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유교의 흐름][유교의 인간관][유교의 종교화][유교의 교화론][유교의 위상][중국 유교][일본 유교]유교의 흐름, 유교의 인간관, 유교의 종교화, 유교의 교화론, 유교의 위상, 중국 유교, 일본 유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유교의 흐름][유교의 인간관][유교의 종교화][유교의 교화론][유교의 위상][중국 유교][일본 유교]유교의 흐름, 유교의 인간관, 유교의 종교화, 유교의 교화론, 유교의 위상, 중국 유교, 일본 유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교의 흐름

Ⅱ. 유교의 인간관

Ⅲ. 유교의 종교화

Ⅳ. 유교의 교화론

Ⅴ. 유교의 위상

Ⅵ. 중국 유교

Ⅶ. 일본 유교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교를 국교로 제정하려는 조항이 진보당원들에 의해 제안되었다. 그것에 대해 국민당원들은 반대했고, 곧 전국적으로 열띤 논쟁점이 되었다. 오래 끌고 지루했던 논쟁 끝에 이 문제는 절충안으로 잠정적인 낙착을 보았다. 제19조는 ‘국민교육상 공자의 도를 수신의 근본으로 한다.’는 내용이 되었다.
또한 원세개는 帝制운동에서 유교에 상당히 의존했는데, 그는 황제즉위를 준비하면서 공자제사에 대해 많은 주의를 기울였다. 1916년 1월 1일 帝政 즉위식날 원세개는, 宋朝의 황제가 1055년에 공자 직계자손에 처음 수여한 연성공(衍聖公)의 작위를 공자후손이라는 공령이(孔令貽)에게 주겠다고 선포했다. 원세개는 더 나아가 심지어 親王의 작위도 추가했다. 유교전문의 몇 단체와 정기간행물들도 帝制운동을 지지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유교에 관한 논쟁은 원세개의 帝制운동 와해와 함께 소멸하지는 않았다. 1916년 8월 국회가 북경에서 개회되고 있는 동안 天壇 헌법초안 제19조는 중대한 논쟁점이 되었다. 일부 국회의원들이 유교를 국교로 제정하려는 노력을 재개했다. 대표적인 예로 강유위는 원세개가 유교를 이용하는 데 실패한 후 대총통 여원홍(黎元洪)국무총리 단기서(段祺瑞)에게 동일한 제안서신을 보냈다. 그는 심지어 이 생각을 구체화한 자신의 헌법초안을 만들기까지 했다.
그는 모든 민중이 야만인을 빼고는 종교를 가졌고, 공자는 종교의 창건자였다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만일 민중이 유교경전을 읽지 않으면 어떻게 행동할지 모른다. 공자의 春秋는 실로 漢代 이후 재판 등 중요문제들의 결정에 준거가 되어 온 전통적 중국헌법이었다. 고대 중국인은 비적의 진압을 위해 孝經의 암송을, 악귀의 진정을 위해 大學의 사용을 제창해왔다. 그러므로 論語를 절반이라도 사용하면 전국을 통치할 수 있다는 것이다. 康은 또 유교가 2천년간 중국을 지배해 왔으므로 이를 폐기할 때 중국이 분열멸망할 것이라고 논했다. 각국엔 정신적 기초가 있어야 하며, 공자의 가르침은 중국의 기초이고 유교 없이는 중국도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므로 그는 이렇게 제안했다. (1)대총통으로부터 지현(知縣)에 이르기까지 모든 관료들은 매월, 그리고 중요한 때에 공자에 제사해야 한다. (2)대학에서 소학까지 각급 학생들은 모두 유교경전을 읽어야 한다. (3)국가에서 ‘孔敎會’를 설립하고 보조금을 주어야 한다. 강유위 이외의 다른 유교 지지자들의 의견은 각양각색이었다. 그러나 그들 모두가 유교는 중국에 있었던 최선의 교의이고 국가의 기본규범으로 인정되어야 한다는 데는 일치했다.
이런 제안들은 오직 전통만 생각하는 보수파들의 강력한 지지를 얻었으나, 개혁자들의 격렬한 반대를 받았다. 따라서 국회 안팎의 열띤 논쟁 끝에 헌법초안 내의 유교에 관한 조항은 ‘중화민국 국민은 법에 의하지 않고는 제한받지 않을 공자숭배의 자유종교의 자유를 가진다.’고 수정되었다. 사정이 그러했으므로 54운동의 전야와 그 초년 특히 19161917년에, 원세개는 이미 죽었지만 채원배진독수 등 많은 지식인들은 원세개의 망령이 아직 살아있고 중국에는 수많은 원세개들이 있어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고 있다고 느낄 정도였다.
Ⅶ. 일본 유교
- 종교가 아니라 공자에 의해서 만들어진 사상이다.
중심이면 [인] ; 부모형제애, 그것을 확대하여 국가를 다스린다는 사고
4세기, 5세기 한반도를 거쳐 일본에 전래되었다.
헤이안 시대, 무로마치 시대 -귀족이나 불교 승려가 배웠다
에도시대의 유교; 무사 중심의 봉건주의 사회를 이끄는 사상이 되었다.
에도 막부는 유교의 주자학을 관학으로 정함, 무사에게 유교교육을 시켰다.
(무사에게는 충과 의가 효보다 특히 중시되었다.)
주자학뿐만 아니라 양명학파와 고학파, 절충학파 등의 유파도 발생했다.
메이지 정부와 유교
신도를 국가 이념으로 할 것을 모색했지만 단념, 에도시대 무사들의 유교를 국가 이념으로 했다.
교육칙어(1890) ; 유교와 서구의 근대적 도덕이 결합한 것이다. 근대 천황제 국가의 교육 이념을 제시한 것, 근대 천황제 사상의 선동적 역할 - 근대 일본인의 정신 형성에 중요 역할 담당했다.
참고문헌
◎ 금장태, 한국유교의 재조명, 서울 : 전망사, 1982
◎ 성균관대, 유교대사전, 논어 조
◎ 송항용, 유교, 서울대학교종교문화연구실 편, 전환기의 한국종교, 집문당, 1986
◎ 양재열 저, 유교와 인간주체의 철학
◎ 진대제 저, 안종수 역, 공자의 학설, 서울 : 이론과 실천, 1996
◎ 조성을 외 역, 유교사, 이론과 실천, 199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91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