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주의학습이론의 사회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정보처리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통찰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기호형태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신경망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사회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정보처리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통찰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기호형태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신경망학습이론,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사회학습이론
1. 이론의 기초
1) 개념
2) 관찰학습의 단계
2. 관찰학습 효과와 유형
1) 효과
2) 유형

Ⅲ.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정보처리이론
1. 특성
1) 감각 등록 단계
2) 단기․작동 기억
3) 장기기억
2. 학습과정
1) 자극에의 주의
2) 자극의 부호화
3) 저장과 인출

Ⅳ. 인지주의학습이론의 통찰이론

Ⅴ. 인지주의학습이론의 기호형태학습이론
1. 인지적 측면, 거시적 행동을 강조
2. 미로
3. latent learning - 수행으로 전환되지 않은 학습
1) 제 1집단
2) 제 2집단
3) 제 3집단

Ⅵ.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신경망학습이론

Ⅶ.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다른 많은 뉴런으로부터 여러 개의 입력신호를 받지만, 단 하나의 출력신호만을 낸다. 그러나 이러한 출력신호는 여러 개로 복사되며, 분기된 출력신호들은 제각기 다른 뉴런의 입력신호로 분산된다.
그리고 ‘연접경로’는 뉴런 사이의 정보를 전달하는 경로로서, 이는 뇌세포의 시냅스(synapse)를 모형화한 것이다. 이는 두 개의 뉴런을 쌍으로 연결하고 있으며, 각각 연결강도는 다르다.
인간의 인지과정은 보다 정확하게 설명하려는 인지이론가들은 최근에 이러한 신경망이론에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이 이론은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전제하고 있다. 첫째, 뇌의 기억은 분산저장에 의존한다고 가정한다. 정보처리이론은 정보가 장기 기억 고에 저장된다고 가정하지만, 신경망이론은 인간의 뇌에 저장된 다량의 정보는 각각 서로 다른 위치에 분산되어 저장된다고 가정한다. 이는 하나의 정보가 분할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 부분적으로 저장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각각의 정보 단위가 분산되어 저장됨을 의미한다.
둘째, 뇌의 시냅스는 그 자체가 정보의 저장에 사용되며, 인간의 기억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요인은 시냅스 내부에서 일어나는 전기적화학적인 변화라고 가정한다. 신경망이론은 정보처리이론의 설명과는 달리, 정보를 저장하는 요소와 정보를 처리하는 요소가 별개로 존재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셋째, 뇌의 내부 신호는 디지털 형태와 아날로그 형태가 혼합된 것으로 가정한다. 뇌는 복잡한 정보를 항상 정확하게 처리하는 것은 아니다. 신경망은 연상기능, 최근 접 자료의 인출기능, 비상안전기능 등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먼저, 연상기능은 예를 들면 그림의 일부를 보고 그 그림의 전체를 연상하는 것과 같이 훼손된 정보로부터 입력 당시의 정보 전체를 인출해 내거나, 고양이 그림을 보고 쥐를 연상하는 것과 같이 몇 개의 정보를 서로 연합시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최근 접 자료의 인출기능은 요청받은 정보에 정확히 일치하는 정보를 갖고 있지 않을 경우 그에 가장 근접한 정보를 인출하는 것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비상안전기능은 몇 개의 뉴런이 손상된 경우에도 기억의 회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정보가 뉴런과 시냅스에 분산되어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
Ⅶ. 인지주의학습이론의 시사점
궁극적으로 인지심리학자들이 주장하고 있는 학습의 정의는 “공적 지식에다 개인적 의미를 주는 것”이 되고, 학습자는 교과서나 교사에 의해 제시되는 공적 지식을 기존의 인지구조에 비추어 그 자료를 부호화하거나 내면화하여 개별적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즉, 학습자는 자신의 인지구조, 즉 스키머(schemata)를 통해 자신에게 의미 있는 문제 상황을 인식하고, 문제해결을 위한 전략을 세우며, 그리고 그 해결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동하게 된다. 학습자 개개인의 스키머를 적극적으로 재구성하게 할 때 학습은 이루어진다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실제적으로 학습자 개개인의 인지구조는 학교 또는 사회가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상상하도록 했던 것과는 실질적으로 다를지도 모른다. 개개인이 갖고 있는 기존의 사회과와 관련된 인지구조가 새로운 지식을 동화하거나 재구성하는데 적절하지 못하여 정확한 영역 개념의 습득을 방해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과거 수업과 일반적인 경험으로부터 얻은 지식과 개념, 또는 잘못된 개념들은 학습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인학(1998) - 교육심리학, 대명사
이수원 외(1999) - 심리학, 정민사
임규혁(1996) - 교육심리학, 서울 : 학지사
임승권 저(1993) - 교육의 심리학적 이해, 서울 : 학지사
Paul Eggen 저(2006) - 교육심리학, 학지사

추천자료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1.04.1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6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