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보원과 형성과정,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선행연구,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학업과 인간행동에 대한 영향,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효과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보원과 형성과정,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선행연구,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학업과 인간행동에 대한 영향,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효과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의

Ⅲ.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정보원

Ⅳ.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형성과정

Ⅴ.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선행연구

Ⅵ.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학업에 대한 영향
1. 학습에 투자되는 노력의 양
2. 인내심
3. 학습전략의 사용
4. 자기통제적 학습
5. 학업성취도

Ⅶ.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인간행동에 대한 영향

Ⅷ.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효과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81 ; Brown & Inouye, 1978).
셋째, 자아효능감은 현재의 행동에 뿐만 아니라 미래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이 높을수록 후속 행동을 수행하는 데에 보다 높은 기준을 정하고 적극적으로 행하게 된다. 또한 자아효능감은 인간의 사고유형과 정서에도 영향을 준다. 즉 자신감이 없는 사람일수록 무력감에 쉽게 빠지고 불안과 공포도 더 많이 느낀다는 것이다. (Beck, 1976 ; Miller, 1979 ; Sarason, 1976 ; Bandura, Adams, Hardy & Howells, 1980).
이상의 사항들을 볼 때, 자아효능감은 인간의 행동을 결정해주는 주요한 변인들과 행동을 연관시켜주는 인지적 매개의 역할을 하며, 인간의 행동은 물론 사고유형과 정서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Ⅷ. 자기효능감(자아효능감)의 효과
자아효능감은 학습자에게 행동, 사고, 유형, 정서에 여러 가지 영향을 미친다.
자아효능감은 행동과 환경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 어떤 상황에 직면하였을 때 사람은 자신이 그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고 여길 때는 그 상황를 회피하나, 자신이 그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라고 여길 때는 자신을 갖고 대처 행동을 수행한다.
자아효능감은 행동에 투여되는 노력의 양과 장애나 혐오 경험을 무릅쓰고 행동이 지속되는 정도를 결정한다. 효능감이 강하면 강할수록, 노력의 양과 지속성은 증가한다. 어려움에 직면하였을 때 자신의 능력에 대하여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은 노력을 줄이거나 완전히 포기하지만, 강한 효능감을 지닌 사람들은 더 많은 노력을 투여한다.
자아효능감은 현재의 진행중인 행동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미래의 행동에도 영향을 미친다. 자신의 행동 조절 능력에 회의를 갖는 사람은 높은 효능감을 보이는 사람보다 후의 행동이 쉽게 소거되거나, 재발된다. 금연에 대하여 강한 자아효능감을 나타낸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 보다 후에 금연 행동을 더욱 지속시켰다. 즉, 자아효능감이 미래의 행동을 예언하여 주는 정도는 과거의 수행이 예언하여 주는 정도보다 높다.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은 환경과의 기대적, 실제적 상호작용을 통하여 사고 유형과 정서에 영향을 미친다. 환경을 대처하는데 있어 자신을 무능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높은 정서적 흥분을 산출하고, 매우 심한 무능력감에 젖어들며, 문제나 상황을 실제보다 더욱 어렵게 인식하게 된다.
많은 정서적 흥분은 인지적 작용에 의해 유발되며 고통을 수반할 가능성이 있는 상황을 대처하는데 공포를 느끼는 것은 대부분 인식된 무력감 때문이다. 즉, 불안한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낮은 효능감 때문이다. 혐오적 자극을 미리 예방하거나 근접하거나, 약하게 할 수 있으면 인간은 두려움을 갖지 않는다. 정서적 흥분을 감소시키는 것은 실제 통제보다 대처 능력에 대한 자기인식이다.
Ⅸ. 결론
자기효능감은 한 개인이 어떤 행동을 수행할 수 없다고 생각하거나 싫어하는지를 설명하기도 한다. Bandura(1984)가 지적했듯이 어떤 능력의 소유와 사용은 다른 것이고, 자신이 가진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자기효능감이다(Bouffard-Bouchard, 1989). 자기효능감은 수행과 정적으로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Latham & Locke, 1991) 비슷한 능력을 가진 사람이 수행을 잘 하기도 하고 뒤쳐지기도 하는 것이다.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좋은 수행을 보인다는 것은 많은 실험을 통해 입증된 바 있다. 자기효능감은 수행에 있어서 중개변인으로 영향을 미치는데, 즉, 자기효능감이 높은 개인은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성취하기 위해 주의와 행동을 잘 방향 지을 것이고, 자기효능감이 낮은 개인에 비해 더 많은 노력을 투입할 것이며, 어려움이 닥쳤을 때에도 과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려 할 것이다(Latham & Locke, 1991). 자기효능감은 시도하고자 하는 행동의 선택을 결정할 뿐만 아니라 노력의 양과 지속, 인내, 사고패턴, 각성, 궁극적인 행동 등에 영향을 준다(Bandura, 1977a).
참고문헌
김의철·박영신·양계민 공역,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 : 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서울 : 교육과학사, 1999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이론과 현장연구, 학지사, 2007
김성옥, 자기 효능감이론, 스포츠 심리학, 한국 스포츠 심리학회, 1994
Albert Bandura,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의 자기효능감, 학지사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0.10.13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3496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