 영양법이 필요하다.
미숙아나 정상아가 장관으로 충분한 영양공급이 안될 때, 즉 선천성 위장관 기형, 괴사성 장염, 심한 호흡곤란 증후군 등에서는 정맥을 통한 영양공급이 필요하다. 총정맥영양(total parenteral nutrition, TPN)은 중심정맥이나 말초정맥을 통해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다. TPN을 통해 완전한 영양소의 요구량이 충족되는데 이때 1차 에너지원이 되는 dextrose와 단백질은 아미노산 형태로, 지방은 액성 유제의 형태로 공급되고 비타민과 전해질, 무기질이 첨가된다. 비경구영양의 합병증은 패혈증과 같은 위관삽입과 관련된 합병증과 주입액의 대사와 관련된 합병증이 있다. 안전하고 효과적인 위관영양을 위하여 튜브삽입과 제거 기술, 아기의 적절한 체위, 적절한 점적속도 유지, 포유 동안과 후의 부적응이나 불편감의 징후를 조심스럽게 관찰해야 한다. TPN 시행동안 간호사는 무균법을 적용하며 세심하게 다루고, 수액 줄이 꼬이지 않도록 아기에게 억제법을 적용해야 한다. 위관영양을 실시하는 동안 영아에게 노리개 젖꼭지를 빨게 하면, 소화도 도와주고 빠는 욕구도 충족시켜 줄 수 있으며, 이때 간호사는 영아의 흡철 능력을 사정할 수 있다. 만일 영아가 강하고 활발하게 빨고, 빨기와 삼키기, 숨쉬기의 조정력이 있으며 위관이나 손, 노리개 젖꼭지를 빨고 구역반사가 있으며 위관이나 손, 노리개 젖꼭지를 빨고 구역반사가 있으며 수오 전에는 깨어있고 후에는 잠이 드는 등의 행동이 보이면 젖병수유나 모유수유를 천천히 소개해 볼만 하다.
아기가 빨기, 삼키기, 숨쉬기 등의 조정력 발달은 임신 32-34주경에 생기므로 이때 모유수유를 시작할 수 있다. 모유수유가 젖병수유보다 적응하기 쉬우므로 미숙아는 모유수유 시도 전에 젖병 수유 시도가 필요치 않다는 제안도 있다. 가능하면 33주 이전의 미숙아와 그이 어머니에게 모유수유를 시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좋다.
또한 미숙아는 자기 어머니로부터 얻는 모유가 적당하다. 잘 자라고 있는 극소저체중출생아에게서 비타민E는 산화방지제의 역할을 하는데, 이것이 결핍되면 적혈구가 쉽게 파괴되어 용혈성 빈혈을 일으킬 수 있다. 그러므로 어느 정도 수유가 가능해지면 비타민E를 첨가해 줄 수 있다.
5. 패혈증 Sepsis
① 해부/생리/병리
면역력이 약한 신생아에게 감염되어 혈액에서 세균이나 진균이 발견되는 질환이다. 대장균과 연쇄상구균 또는 포도상구균이 대표적인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플루엔자와 장내 세균도 원인균 중의 하나이다. 임신 또는 분만 중에 모체가 감염되거나 양수가 미리 새어나온 경우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특히 미숙아의 경우에는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복잡한 치료를 받으면서 감염될 위험성이 매우 크다.
② 진단
이 질환은 대부분 완치되는 경우가 많지만 치료를 늦게 시작하거나 감염균이 치료하기 어려운 종류일 경우, 균에 대한 면역력이 약할 경우에는 사망하거나 후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일단 패혈증이 의심되면 혈액배양검사를 통하여 세균이나 진균이 있는지를 검사하며, 소변배양검사와 뇌척수액 검사를 반드시 시행하여야 한다.
③ 치료
치료법은 항생제나 항진균제를 투여하여 세균이나 진균을 제거한다. 항생제를 통한 치료기간은 균의 종류, 뇌막염의 합병 유무에 따라서 결정되는데 보통 1~3주 정도 걸린다. 항생제 투여 이외에 수분과 전해질의 교정, 호흡기 사용, 신선한 피의 수혈, 백혈구 수혈, 교환 수혈, 범발성 응고장애의 치료, 혈압 유지를 위한 약물 사용 등의 보조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그밖에 합병증에 대한 치료를 위하여 항경련제 투여 등을 병행해야 한다.
4. 간호
ampicillin: 12g/d, q 4h
cefotaxine: 12g/d, q 4h
cefriaxone: 4g/d, q 12h
적절한 용량을 적절한 시간에 맞추어 투약하고 투약에 따른 부작용 발현 여부를 관찰한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06.04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169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