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생제의 작용기전과 종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항생제의 정의
1. 항생제란?
2. 세균의 구조와 기능

Ⅱ. 항생제의 작용기전
1. 항생제의 작용
2. 항생제의 작용기전
① 세포벽 합성억제
② 단백질 합성억제작용
③ 세포막 변성작용
④ 핵산합성 저해
⑤ 대사물질 유사 저해제
⑥ 그 밖의 작용기전
3. 항생제의 작용기전과 분류

Ⅲ. 항생제의 종류
1. Monobactam계열 항생제
2. Penicillin계열 항생제
3. Carbapenem계열 항생제
4. Cephalosporin계열 항생제
5. Aminoglycoside계열 항생제
6. Quinolone계열 항생제
7. Tetracyclines계열 항생제
8. Glycopeptide계열 항생제 ( Polypeptide계 )
9. 기타 항생제

Ⅳ. 이상적인 항생제의 특성

Ⅴ. 적절한 항생제의 선택

Ⅵ. 항생제 병용투여의 목적

Ⅶ. 항생제 내성균 등장
1. 내성균의 등장과 그 실태
2.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요인
3. 병원 감염에 있어서 주요 항생제 내성균 (MRSA, VRE)

Ⅷ. 참고문헌 및 사이트

본문내용

라는 항생제 투여율이 높아 내성률이 세계 최고수준이다. 폐렴구균에 대한 페니실린내성률은 84%수준으로 일본(4%), 미국·영국·프랑스(12%)에 비해 엄청나게 높은 수치
이다. 임질균에 대한 페니실린 내성률은 91%에 이를 정도이며, 내성률이 100%에 이르면
치료가 불가능해진다.
내성이란 세균이 항생제에 대해 저항력을 갖는 것을 말한다.
세균이 내성을 갖는것은 일차적으로는 자연적인 돌연변이체에서 시작된다. 일부 돌연변이
세균은 항생제를 극복하는 형질을 지니고 있고, 이 내성균들은 내성 유전자를 다른 세균들
에게 전달시켜 주어 내성균은 더욱 확대되어 간다. 이처럼 내성균이 늘어가는 것에는 무엇보다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이 큰 역할을 하였다. 항생제 자체가 세균에 내성 돌연변이를
유도하기도 했으며, 항생제를 필요이상으로 많이 사용하다 보니 내성균들이 주로 살아남아
정작 필요할 때 항생제가 힘을 쓰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제는 슈퍼박테리아가 등장
해 이것 또한 문제가 되고 있다.
세브란스병원의 88년 조사에서 폐렴구균의 페니실린 내성비율은 29%였지만 93년 조사에선
77%로 5년사이 3배나 늘었다. 이런 추세로 볼때 MRSA 뿐 아니라 VRE 역시 급속히 확산
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전문가들의 얘기다. 특히 우리나라에선 황색포도상구균 감염환자의
대부분을 반코마이신으로 치료해 왔기 때문에 그 속도가 더 빠를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다.
2. 항생제 내성균의 증가요인
① 항생제의 남용(overuse of antibiotics)
② 면역저하 환자들의 증가
③ 일반인들의 자유로운 항생제 구입
3. 병원 감염에 있어서 주요 항생제 내성균
① MRSA(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원인균 : 폐렴, 창상감염, 패혈증, 카테터 관련 감염증
-주요위험요인 : ICU, open wound, 만성질환자 병동
-관리 : 손씻기, cohort patient 또는 cohort staffs
-전파양식 : 직접 접촉body surface to body surface
간접 접촉오염된 기구, 장갑, 드레싱을 통해 전파
도말 감염suction 중
-Methicillin 뿐 아니라 β-lactam, aminoglycoside, quinolone 항생제들에 모두 내성을
나타낸다는 의미, 오직 glycopeptide 항생제(vancomycin, teicoplanin)만이 효과적인
항생제임.
1961년 반코마이신이 개발되어 MRSA 치료에 30년 이상 효과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다른 항생제와 달리 내성이 쉽게 발현되지 않는 것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반코마이신의 과도한 사용으로 1980년대 들어 임상분리 coagulase-negative
staphylococcus(CNS) 균주에서 반코마이신에 대한 저도 내성이 발견되었고, 1986년
유럽에서 VRE가 처음 발견되었다.
이후 1990년대에 들어서는 심각한 병원감염의 원인균으로 대두되고 있다.
② VRE(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원인균인 enterococci는 장내 상재균으로 병독성은 낮으나, 임상적으로 요로감염증,
창상감염증, 균혈증을 초래함.
-Vancomycin 내성을 staphylococcus aureus로 전달가능
VRSA(Vancomycin-resistantstaphylococcus aureus)의 출현 치료 항생제 없음.
-역학 : 1980년대 후반부터 유럽, 미국에서 출현하여 현재는 중요한 병원성 감염균임.
-감염경로 : VRE 감염이 있었던 환자들의 변 검체의 96%에서 VRE가 확인된 바와 같이
위장관에 군집되어 있던 균주의 내인성 감염 또는 다른 환자나 병원직원등 병원환경
으로부터의 전파가 주요 경로이다. 문헌에 의하면 환경 오염율이 7-30% 정도되고
VRE가 손이나 장갑에 60분 이상, 물건에는 5-7일까지도 생존하였다는 보고가 있다.
-위험인자 : VRE의 위장관 군집 및 감염의 위험인자로는 3세대 세팔로스포린과 같은
광범위 항생제의 사용, 악성종양등의 중증 기저질환이 있거나 장기입원이 필요한 경우,
C-line, urinary catheter 등의 침습적 조작 및 반코마이신의 사용(경구>정맥투여)등.
-치료 : 일반적으로 colonization의 경우에는 치료적 항생제 투여의 적응이 되지 않으며
임상적으로 유의한 pathogen에 대해 항균제를 투여한다. 이때 사용되는 치료제로는
기존의 항생제 중 일부 penicillin, ampicilliin 또는 aminoglycoside에 감수성을 보일
경우 사용할 수 있으며, 최근 새롭게 개발된 dalfopristin(Synercid)나 linezolid 등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약제들에 대한 내성보고들도 점차 증가
하고 있어 이들 약제의 투여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 그밖에 미국 하버드 의대 로버트
몰러링 박사는 심포지움에서 새로운 항생제 ‘자이복스(미 파마시아社)’를 소개하며
슈퍼박테리아로 불리는 MRSA 와 VRE에도 효과적임을 입증했다. 자이복스는 지난해
4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았으며 국내에서도 지난해 12월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판매승인을 받았다.
Ⅷ. 참고문헌 및 사이트
스튜어트 B.레비,The Antibiotic Paradox(Plenum,1992). 남두현 옮김, 항생물질이야기
(서울:전파과학사, 1995)
http://bric.postech.ac.kr
http://khmc.or.kr
http://my.dreamwiz.com
http://www.hankooki.co.kr/sed_news/200110/e200110301814363G510.htm
http://www.buddhapia.co.kr/mem/hyundae/auto/newspaper/229/w-6.htm
http://www.edunet4u.net/~youth/yt/yt12064.htm
http://100.empas.com/entry.html/?i=748790&Ad=sungshi
http://pharm.hallym.ac.kr/lecture/Antibiotics.basic.ptt

키워드

의학,   항생제,   작용기전,   병원,   간호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0.11.30
  • 저작시기2010.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407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