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문학][북한의 문학][민족문학론][시문학][소설 청춘송가]북한문학의 특성, 북한문학의 원리, 북한문학의 역할, 북한문학의 동향, 북한문학과 민족문학론, 북한문학과 시문학, 북한문학과 소설 청춘송가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문학][북한의 문학][민족문학론][시문학][소설 청춘송가]북한문학의 특성, 북한문학의 원리, 북한문학의 역할, 북한문학의 동향, 북한문학과 민족문학론, 북한문학과 시문학, 북한문학과 소설 청춘송가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북한문학의 특성

Ⅱ. 북한문학의 원리
1. 마르크스․레닌주의 미학을 모델로 하여 접근하는 방법
2. 한국인의 입장에서 접근하는 방법

Ⅲ. 북한문학의 역할

Ⅳ. 북한문학의 동향

Ⅴ. 북한문학과 민족문학론

Ⅵ. 북한문학과 시문학

Ⅶ. 북한문학과 소설 청춘송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시작은 김일성에서부터 비롯되는 것이지만, 1980년대에 들어와서 김정일에 대한 송가시가 김일성과 대등한 편수를 보이다가 1990년대에 이르러서는 양적 질적 팽창을 보인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정서촌의 「조선의 영광」, 전병구의 「정일봉의 해맞이」, 백하의 「하늘에 새긴 글발」, 구희철의 「귀틀집 생가에서」, 한찬보의 「김일성 장군 만세」, 강명학의 「수령님은 우리의 김일성 동지」, 최창남의 「태양만이 보이는 언덕」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기 북한문학에서 조국 통일에 관한 시로는 백인준의 「조국에 대한 생각」, 동기춘의 「인생과 조국」, 김홍권의 「땅을 씻지 말아라」, 김형준의 「통일 렬원」, 강기수의 「봄비」, 주광남의 「강화도를 바라보며」등을 들 수 있다.
북한문학의 현실주제문학은 근본적으로 그 내부의 상투성과 도식성에 대한 반성의 결과이며, 외형적으로는 동구권 사회주의의 몰락에 따른 위기의식을 창작 현실 에 반영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이 문학적 경향이 확산되면서 진실한 생활 감정은 물론 자연이나 연애를 주제로 한 서정적인 시들도 조금씩 확대되어 가게 된다. 결국 이 시기의 북한문학은 인민 대중의 관심과 흥미 유발이라는 목표를 하나의 주요 한 항목으로 상정하고 있는 셈이다.
북한 시의 양식은 그 내용을 담는 그릇으로서의 특성상 서사시, 장시, 풍자시, 우화시, 산문시, 담시, 벽시 등의 등장을 볼 수 있다. 이 가운데 특히 서사시는 1947년 조기천의 「백두산」에서 출발하여 1992년 오영재의「인민의 아들」등에 이르기까지 조국해방 투쟁, 항일혁명 정신, 사회주의 건설을 위한 영웅 또는 \'숨은 영웅\'의 형상화 등이 북한 시의 중심을 이루어 왔다. 또한 서정시의 경우 \'감정과 사상의 지향을 결합시킨 형상적 사유의 산물\'로 규정되고 있으며, 당의 정책 노선과 정치적 전략에 의거한 도구로서 시가 존재한다는 것을 잘 알 수 있게 한다.
Ⅶ. 북한문학과 소설 청춘송가
『청춘송가』는 1960년 2월 김일성이 평안남도 강서군 청산리를 현지 지도하는 과정에서 창조한 청산리 정신, 청산리 방법을 실천한 작품이다. 이진호는 대학부터 연구하던 새 연료안을 위해 온갖 난관을 통해 새 연료안의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친다는 내용으로 여기서 개인의 명예보다 인텔리의 사회적 책무와 역할을 다하는 새 시대 청년 인텔리로 당과 수령에 대한 높은 충성심과 조국과 인민에 대한 끝없는 헌선성을 지닌 ‘숨은 영웅’을 일상생활에서 발굴한다. 숨은 영웅론은 인민들의 구체적 생활을 풍부히 담아내어 인민들의 사고를 새 시대에 맞게 변화시키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그러나 ‘숨은 영웅’은 그냥 보통사람이 아니라 인민들을 위해 분투하는 말 그대로 숨은 영웅이다. 그렇기 때문에 ‘숨은 영웅’은 역경에 굴복하지 않고 극복하는 긍정적인 인물이다. 그런 의미에서 『청춘송가』의 주인공, 이진호는 80년대 노동계급화한 인텔리의 전형으로서 ‘숨은 영웅’이다.
북한 소설에 있어서 『청춘송가』의 소설사적 의의는 그 동안 북한 소설사에서 부수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던 사랑의 문제를 작품의 전면에 내세웠다는 데 있다. 이는 사랑이 개인적 차원의 실존적 문제임을 생각해 볼 때, 사랑의 문제까지 혁명의 차원 아래 묶어 두려는 북한 사회에서 개인주의가 등장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징후라고 할 수 있다. 이 작품에서 사랑의 문제가 독립된 소재로 부각되고 있다. 전통적인 작품이라면 ‘7장’ 이전에 끝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7장’ 이후는 순전히 사랑을 위한 담론이다. 물론 이때에도 사랑은 수령의 혁명 사상을 인민들의 수준에서 제고하는 수단에 불과하다. 북한 사회에서 사랑은 다른 것과 같이 공식적으로 사상 정신적 근거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그러나 사랑은 사회의 생산력을 높이기 위한 혁명의 수단으로 사용된다 해도 개인의 차원에 높인다. 사랑을 작품의 중심 소재로 다루고 있는 『청춘송가』는 주체의 집단화로 인해 개인 주체가 소멸된 것으로 인식되었던 북한 사회 내부에서 개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1987년에 출판된 이 작품이 1994년 재판 4만부가 발행될 만큼 북한에서 최고 인기 소설로 자리 잡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김종회 편, 북한문학의 이해 1, 2, 3, 청동거울, 1999, 2002, 2004
김중하, 북한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학자료원, 2005
권영민, 북한의 문학, 을유문화사, 1989
박태상, 북한문학의 사적 탐구, 깊은샘, 2006
신형기·오성호, 북한문학사, 평민사,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3.10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551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