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교육의 전통교육과의 조화적 접목을 위한 구체적 실천 방안에 관한 논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방문지 선택과정>

<공통질문>

<비교표>

<맺음말>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천 방안을 강조하고자 한다. 공부하고 책을 읽는 일의 우선 순위를 최고로 두지 않는 것이다. 남을 위하고 자기가 책임을 져야할 일을 다하는 것이 그것에 앞서는 것임을 알아야 한다. 구체적으로 초등 학교에서 청소시간에 하는 일이 더럽고 힘든 일이 아니라 얼마나 보람있고 책임을 다하는 일인가를, 나의 권리를 일일이 따지는 논리적인 태도에 앞서 대인관계에 있어 상대방을 배려하고 예를 다하는 일이 얼마나 의미있는 일인가를 아이들이 교사로부터 느낄 수 있도록 모범을 보여주어야 한다. 언제나 공손하고 도리에 어긋나지 않는 행동이 지식을 쌓는 일에 앞서는 것임을 강조하는 일은 지나침이 없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실천방법들은 마음교육과 함께하는 실천적 내용임을 잊지 말아야할 것이다.
불교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도덕교육은 어린이로 하여금 옳고 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자립적인 능력을 신장시키도록 돕는데 그 목표를 둔다. 그러나 옳고 바르게 생각하고 행동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어린이가 무엇이 옳고 그른지에 대하여 정확히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 불교의 깨달음은 최상의 도덕성을 의미한다. 깨달음이야말로 최고의 도덕적 행위를 가능하게 하는 자의 발견이며 인견의 완성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초등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불교의 실천적 윤리를 제시하자면 ‘십선도(十善道)’가 있다. 이는 신(身)구(口)의(意)에 의한 선행의 길을 제시하고 있는 불교의 실천적 도덕 활동이다.
<십선도와 어린이의 도덕행동>
십선도(十善道)
어린이 도덕행동

(身)
불살생(不殺生 : 모든 생명을 구원하고)
불투도(不偸盜 : 베풀어 주며)
불사음(不邪淫 : 청정한 행을 닦기)
┌산목숨을 소중히 다루기
┗자연을 보호하기
┌친구 도와주기,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기
└물건 나누어 쓰기
┌질서 지키기, 규율 지키기
└휴지, 쓰레기를 아무데나 버리지 않기

(口)
불망어(不妄語 : 진실한 말)
불악구(不惡口 : 착한 말)
불양설(不兩舌: 중상묘략 아첨하지 않기)
불기어(不綺語 : 희롱하지 않기)
바른말, 정직한말, 용기있는 말
고운말, 부드러운 말, 아름다운 말, 기쁨을 주는 말
남을 이간질하거나 고자질하지 않기
남을 비웃거나, 허황된 말을 하지 않기

(意)
불탐욕(不貪慾 : 탐욕하지 않기)
불진에(不 : 화내지 않기)
불사견(不邪見 : 사견을 품지 않기)
┌남의것 탐내지 않기, 주지않는것 욕심내지않기
└남의 물건은 주인 찾아 돌려주기
친구를 미워하거나 원망하지 않기, 화내지 않기
옳고 바른 생각, 지혜로운 생각
그리고 아동에게는 아동의 발달 수준에서 이해하고 실행할 수 있는 계가 있는데 다섯가지 계로 이루어진 어린이 오계가 이에 속한다. 어린이 오계는 십선도보다 기초적인 내용을 구성되어 있어 어린이의 도덕 교육에 가장 기본을 이룬다고 한다.
어린이 오계 ① 살아있는 모든 것을 죽이지 않는다
② 남의 물건을 훔치지 않는다
③ 친구와 싸우지 않는다
④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⑤ 선생님과 부모님의 말씀을 잘 듣는다
(『교수논단』「아동기에 전개될 불교적 인식관」)
불교에서 있어서 아동 도덕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선한 사람으로 성장하는 데 있다. 그러려면 선을 알고 선행에 가치를 두어 하루하루를 정의롭고 바르게 살아갈 수 있어야 하는데 이것은 계를 알고 실천하는 행위를 통해서 발전한다고 하겠다.
선재 불교 대학의 정관 스님께서는 “교직은 직업이 아니라 ‘성직’이다. 특히 초등 교사는 사회를 위해서 무한한 희생을 해야하는 ‘성직자’다.“ 라고 말씀하셨다. 초등 교사는 조건 없이 사회에 헌신하는 성직자와 같은 마음가짐을 가져야 한다는 말씀이었다. 그 말씀을 들은 우리는 깊은 감명을 받았고, 이번 레포트를 작성하는 기회를 이용해서 깊이 있는 공부를 하자고 서로 의미 있는 눈빛을 주고받았다. 이런 글을 쓴다는 일이 어렵고 풍부하고 정확한 지식이 바탕이 되지 않아 어떤 면에서는 공허한 말이 될 수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굳이 유교와 불교를 세분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여 공통점을 찾아내고, 거기서 찾아낸 결론을 초등교육 현장에서 실현할 수 있는 실천방안의 내용까지 끌어내려고 애쓴 것은, 앞으로 그곳에서 아이들을 만날 우리의 꿈 때문이다. 우리가 지금 받은 감명이 우리의 공부(심신+지식)로 이어지고 거기서 그치지 말고 우리의 미래의 아이들에게까지 이어져야 한다는 희망이 있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의 노력이 ‘마치 걸레를 빨았을 때 더러워지는 물’처럼 우러나와 우리의 아이들의 생활과 인성에 영향을 주는 실천방안으로 살아나기를 바란다. 그에 앞서 작게나마 우리를 변화시키고 있음을 예감하면서 이 글을 마친다.
◆ 참고 문헌 ◆
『현대인의 유교 읽기』, 조남욱, 아세아문화사, 1999
『서원, 한국사상의 숨결을 찾아서』, 안동대학교, 예문서원, 2000
『공자 교육사상의 개념적 이해:교육 평등론적 해석에 대한 논의』, 하상규,文音社, 1999
『교육철학 및 교육사』, 정찬주, 양서원, 1995
『교육사상사 :동양편』, 이돈희, 학지사, 1997
『불교입문』, 다까사끼 자끼도, 우리출판사
『교육사』, 조화태정재걸,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1999
「比丘尼律에 나타난 佛敎의 女性敎育觀」, 강정희, 東國大學校, 1982, 학위논문
「儒敎와 佛敎에서의 孝思想 比較 硏究」, 이성춘, 韓國敎員大學校, 1996, 학위논문
「宗敎 敎科書에 나타난 道德敎育의 內容에 關한 硏究 :佛敎,改新敎, 天主敎 敎科書를 中心으로」, 이종우, 韓國敎員大學校, 1997, 학위논문
「退溪 敬思想의 敎育的 性格 硏究」, 이광진, 韓國敎員大學校, 1996, 학위논문
「退溪 李滉의 敎育思想 硏究」, 김옥기, 안동대학교, 1998, 학위논문
「초등학교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기초연구(1):인성교육」, 정재걸
『석림』中 「불교 사상 속에 나타난 아동 복지의 고찰과 방향」, 志明, 1994
「불교의 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 暎昔, 1996
『교수논단』中 「아동기에 전개될 불교의 인식관」
『전통과 현대』「소학(小學)과 아동교육」, 김문식, 1998년 여름호, 88-103쪽
「학교교육과 전통문화 교육」, 정재결, 1998년 여름호, 38-65쪽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68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